게임 정보
A recovered copy of a lost game from the late 1990s about a Beaver named Bucky and his friends trying to escape from an island they crashed upon.
A recovered copy of a lost game from the late 1990s about a Beaver named Bucky and his friends trying to escape from an island they crashed upon.
트레일러 영상 보기 상점 방문하기
8900 원
75+
개
667,500+
원
76561198042023224
낡디낡은 고물더미 속 오싹오싹 대체 현실 놀음 무려 26년의 세월 끝에 가까스로 완성된 캐주얼 게임 속에 담긴 기구한 사연을 추적하는 과정을 담은 호러 어드벤처 게임이다. 64라는 수가 붙은 게임의 제목과 낡디 낡은 폴리곤 그래픽, 조악한 게임성에서는 닌텐도 64 콘솔 지향의 레트로가 묻어나온다. 특이하게도 2023년 버전과 1997년 버전이 나뉘어있는데, 아무래도 단순하고 허접하기 그지없는 2023년 버전보다는 온갖 대체현실 떡밥이 숨겨져 있는 1997년 버전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1997년 버전과 2023년 버전은 26년의 세월이라는 설정상의 차이와 대체 현실 요소만 제외하면 사실상 같은 게임이라고 봐도 무리가 없다. 레트로를 지향한 게임이라 그런지 2000년대 전후에 종종 보였을 법한 폴리곤 그래픽이 눈에 띄며, 마을을 돌아다니며 흩어진 동료들을 모으고 보트를 다시 만들어 섬을 탈출하는 게임 플레이는 단순하기 그지없다. 사실 게임성만 놓고 보면 이래저래 하자가 많은 게임이다. 낡디낡은 폴리곤 그래픽과 엉성한 폰트 및 인터페이스는 둘째 치고 조작감이 다소 구린데다가 레벨 디자인마저 저열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세이브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버그가 잦아 게임의 원활한 진행을 막는 등, 편의성도 나쁘다. 후술할 공포와 대체 현실을 위한 컨셉이라고는 해도 게임 자체는 도를 넘었다 싶을만큼 구리다. 그래도 이 게임만이 내세울 수 있는 두 가지 강점이 존재하니 첫 번째가 공포고 두 번째가 대체 현실이다. 1997년 버전에서 특정 조건을 충족시키면 개발사 내부로 진입하게 되는데 이 때부터 본격적인 공포가 펼쳐지기 시작한다. 게임 속 진실이 담긴 장면에는 과격한 장면들이 저해상도 화질로 가감 없이 드러나고, 기괴하게 일그러진 장소와 음산한 음악, 그리고 끊임없이 주인공을 쫓는 괴물들이 공포 분위기를 제대로 조성한다. 특히 괴물에게 붙잡혔을 때 나타나는 점프 스퀘어 연출은 여러 번 봐도 적응이 안될 만큼 압도적이다. 다른 건 몰라도 공포 하나만큼은 제대로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레벨 디자인이 좋지 않아 게임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헤맬 여지가 다분한데, 이때쯤 되면 공포 연출이 무서움에서 질척임으로 퇴색될 수 있다는 불안 요소는 있다. 게임 안과 밖의 경계선을 시도때도 없이 넘나드는 대체 현실 요소 또한 인상적이다. 중간중간 특정 장치를 작동시키면 웹 화면으로 넘어가면서 새로운 정보를 제시하는데, 게임의 진행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단서를 알려주는가 하면 스토리 속 개발사와 관련된 복선과 떡밥을 던져주기도 한다. 후반으로 갈 수록 게임과 웹을 자주 넘나들게 되고 그만큼 스토리의 전개도 빠르게 흘러간다. 이는 한참 예전에 유행했던 미궁 게임과도 꽤나 유사하다. 게임과 웹을 넘나드는 그 과정이 번거로울 수는 있어도 게임 안팎을 넘나들며 숨겨진 진실을 파헤쳐나가는 과정은 확실히 흥미롭다. 다만 처음 접하게 되는 2023년 버전에서 게임 속 대체 현실에 대한 암시를 잘 드러내지 않는다는 점은 아쉽게 다가온다. 보는 관점에 따라 훌륭한 게임이 될 수도 있고 형편없는 게임이 될 수도 있는 그런 게임이다. 심장을 벌렁거리게 만드는 공포와 넘치는 대체현실 떡밥에 주목한다면 상당히 만족스럽게 즐길 수 있을 것이고 조작이나 레벨 디자인, 스토리 짜임새 등 기본적인 게임성에 집중한다면 너무나 실망스럽게 다가올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기본기의 부족이 마음에 걸리긴 하지만, 일단은 공포와 대체 현실이라는 장점에 주목해 추천으로 마무리한다. https://blog.naver.com/kitpage/2233813400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