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정보
스팀 공식 한글패치 존재
THE LATEST VERSION OF RPG MAKER SERIES ON STEAM, "RPG MAKER MZ"
THE LATEST INSTALLMENT IN THE RPG MAKER SERIES, RPG MAKER MZ, BRINGS SIGNIFICANT ENHANCEMENTS TO THE FEATURES INTRODUCED IN ITS PREDECESSOR, MV. IT IS A NO-CODE GAME DEVELOPMENT TOOL THAT SIMPLIFIES GAME CREATION, EVEN FOR BEGINNERS. IT INCORPORATES MANY NEW FEATURES, INCLUDING AUTO-SAVE AND EVENT SKIPPING.
소프트웨어 정보
개발자들에게 강력한, 아이들에게도 초간단, 모든 플랫폼에 다양하게 적용 가능한 제작 툴!
지금까지 RPG메이커는 자신만의 윈도우 PC 롤플레잉 게임 제작을 위해 가장 손쉬운 방법을 제시해 왔습니다. 이번 소프트웨어는 여러분의 경험이나 능력과 상관없는 게임 제작 툴 제작을 지원하기 위한 지금까지의 노력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이제부터 RPG Maker MV를 통해 여러분의 게임을 윈도우 PC 환경 외부로 확장시켜 보세요. 윈도우나 OSX 환경에서 게임을 제작하고, iOS, 안드로이드, 윈도우, OS X, HTML5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해 보세요!어떤 컴퓨터라도 원하는 플랫폼으로 게임 제작
RPG Maker MV는 윈도우와 OS X 환경 모두 실행이 가능하며 사용자는 다음 플랫폼에 맞게 게임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EXE
- MacOSX/APP (Mac OSX 10.10 or better. Not supported: macOS Big Sur 11.0 and later.)
- 안드로이드/APK
- iOS/IPA
- 웹브라우저용 HTML 5
76561198114050617
강력하게 추천하며 완고하게 비추 박음 '초심자' 기준 장점과 단점(이라기보다 주의해야될 점) 그리고 그 이유와 이해해야 할 프로세스와 결론. #그 전에 이 기준은 그냥 취미 영역으로 만지작 거리는 수준이면 전혀 신경쓸 부분이 아니지만 어찌됐건 취미 영역으로 건드린다 하더라도 생각 이상으로 안되거나 불편하거나 지출로서 해결해야 할 부분이 한 두개가 아님으로, 상업적인 측면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것을 배제하고 작성함. #또한 DLC를 구매하거나 이용 가능한 모든 소스와 스크립트 등, Term Of Use에 대한 부분을 무시하거나 귀찮거나 뭔소리지도 모르겠다하면 무법자와 다름이 없다는 점을 인식해야함(애초에 시스템적으로 무시할 수가 없음) 그리고 그 과정에서 이해하고 서치하고 분류하고 적용하고 편집하고 하는 모든 과정에서 소모되는 시간이 엄청날텐데 핵심 요약으로 도움이 되리라 생각하고 작성함. 1 장점 : 일반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쉽게 제작이 가능하다라는 점은 분명 큰 장점. 단점 : 이것만 구매하고 공부하면 쉽게 제작이 가능하겠지? = 아님. 이유 : 솔직히 이게 맞나? 싶을 정도로 안되거나 없거나 불편한 기능이 한두개가 아님. ex)텍스트 크기를 변경하는 것 조차 뭐 그냥 메모장이나 워드에서 글씨 크기를 바꾸듯이 안됩니다. (짐작으론 프로그램적으로 중요 요소가 아니라서? 근데 ㅈㄴ 불편함) 해결 : 텍스트 크기 변경 스크립트나 플러그인을 찾아 사용한다. 이해 : 플러그인=막상 만져보면 진짜 10에바라고 느끼는 점들을 기능을 추가해주거나 업데이트 한다는 개념 # 그럼 플러그인들도 다 구매하고 써야되나욧? = 아님. 사용주의서를 참고하여 좋은 무료 플러그인들을 공유해주는 분들도 많음. 유료든 무료든 어짜피 정말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찾는다면 알아서 판단하게 됨. 2 장점 : 이야 뚝딱뚝딱 그럴듯하게 만들어진다! 단점 : 어~ 소스 없어. 니가 찾아 그리고 직접 넣어. 근데 우리 Tilesets이란 개념이 조금 낯설텐데, 한번 이해하면 아마 편할거임. 근데 제한은 둘게~ㅋ 귀찮아? 그럼 DLC 사. 이유 : 모르겠음. MV기준 48X48px이 한 타일이고 768x768px이 최대로 가질 수 있는 타일세트판인데. 여기에 또 제한이 있는데. 프로그램적인 문제가 있나? 왜지? 스크립트 적으로 9999/999 까지 가능한 점들과 다르게 이상하게 여기는 심하게 제한적임. 근데 그 제한이 있는건 알겠는데 이게 월드 개념으로 넘어가버려서 밀도있는 형태를 완성시키고 싶으면 결국 vfx영역으로 넘어가야함. 해결 : 포토샵을 킨다. 768x768px 전용 체크판 이미지를 찾아서 다운받고 불투명도를 낮추고 필요한 소스들을 일일이 맞추고 조합해서 사용한다. or 플러그인을 이용해 포토샵없이 똑같은 작업을 한다. 이해 : 소스를 찾아서 사던 받아오던 결국 그래픽은 알만툴의 특징적인 한계점이 있고 이걸 뚫을라면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할당해야함. 때문에 자체적인 그래픽으론 명확한 한계점이 있음(DLC나 그래픽소스 구매가 기본 베이스라고 생각해야함) 여기서 DLC개수가 757개나 되는 이유를 깨닳았음. (기본그래픽은 다 써본게 아니라 확실한지 기억이 안나는데 아마 맞을거임. '실내'탭인데 '문'이 없음ㅋㅋㅋ) 아무것도 모르는 백지 상태를 가정하고 설명했고 요약하자면 1. 키는건 쉬운데 막상 만들려고 보면 기능이 많아 보이는거에 비해 안되거나 불편한 점들이 너무나도 많다. 해결 불가능이냐 보면 그건 아니라 그만큼 소비되는 시간과 추가적인 지출을 고려해야함. 2. 기본적으로 2D기반이기 때문에 간결하게 만들어야 함. 욕심을 부리는 만큼 퀄리티는 올라가겠지만, 그러면 애초에 알만툴을 선택했던 가성비적인 측면이 나락으로 가기 때문에 오히려 유니티나 언리얼을 잡고 c언어 공부하는게 나을정도ㅋㅋ 3. 취미로 만지는게 제일 좋고, 상업용도로 사용하려면 많은 시간을 할애할 각오를 해야함. 4. 개인적으로 주의 및 추천 사항은, 본인이 영어를 아예 못하거나 거부감이나 울렁증이 있다? 솔직히 진행에 제한이 많을겁니다. 한국 튜토해주신 분들도 몇분 계시긴한데, 해외 튜토를 참고하면 진짜 많은 도움이 됨. 개념적인 설명보다 개념을 활용하여 간단한 프로세스로 빠른 이해와 적용에 더 적합함. 명령아나 기본 스크립트 부분들은 미리 확인하시는고 진행하는 것을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