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ssless Scaling

All-in-one gaming utility for scaling and frame generation

트레일러 영상 보기 상점 방문하기

게임 정보

Lossless Scaling allows you to scale windowed games to full screen using the state-of-the-art scaling algorithms, as well as use ML based proprietary scaling and frame generation.


Frame generation options:
  • LSFG

Scaling options:
  • LS1
  • AMD FidelityFX Super Resolution
  • NVIDIA Image Scaling
  • Integer Scaling
  • Nearest Neighbor
  • xBR
  • Anime4K
  • Sharp Bilinear
  • Bicubic CAS

The latest feature allows you to use Lossless Scaling to generate additional frames in games that do not have such support, including emulators.

Lossless Scaling is also useful for upscaling modern games if you cannot run them at native screen resolution (GPU limited) and want to get rid of blur due to bilinear scaling of the GPU driver, as well as for upscaling older and pixel-art games which do not support modern screen resolutions or full screen mode.

For modern games it is best to use LS1 or AMD FSR. For scaling pixel-art games, use Integer Scaling or xBR. Anime4K is best suited for cartoons or anime.

Requirements:
Scaling makes sense when you are limited by GPU power. For the best experience, limit the game to a stable frame rate so that Lossless Scaling has resources to work with.

  • The game must be running in windowed mode
  • Windows 10 1903 or newer

스크린샷

접속자 수

가격 히스토리

출시 발매가

7800 원

추정 판매 / 매출
예측 판매량

63,750+

예측 매출

497,250,000+

요약 정보

윈도우OS
유틸리티
영어, 중국어 간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 스페인, 포르투갈어 - 브라질, 한국어, 튀르키예어, 우크라이나어, 일본어, 이탈리아어, 폴란드어, 포르투갈어 - 포르투갈, 루마니아어, 중국어 번체, 베트남어, 아랍어, 불가리아어, 체코어, 인도네시아어, 크로아티아어, 히브리어, 리투아니아어, 페르시아어, 세르비아어, 헝가리어, 덴마크어, 네덜란드어, 스웨덴어, 태국어

오픈마켓 가격 정보


블로그 포스트 정보

  • gaming_blog [Lossless Scaling] LSFG Guide & Tips

    com/app/993090/discussions/0/4139437492715610827 & " " "" " " "" & 가이드 관리자 권한으로 Lossless Scaling(이하... 컴퓨터에서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오리(LSFG) 세팅 공략 가이드 quasarzone.com/bbs/qf_vga/views/6577716

  • :) Monster Hunter Wilds 기초공략

    Lossless Scaling (픽셀오리) 이용 https://store.steampowered.com/app/993090/Lossless_Scaling/ 설정값은 이렇게 해도 되고, 아니면 본인에게 맞는 걸로 수정하는게 베스트. -오버레이 방식으로 해상도를 늘려주고 초당...

  • 푸우's 《Happy World》 트라이앵글 스트래티지 진엔딩 봤다.

    해피 엔딩 아니면 만족할 수 없는 몸이 돼버려서 공략보고 1회차 진엔딩 달렸음. 근데 다회차 아니면... 그래서 lossless scaling으로 프레임 3배 뻥튀기 시킴. 컴퓨터 환경 때문에 142가 최대이기에 142 프레임으로...


관련 기사


업적 목록

    -

스팀 리뷰 (272)

총 리뷰 수: 850 긍정 피드백 수: 791 부정 피드백 수: 59 전체 평가 : Very Positive
  • 올바른 사용법 1. 대충 설정을 마친다 2. 누구나 C드라이브 한켠에 가지고 있는 AV를 튼다 3. Ctrl + Alt + S 를 눌러 업스케일링한다

  • 탈콥에서 쓰다가 밴당하면 비추 누르러 옴

  • 이거 업스케일링도 좋은데 프레임 보간이 진짜 물건임. 게임 말고도 유튜브 동영상에도 쓸 수 있음. 1060아 잘 들었지? 우리 더 오래 가자

  • 오래된 게임을 하거나 본인이 저사양컴인 경우 외엔 게임용으로 쓸 일이 없을 듯. 그러나 영상용으로 프레임 뻥튀기 이게 goat임 그냥 써보면 앎 이거 하나로 내 삶의 질이 향상됐다... 가격도 얼마 안 하는데 그냥 사라. 유튭, 넷플, 치지직, 아프리카 등 웬만한 곳은 다 되는데 쿠플에서만 작동하면 검은 화면 나옴.

  • LSFG 2.0 이후로 매우 추천합니다. 이제 레이턴시가 반응속도가 중요한 게임을 하는 것이 아니라면 거슬리지 않을 수준까지 왔습니다. 2.0은 이전 버전보다 프레임 향상폭은 줄어든 대신 화면을 안정적으로 출력하는데, 만약 조금 덜 안정적이더라도 높은 프레임을 얻고 싶다면 performance를 체크하면 됩니다. 처음 사용하시는 분들이 주의해야 할 점은, LSFG 자체가 GPU 자원을 사용하여 기본 프레임을 어느 정도 감소시킨다는 것에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성능이 50fps로 렌더링되고 있다면 LSFG 적용 후 100fps가 되는 것이 아니라, 40fps까지 프레임이 감소한 뒤 이를 보간하여 80fps이 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인풋렉은 40fps의 기본 인풋렉에 LSFG까지 더해져 네이티브 50fps일 떄에 비해 상당히 늘어나는 것을 체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LSFG 적용 후 프레임이 얼마나 나오는지 체크해 네이티브와 LSFG 중 선택해서 사용하시면 LSFG때문에 오히려 불편해지는 경험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그래픽카드 업그레이드가 최소 몇 년은 늦춰질 것 같음.

  • 좋아 이거면 3년은 더 버틸 수 있겠어 1060아 할 수 있지?

  • GTX 1060수명 2년 추가

  • 거상 하는 사람이라면 무조건 써봐야 하는 프로그램. 써보고 맘에 안들거나 별로면 환불하면 그만. 본인은 아주 잘 사용하고있음. 매우만족

  • 고전게임 돌리려고 구매했습니다만 크롬에도 적용이되는것을 확인했습니다. 라프텔이나 유튜브에서도 업스케일, 프레임보간이 되더군요 놀랍습니다 (라프텔, 넷플릭스 같이 DRM 보호가 걸려 검은화면이 나올경우 크롬설정에서 하드웨어 가속을 꺼주시면 잘 나옵니다.) 사실 게임보다 크롬에서 영상보는데 자주쓸것같네요

  • Must Have Forza Horizon 5 55fps => 165fps Elden Ring 60fps => 165fps Cyberpunk 2077 Ray Tracing Ultra 40fps => 120fps

  • 본인 체감일뿐 정확한 근거없음 LSFG 써본결과 (모니터 LG울트라기어 144) 붕괴 스타레일(원신은 45프레임 고정 빼고) 30고정 - 많이 끊겨보임 (40프레임 정도로 느껴짐) 45고정 - 확실히 매끄러워짐 (50~60프레임 정도로 느껴짐) 60고정 - 120프레임인지 구분은 못하겠으나 확실히 프레임이 늘어난게 체감됨 + 유튜브 같은 영상도 미약하게 체감될정도로 매끄러워짐 반응속도는 약간 생기는 정도 체감 잘 안됨(FPS는 예외) 비교대상 DLSS3(반응속도 생각보다 구립니다) DLSS3 보단 반응속도 빠른것 같음(싸펑으로 실험했음) 추천드립니다.

  • Official Dragons Dogma 2 DLC - FPS Boost

  • 10900, 2070s, qhd 144hz 여기저기서 말도 많이 나오고 도그마 프레임 올리는데 좋다고도 하길래 효과 좋으면 도그마도 사려고 일단 사서 적용시키고 헬다 돌려봤는데 진짜 뭐가 나아진건지 1도 모르겠고 프로그램이 표시해주는 프레임은 딱 두배만큼 나오는데 실제 프레임은 오히려 10프레임 떨어지고 인풋렉 때문에 더 느리고 답답해짐. 물론 베타버전으로 설치했고 일반 버전으로도 돌려봤고 설정도 다 보고 따라했음. 확장 유형 LS1에 fsr이랑 심지어 nvidia 이미지 스케일링이랑 영상 보기 좋다는 anime4k머시기 까지 다 돌려보면서 봤지만 신기할정도로 똑같았음 퍼포먼스 체크했다가 풀어도 봤고 프레임 생성 당연히 LSFG 해놨음 프로그램 내에 있는 수직 동기 껐다가 켰다가 한번씩 다 봤고 Capture API도 하나씩 다 확인해봄 DXGI로 좆도 변하는거 없길래 지푸라기 잡아볼려고. 효과를 제대로 보려면 기본 프레임이 60은 나와줘야 된다는 이야기도 알고있고 나는 당연히 그 환경이었음 70에서 켜니까 60으로 떨어진 다음 프로그램이 120프레임으로 숫자 띄워주던데 내가 보기엔 좆같이 60프레임이면서 그냥 ㅋㅋ님 120임 이러는거같았음. 다시 껐는데 누가봐도 70프레임일 때가 훨씬 부드러웠음 근데 이 부드러움은 10프레임의 변화보다는 인풋렉의 여부때문인거같음. 기존 프레임이 높을 수록 인풋렉이 덜하다는 얘기도 알고있음 이건 맞는말인거 같긴한데 상대적으로 괜찮아지는거지 없어지는것도 아니고 왜 다들 그렇게 인풋렉 별로 못느끼겠더라고 하는건지 이해가 안될정도로 여전히 인풋렉으로 답답함. 마우스 돌리는데 시점이 사알짝 느리게 돌아가는게 확연히 느껴짐. 헬다 말고 레데리랑 호제던 유튜브나 인방도 돌려봤고, 사양을 높이고 낮춰서 기존 프레임 여부와는 상관없이 프로그램으로 확장시켜봤지만 프레임은 딱 기존 프레임의 두배 수치만큼 표시만 해줄뿐이었고 같은말을 계속 해야하나 싶을정도로 프레임의 변화는 체감이 안됐음 솔직히 120 144프레임은 딱 보면 그 부드러움을 모를수가 없는데 그딴 숫자가 나오고 있는게 괘씸할 정도임. 여기 평가중에 체감 5~10 프레임 올라간다고 해놓은게 신빙성 있어보이는 정도. 아참 그리고 쉐도우플레이 즉시리플레이 녹화기능 애용하는데 그거 씹창나서 못쓰게 돼버리는 것도 끔찍했음. 이 심플한 프로그램에 존재하는 모든 옵션들을 하나씩 건들면서 한시간동안 뻘짓해봤지만 여러모로 별로 유용한지 모르겠다.

  • 이미지 스케일링은 눈 민감한 사람들한테는 절대 쓰면 안될듯 유튜브 보고 혹해서 했는데 구려

  • 60프레임도 120프레임으로 만들어주는 훌륭한 소프트웨어. 창 모드나 보더리스로 실행가능한 모든 소프트웨어의 구동 프레임을 두배 이상으로 뻥튀기 시켜준다. 한가지 단점은 60프레임 제한이 걸린 게임을 할때 프레임을 두배가 아니라 너무 많이 뻥튀기 시켜서 인풋렉과 잔상이 지나치게 많이 생긴다는 것이다.

  • 게임이 120프레임으로 뻥튀기 되는게 신기홤...이거 진짜 뻥튀기 된건가 의심될정도.... 3060쓰는데 그래픽카드 업글 안해도 될거 같음.. lossless Scaling을 실행후 프레임을 LSFG로 바꾸고 게임화면으로 다시가서 alt+ctrl+s 누르면 화면이 껌뻑거리고 적용됨. 실행하는거 좀 한글로 친절이 해주지..엄청 헤맸음...

  • 똥컴 구원자

  • 똥컴의 희망

  • 컴퓨터 사양과 세팅에 따라서 개인 경험의 편차가 정말 심한 프로그램, 인풋렉과 후처리 안정성 모두 컴퓨터의 자원이 넉넉한 상태여야만 최고의 상태로 나옵니다. 기본적으로 후처리 없는 상태의 인게임 프레임이 60은 안정적으로 나오고 그 상태에서도 여유 자원이 좀 있는 스펙에서 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저는 기본 프레임이 60 ~ 100 까지는 안정적으로 나오는 상태에서 인겜 프레임이 165 까지는 도달을 못해서 사용중이고, 다크타이드 고오쓰 헬다이버즈 2 에서 주력으로 쓰고 있습니다, 업스케일링은 안쓰고 프레임 생성 기능만 쓰고 있구요. 인풋렉은 없다 할 정도로 체감이 안되는 수준입니다. 4070 I5 12600 32 GB 사용중 단점을 꼽자면 알탭을 빠르게 여러번 하면 후처리 화면이 굳어서 확장을 다시 해줘야 한다거나 초점이 후처리가 들어가는 프로그램에 맞춰지지 않으면 프레임이 널뛰기 한다는 것 최소화 시켜도 자기 멋대로 꺼져버리는 증상 후처리 프레임이 출렁이는 버그 ( 재실행 하면 해결 ) 그리고 당연히 프레임 보간이라 고스팅 현상 좀 있습니다, 게임 내장 DLSS 3 보단 덜해서 좋습니다.

  • 가끔 lsfg가 안 먹힐 때가 있음 컴터 껐다 켜야 돌아옴 이거 나만 그럼?

  • 기술의 발전은 삶의 질을 존나존나존나게 끌어올린다

  • 화면이 부드럽게 보여지게 됐어요!

  • 햄탈워 50프레임 나오는 구간을 100프레임으로 뻥튀기 시켜줌 게임이 만약 30프레임 나온다그러면 안사용하는게 나을수도 있다. 60프레임 정도 되는걸 120프레임 만드는데 특화된 프레임제네레이션 기술인거 같다.

  • G.O.A.T

  • 프레임제널레이션 준수하게 잘됨 ㅅㅅ

  • 굉장히 유용한 툴. 특히나 윈도우 기반 UMPC나 내장 그래픽 컴퓨터로 게임을 한다면 필히 깔아야 될 툴이라고 생각합니다. 진짜 굉장히 유용합니다. 낮은 해상도여도 꽤 괜찮은 비주얼을 보여줄 수 있는데다 강제로 풀스크린으로 만들면서 생기는 화질 저하도 거의 무마시켜줘서 아주 좋은 성능을 보여줍니다.

  • 5800X 2070 배그나 기타 고사양 온라인게임에서 쓰려고샀는데 화질저하 생각보다 큼 화질은 참고쓰겠는데 딜레이(인풋렉)은 좀 심하고 프레임200나온다곤나오는데 144 모니터에서 체감상 100프레임이하인 느낌(끈게 나을정도 어느정도 사양있으신분들보단 진짜 저사양분들이 쓰시는게 좋을듯 온라인게임에선 비추

  • 와...ㅆㅂ 이걸 겁나 늦게 안게 한이네. 컴퓨터 사양이 조금 딸리는 사람은 진짜 꼭 추천합니다. 스케일링은 모르겠지만 프레임하나는 오지게 뽑아줍니다. qhd사용자들은 1.5~7 fhd사용자는 1.0~1.3까지 추천 드립니다. 사양은 1070ti 8700k 오버 4 3070ti 7600 쓰고있습니다. 현재는 어느쪽이든 애매한 사양이라 고사양으로 돌릴시 70프레임 간당히 넘기지만 이 프로그램 키는 순간 80~90은 충분히 뽑아줍니다. 진짜 최고의 프로그렘이니 꼭 구매하셔서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여태 산 게임들중에는 나와 맞지않아 후회하는 게임도 많지만 프로그램중에서는 단연코 최고의 프로그램이 아닐 수 없스빈다. 꼭 꼭 구매하시길 바랍니다.

  • 아스가르드 어둠의전설 하는데 최고입니다 고전게임

  • 고해상도 모니터로 거상같은 똥겜할 때 좋아요

  • 사실 안 써봤지만 추천함

  • 엘든링 프레임드랍 진짜 잘 잡아줌

  • 확실한 차이가 있습니다.

  • 효과 확실함. 미니PC 사용자라던지, 120hz 이상 모니터에서 애매하게 프레임 모자라 거슬렸던 게임들 돌리기 최고 --- x3 업데이트 이후로 애매하게 60fps 방어 안되는 게임들 쿨하게 45fps 고정 박아두고 3배 보간 해버리면 아주 깔끔하게 돌아감.. 제작자 외계인인듯...

  • 드래곤즈 도그마2 효과 좋다길래 샀는데 화면만 울렁거려서 환불 5600x rtx3080 모니터 qhd 75hz 프리싱크, 수직동기화 및 hdr 사용했음. 참고

  • 드래곤즈 도그마2 하려고 샀음. 개추ㅋㅋ

  • 드래곤 도그마2 때문에 삼 체감은 확실히 느껴짐

  • RTX40 시리즈 사기 전에는 이거 쓰면 무난할 듯 ㅋㅋ

  • 3070? 4070같은 고사양에서는 안쓸거 같지만.. 오래된 글카 2070, 1000번대 글카 또는 구사양 글카 등등 수명을 늘려주는데 확실히 좋은 프로그램. 예를들어 2070으로 돌려야 안정적인 게임이 가능한 게임이 있다면 이 프로그램으로 1070, 1650, 1660 같은 글카로 충분히 돌릴수 있게됨.. 요즘 글카가 40만원 50만원.... 이엠텍? 91만원씩 하는데 글카 부담되서 못바꿀경우 단 돈 7800원으로 수명도 늘려주고 못돌리는 게임을 돌려주는건 물론 프레임도 안정적으로 보조역할해줌.. 이정도면 가격도 천사임

  • 왜인지 모르겠으나 나는 켜놔도 플탐이 적용이 안된다 다른 기능은 모르겠고 LSFG를 사용한지 한 100시간 이상은 된거같은데 장단점 적자면 일단 장점은 당연히 LSFG로 인해 높은 프레임 확보가 가능하다는 점이 있음 하지만 단점은 LSFG 자체가 사양을 많이 먹어서 고사양 게임을 할때 원본 프레임이 많이 깎여 내려가서 고사양게임은 생각보다 엄청나게 프레임이 늘어난다는 느낌은 안듬 예를들자면 LSFG를 키기 전에 게임의 원본프레임이 80이였다면 LSFG를 키고난 후에는 원본프레임이 60~70 이 되며 이거에다가 x2배 혹은 x3배로 보간이 되고있음 그래서 진짜 개똥컴일경우에는 원본 프레임이 많이 떨어져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고 그리고 오랫동안 쓰면서 인풋렉 안느껴진다 생각하고있었으나 계속 사용해보면서 마우스를 휙휙 돌려보니 인게임에서 수직동기화를 키는 수준의 인풋렉이 있는게 맞다고 생각함 이 인풋렉 잡아볼려고 리바튜너에서 엔비디아 리플렉스 이런 기능도 켜보고 이거저거 해봤으나 소용이 없었음 피지컬이 별로 필요없는 싱글겜이나 프레임을 강제로 제한해놓은 게임 혹은 유튜브,영상에는 쓰기좋지만 PVP는 절대 비추천하며 민감한 사람이라면 PVE 코옵게임에서도 별로 추천할순 없을거같음

  • 그래픽카드와 게임이 NIS 지원하면 그거 쓰세요 ^_^

  • 7000원으로 하이엔드 컴퓨터가 되었다...

  • 엘든 링으로 '그림자의 성' 진행. LSFG 2.1 2x 적용. ...정말 대단하다. 좀 급격한 애니메이션(구르기 같은) 빼고는 찐 120fps처럼 자연스럽다. 인풋 랙이 살~짝 늘어나긴 한다. 체감은 되는데 불편함은 없는 수준이다. 게임 엔진 고질병인 프레임 드랍만 없었으면... 근데 이건 게임 문제니까. 개인 개발 프로그램인데도 이 정도라면 정말 가격을 올릴 만하다. 옛날에는 -80%로 1,100원에 팔리던 시절에는 얼마나 안 좋았던 걸까... 문제는 내 모니터가 144㎐인데, 프레임이 엄청 끊겨서 화면 전환이 부드럽지가 않았다. 모니터 120㎐ 설정은 필수!이다. 그리고 아직 G-Sync같은 VRR 기술은 지원하지를 않는다는게 소소한 단점. 엘든 링 60fps 고정이 되는 사람이라면 꼭 사서 하자! 후회없다 나는! 프레임이 안 나온다면 이펙트 효과를 낮음으로 설정하자! 40 → 58fps으로 대폭 상승!(폭포 쳐다볼 때 기준) * 플레이 시간이 13시간에서 고정되어 있는 건 설정에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켜놔서 그런듯... 게임 중으로 안 떠서 좋긴 합니다.

  • 사용후 오히려 프레임이 하락함

  • 프레임생성만으로도 살 가치가 있다

  • 인풋렉 민감한 분이라면 불편하실듯합니다 그치만 감안하고 쓸만할 정도인듯

  • 게임에만 써서 다른건 잘 모르겠지만,,, 생각보단 자원을 많이 쓰는듯

  • 그래픽 자원이 남는 게임을 할때 인풋렉 체감 거의 없이 프레임, 해상도 두마리 토끼를 다잡을 수 있었다. 본인은 헬다이버즈2를 하다 글카가 로드율 60%언저리에서 놀며 100프레임정도만 쳐 뽑길래 빡쳐서 찾다가 알게되었는데, qhd100 프레임 -> 인풋렉 거의 체감 안되는 qhd 180프레임을 이루어내는 쾌거에 그만 지려버렸지만 테스트로 영화한편 때릴때는 이미 이케부쿠로의 오줌싸개가 되어있었다. 나는 오로지 헬다이버즈2와 그와 비슷하게 경험할 게임들을 위해서만 이걸 구매했지만 영상시청의 경험만으로도 구매가치가 충분하다는것을 알게되었다. 영상의 업스케일링은 아직 부족한게 흠이지만 프레임보간이 워낙에 개쩌시는지라 업스케일링을 채워줄 다른녀석이 있다면 병행하면 이미 그렇지만 더 쌉goat일것같다. 게임에서도 애용하겠지만 영상을 볼때 앞으로도 함께할거같음. 이와 함께 60프레임이 강제 고정인 게임 (격투겜,엘든링등등)의 고주사율 쾌적한 플레이, 창모드 화면 강제로 전체화면, 고해상도 모니터에서 저해상도 출력시 픽셀 매칭 문제 해소, 업스케일링 지원 안하는 게임(토탈워,고전겜등등)의 지원 등등 더있겠으나 난 빡대가리라서 더 생각나는게 없지만 훨씬 더 무궁무진한 활용가능성이 엿보인다. 단점이라고는 앞서말한 영상의 업스케일링과 최소한의 프레임을 뽑아주지못하는 PC에서는 인풋렉이 심할수도있고, 난 왜 이걸 이제 알았지? 하며 손해봤다는 생각 정도? 본인이 ott도 자주보고 겜도 자주하고 컴사양도 평타는 친다? 뭐함??? 빨리 안사고??

  • 나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인풋렉이 증가하여, 예민하신 분들은 오히려 사용에 있어서 불편함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 이것이 바로 현대문명의 산물이다 어차피 글카 갈아탈 예정이지만 맨날 중옵 찰흙 캐릭터 30프레임으로 뛰어댕기던 나의 인생에서 잠시나마 50 프레임를 느끼게 해준 고마운 존재

  • 이 너머, 120 프레임 있다

  • @@엘든링 전용툴@@ 엘든링같은 최적화 ㅈ망에 고정 60프레임 겜에게 구원같은존재

  • 3070으로도 엘든링 4k모니터에서 원활하게 돌아가게 해줍니다 ㄹㅇ 지림

  • QHD 144hz에서 1080ti를 사용중인 유저입니다. 그냥 돌리기에는 다소 버거운 최신 게임들도 옵션 타협을 해서 3~40프레임만 확보할 수 있다면 아주 쾌적하게 60프레임 이상을 뽑아줍니다. 정가로 사더라도 강추합니다.

  • 겜트북으로 겜하는데 기대했던 것 이상으로 넘나 죠음

  • 개발자 그는 신인가?

  • 3090ti 쓰고있고 모니터는 qhd 쓰고있음 프레임을 올려줘서 굉장히 부드러워짐 살까 말까 고민되면 사라고 하고싶음 이정도 금액에 이정도면 살만함 나중에 완성형이 되면 그땐 가격이 올라갈수도 있으니 지금 사는걸 추천드림

  • 고전게임이나 프레임 제한 걸린 게임, 특정 해상도만 지원하는 게임할 때 특효약이고 요세 고주사율 모니터가 많은데 프레임 보간 기능을 쓰면 모니터 성능 끌어올리기 좋습니다

  • 4090 사용중 x2도 인풋렉 고스팅이 너무 심함

  • 프레임 늘려준다고 해서 구매했는데 정말 좋네요 동영상되고 옛날 에뮬겜에 필수네요 이 좋은거 왜 몰랐지

  • 모니터 주사율은 높고 컴터 스펙이 낮으면 이거 무조건 쓰세요

  • 이게 저사양 유저분들의 프레임 확보 측면도 좋지만 무엇보다도 프레임 60 고정인 옛날 게임들에 프레임 제한 해제 기능이 된다는 게 사기적이라고 생각함 한끼도 안 되는 가격에 평생 뽕 뽑을 수 있는 프로그램

  • 2.10 베타 업데이트 후 config.ini 파일을 통해 X3의 프레임 제한을 해제하거나 설정할 수 있고 레이턴시도 상당히 개선됨 현재 적용된 한국어는 3년 전에 업데이트도 멈췄고 부자연스러운 부분도 많아 개선 중 2.10.1 베타 업데이트 후 LSFG 2.1에서 2.2로 변경되고 config.ini 파일을 건들지 않아도 프로그램 내에서 최대 프레임 제한 설정 가능 1로 하면 기존과 같이 최대 주사율 고정 2부터는 주사율 제한 해제 수직 동기화의 경우 기본으로 하면 엔비디아 패스트 싱크와 같은 기능을 함 수직 동기화 기본 + 최대 프레임 제한 1로 하면 화면 움직일 때 번지는 듯한 느낌이 든다면 수직 동기화를 끄거나 최대 프레임 제한을 2 또는 3으로 설정하면 됨

  • 지금 하는 게임 그래픽 풀옵인데도 만족 못하고 조금이라도 더 올리면서 욕심내서 리쉐이드,enb같은거로 프레임 잡아먹는짓 하는 사람들한테 유용함ㅋㅋㅋ 저사양인사람들한테 필요하다는데 내 생각엔 오히려 4090급 아니면 무조건 써야함

  • 게임 프레임보다는 영상 프레임 보간을 보고 샀는데 상당히 쓸만합니다. 유튜브에서 1440P 영상들에 2배 3배 먹이고 보면 차원이 다릅니다. 윙슈트 1인칭 영상 검색해서 한번 씌워보면 느껴질겁니다. 다른 프레임 보간 프로그램을 하나 써봤는데 그거보다 적용하기도 쉽고 쓰기도 편합니다. 하지만 게임에서는 별로입니다. 마우스만 돌려봐도 밀리는게 느껴져요,

  • 인풋렉이 살짝 생긴다는 단점 말고는 장점만 있지 않을까요 심플하게 프레임을 2배/3배 늘려준다 게임, 영화, 애니 등등 여러 가지 영역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엘든링같은 프롬 소율류, 아이작, 스듀 등등 특정 프레임으로 고정된 게임들을 그냥 60 > 180FPS 로 올려버리고 모드 떡칠로 프레임 제대로 못뽑는 스카이림도 200FPS를 뽑아버리는 미친 프로그램 2.0 패치로 잔상도 안느껴짐 신이 내린 프로그램. DLSS고 DLAA고 머고 그냥 이거면 끝

  • 업스케일링과 프레임 보간을 매우 간단하게 세팅해주는 프로그램 프레임 보간은 AMD의 플루이드 모션의 그것과 같음 근데 라데온 환경에서 rsr과 플루이드모션을 동시에 적용하는것보다 이거 쓰는게 더 쾌적함 퍼포먼스모드를 체크하면 인풋렉도 상당히 줄어듦 일단 엘든링 120프레임 굉장히 달달함

  • 이 프로그램으로 천하제일 거상 게임에 적용시켜 즐겁게 게임 하고 있습니다. 이번 2.8 버전으로 더욱더 즐겁게 게임을 할 수 있었고 낮은 프래임을 지원하는 게임을 즐겁게 할 수 있게 도와주는 프로그램 입니다. 개인적으로 추천 합니다.

  • Dragon's Dogma 2 의 동반자!! 내 노트북에서(5900HS+3060) QHD 최저옵션(DLSS 균형사용)에 30프레임으로 셋팅해서 오리출동 > 확장후에 60프레임으로 뻥튀겨줌. 첨엔 프레임 숫자 놀음이겠거니 했는데 ㅋ 오리 유무에 따라 체감효과 차원이 다르다.

  • Lossless Scaling에 대한 사용 리뷰 선요약 : * 저사양이 고사양겜 돌리기 위해서 사는 건 추천X * 동영상 보는 용도로는 돈이 아깝지 않음 주로 저사양 컴퓨터에서 프레임 확보를 기대하고 구매하실텐데, 더파이널즈 프레임이 여러명이 전투를 하면 48정도밖에 나오지 않아서 사용해보았으나 별 효과 없이 인풋렉만 더 증가해서 사용할 수준이 안 되었습니다. 혹시나 해서 업스케일러를 끄고 프레임보간만 시켰는데도 똑같았습니다. 일단 국룰은 최소 60프레임정도는 뽑을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하며 창모드시 해상도를 많이 줄이고 프레임제한을 60으로 설정해놓아야 효과를 제대로 볼 수 있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돌아는 가는 사양을 가진 상태에서 프레임을 더 늘리는 용도이다 이런 뜻입니다. 이를 위해 144프레임을 잘 뽑아주는 오버워치로 실험해보았습니다. 실험 방법은 창모드에서 프레임 제한을 60으로 설정하고, 프레임 보간과 LS1 또는 AMD 업스케일링을 모두 사용했습니다. 수치상으로는 112프레임이 나왔으나, 인풋렉이 증가하고 1초 간격으로 화면이 끊기는 현상이 발생하여 게임 플레이를 할 수 없는 수준이었습니다. * 반면, 인터넷 브라우징에서는 넷플릭스와 유튜브를 120프레임으로 즐길 수 있었으며, 성능과 만족도가 높았습니다. 인터넷에서 동영상을 보는 용도로만 쓴다면 커서가 끊기는 문제를 제외하고는 훌륭한 사용 경험을 제공했습니다.

  • 나의 컴 활용도에 있어서 이것이 있던 때와 없던 때를 나눌 만큼 획기적인 프로그램이었음 게임에서만 쓸게 아니고 영상에서도 프레임 보정 되서 부드럽게 재생이 가능함 그냥 유투브나 팟플 켜고 확장 켜면 바로 적용 ... 게임도 켜면 바로 보정... 컴터 마다 인풋렉 관련 문제가 있기는 한데 나같은 경우엔 그런 상황이 오질 않아서 넘 즐겁게 사용중임 아무튼 ㅈㄴ 추천함

  • 일단 겜 너무 잘 돌아가고 화질 너무 좋음 원래 내 컴이 좋았던건 아닌가 싶어서 유튜브 4k 비디오 틀어놓고 비교를 해봤는데...... 비교 하자마자 억소리 나게 놀랐음 직접 사서 비교해보면 알거임... 내가 커피 값을 내고 몇백만원짜리 TV를 산 것 같은 기분을

  • 환불 요청한적도 없는데 무슨 상황인가요? 만약 했더라도 요금 또한 환불처리가 안되었습니다. 그리고 스팀 지갑 잰액에도 환불 금액이 들어와 있지 않습니다. 확인후 조치 바랍니다. 현제 프로그램은 2.8.1 깔려 있습니다. 스팀 지갑 잔액: 10원

  • 이것 은 매우 대단해! 만원도 하지 않는 가격으로 ★☆★ 2배의 프레임 ☆★☆ 얻다 놀라운 이것을 애용하다 개추

  • 좀만 공부해서 쓰면 30 프레임 나오는걸 60넘게 만들어줌 물론 시스템 상으론 30프레임으로나오는데 키면 확 부드러워 지는게 체감이 매우매우 잘된다 좀 사양 딸리는 컴퓨터로 게임 할때 키면 매우 좋음 쓰다 안쓰면 역체감 매우 심함 처음 실행 시켜보면 좀 복잡 할 수도 있는데 조금만 구글링해서 공부해보면 그렇게 어렵진 않다 가격에 비해서 체감 성능이 말도 안되게 좋음 굉장히 추천 혜자임

  • 타르코프 같은 PVP 멀티겜에도 쓰일만큼 딜레이 체감도 많이 줄었다. LSFG 2.0 와 함께라면 고사양 게임도 120프레임 이상 뽑는건 일도 아니게 되었다. 프레임이 혹시 잘 안 나온다면 Performance 모드를 키면 그만. 다만 딱 한가지 아쉬운건 쉐도우플레이를 같이 킬수가 없어서 인스턴트 리플레이등을 쓸 수 없다는 점

  • 오히려 이 소프트웨어는 너무 저사양이여도 효과보기 힘든 소프트웨어인 것 같음. fhd 5600x rx6600 32g 사이버펑크2077이 40~50프레임 정도 나왔는데 업스케일링 기능은 끄고, 프레임 보간기능만 킨다면 90프레임까지의 효과도 내는 갓갓 소프트웨어 인풋렉이 조금이라도 더 신경쓰인다면 수직동기화는 꺼보는 것을 추천

  • LSFG 2.0으로 업데이트 되었다고 해서 한번 테스트 해봤습니다 60hz 모니터라서 60->120으로 가는 건 잘 모르겠고 30->60만 테스트 해봤는데 1.0시절보다 확실히 좋아진게 체감이 됩니다 1때는 프레임은 부드러워지기는 하는데 화면이 뭔가 자글자글 해지는게 실사용하기에는 조금 부족하다고 생각했었는데, 2로 올라오니까 그런 자글자글함 현상이 많이 줄어들어서 화면보기가 정말 편해졌습니다 30에서 60으로 올리는것보다 60에서 120으로 올리는 게 더 좋을거 생각하면 나중에 모니터 바꾸고 애용할거같은 느낌이 듭니다

  • 프레임 고정겜이나 고사양겜에서 프레임 높이고 싶을때 쓰면 좋음 다만 인풋렉이랑 화질저하 좀 있어서 유의해야함 발로나 배그같은 fps 온라인게임은 비추천

  • 헬다2 적용하려고 샀는데 기타 게임에서도 잘 썼음. fps류같은 피지컬 게임에는 잔상이 생기기도 하고 좀 부적합하다고 생각됨. 그 외에는 괜찮은듯.

  • 3070 같은 애매한 글카는 무조건 사셈.. 모든겜에 적용할 수 있음. 기존에 하던 게임들도 훨씬 쾌적해져요.

  • 컴퓨터 성능과 별개로 그냥 프레임이 줘어어언나게 떨어지는 최적화똥망겜들에서 사용해주면 매우매우좋음...

  • 본인 3080ti로 x2 만 돌려서, 못했던 4k, qhd rt 사이코를 위처,사펑 로 돌려봤는데, 기대보다 좋았음. 단점 : 0. 그래픽 자원을 먹기때문에, 기존 프레임 50유지하던게 35 정도 떨어짐. 그리고 그 35에서 2배 먹여서, 70을 주는 형태라 보면됨. 이하 단점들을 먹고, 50->70이라는건데, 운전, 전투 다 해봤는데, 이정도면 만족스러움. 1.인풋렉이 느껴지긴하지만, 플레이 불가는 아니고, fps기준 반응 살짝 느껴지는 정도. 그래도 AAA게임 플레이자체에 영향을 주긴않음. 2. 정중앙 커서가 살짝 흐릿해지는 점, 화면 빠르게 돌릴때, 무기 위쪽이 잠깐 흐려지는 점 제외하고는 크게 눈에 띄는 고스팅이 없다. ( 이점은 fsr3에 비하면 감수 가능한 수준임.) 총평 : 이제 위처,사펑 rt 사이코 키고, 이거 키고 게임 할듯

  • 3080 + LG 4k TV임 미사용시 네이티브 110프레임 사용시 글카 로드율 76%정도인 상황에서 네이티브 45프레임 보정 90프레임 정도로 오히려 하락 그러면서 화질 저하 및 입력지연 굉장히 심해짐. 특히 입력지연 문제가 심각한데 보정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거진 1초정도의 지연 생김 업스캐일 없이 프레임 보간만 사용하려고 구매 했지만 의미가 없었음 이거 설정맞추고 씨름할 시간에 그냥 일을 더 해서 그래픽카드를 바꾸는게 답인듯. 근데 아직 5천번대는 소식도 없잖아? =========================== 티비 자체적으로 업스캐일 지원하고 프레임보간이 되는 관계로 아무 의미없는 프로그램이였음 추후에 쓸날이 있겠지 싶기도 하고 동영상 볼때는 나름 쓸만해서 담배와 몬스터 한개를 포기한 값어치는 있음 고해상도를 지원 안하거나 기술적인 한계로 4k시 프레임이 수직하락하는 10년넘은 게임들에는 쓸만함 단지 나처럼 디스플레이가 좋고 리시버까지 쓰고있는 상황이면 하드웨어적인 보정이 더 크기 때문에 의미가 없음 부담없는 가격이라 열심히 하란 뜻에서 환불은 하지 않겠다

  • 7800원에 프레임 뻥튀기 시켜주는 프로그램 자기가 돈은 별로없고 프레임은 60밖에 나오는게임밖에 없는 낮은사양유저다 하면 더더욱 추천해볼만함 하지만 창모드,창(전체화면)으로해야 적용되는건 매우 아쉬운부분

  • 이미지 스케일링은 자글자글하고 UI 떨림현상이 나는 미흡한 점이 많고 정작 프레임은 오히려 더 떨어집니다. --헬다이버즈II에서 테스트 함: 기존 1280x720에서 60 프레임 방어 가능한 상태 같은 설정, 창모드에서 30프레임 제한 걸고 이미지 스케일 + 프레임 생성 기능 사용 결과 억지로 늘린듯한 해상도, 60프레임으로 나오지만 버벅임 현상 발생. --배틀필드1에서 테스트 함: 기존 1920x1080 렌더 해상도 80 중옵에서 60프레임 방어 가능한 상태 같은 설정, 창모드에서 30프레임 제한 걸고 Nvidia 이미지 스케일+프레임생성 2.0 사용 결과 60 프레임 방어는 가능하나 인풋렉이 거의 0.5초 수준으로 플레이 불가능.

  • 이번에 추가된 LSFG는 AMD의 AFMF 기능과 같은데 AFMF의 단점은 화면이 빠르게 전환될때 AFMF가 풀린다는 단점이 있고 가장 큰 문제는 AMD의 그래픽카드(6000~7000번대)를 사용해야 된다는 문제점이 있지만 LSFG는 지포스에서도 가능하며 화면이 빠르게 전환되어도 LSFG가 풀리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음. 내장그래픽카드에서도 됨. 개추천

  • 자꾸 게임 비율 이상해지고 오히려 프레임이 떨어짐 이건 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와우 용군단 같은 mmo cpu 병목게임에서 특히 탁월합니다. 최대프레임 43~45 제한걸고 4x 당기면 발드라켄에서도 풀옵 10으로 170프레임 넘어갑니다. (5800x3d 4080 해상도 3840x1600)인풋렉이 있다고 하는데 와우 같은 mmo에서는 그다지 체감되는 문제는 아닌것 같네요. 쐐기 레이드 아주 만족스럽습니다. 7800원인데 안쓸 이유가 없습니다.

  • 무슨 짓을 해도 렉이 걸리는 구작 32비트 게임들이 부드러워짐... 그 "아틸라" 마저도..

  • 거상 창화면이 작아서 불편해서 구매했습니다~전체화면으로 화면 게임만 해야되서 방송 영상 크기랑 비슷하게 하면 뭔가 같이 보기엔 적당한거 같습니다 몇천시간 사용할듯

  • 1080으로 드래곤즈 도그마 2가 원활하게 돌아간다. 마법이 실재한다면 이런 걸 말하는 게 아닐까?

  • 4년된 1650ti 노트북이 RTX 3060으로 바뀌어 버리는 놀라운 물건 심지어 노트북 전력도 최저로 먹이니 팬소음도 거의 없는데 이걸 3배 뻥튀기 해버리니 시끄러울때보다 성능이 더 잘 나와 신기할 따름.. FPS는 몰라도 레이싱, 액션류는 이걸로 다 커버 가능할듯 하다.

  • 프레임 보간용으로 Lsfg만 사용중. 프레임이 고정된 영상이나 고전겜 혹은 중저사양겜에서 효과가 아주 좋음. 4090에 4k에서 프레임 못뽑는 고사양겜에 써도 그럭저럭 쓸만함. 호환성 가리지 않고 간단하게 잘 실행됨.

  • + AFMF나 DLSS와 다르게 대부분 컴퓨터 환경에서 호환가능 + 크롬이나 비디오 플레이어같은 프로그램에도 실행이 가능함 () LSFG가 생각보다 무겁긴 함, 특히 웹 페이지에서 게임보다 더 무거울 때도 있는 듯 - 플레이 타임 : 딱히 플레이타임은 없는 편 짧은 평가 : 3D보단 2D 또는 정적인 움직임, 3D라면 고정뷰에서 프레임 향상을 체감하기 쉬움

  • 2년반 전에 샀던 5600G로 60Hz 모니터에서 엘든링하는데 >>엘든링 인게임에서 창모드 해상도 648p 그래픽프리셋낮음에서 텍스쳐, 안티앨리어싱, 새이더 3개만 최고로 하고 >>Lossless Scaling 에서 확장 1.67배 FSR 0.8 LSFG 2.0에 Performance Vertical Sync Max refresh rate 화면찢어짐 허용 이렇게 켜고 썼는데 7800원 전혀 안아까워요 할인안기다리고 그냥 사길 잘했어요 컴터 바꿀까 했는데 그냥 엘든링 DLC 좀더 하면서 버텨도 될듯 제작자님 감사합니다

  • 프로그램 자체는 괜찮으나 켜기만 하면 마우스 커서가 사라지는 버그가 심각합니다. 사용할수가 없습니다. 고쳐주세요

  • 고전게임이나 저사양 게임시에 특히 유용합니다 각종에뮬게임에도 써보니 부드럽게 잘돌아가네요

  • 게임 키고 실행하니깐 얘가 꺼지고 얘키면 게임이 안되고...

  • 알 수 없는 이유로 제대로 동작하지 않습니다. 75프레임이 나오는 게임에 프레임 제너레이터를 적용하면 30프레임으로 고정되어버리는 증상이 발생합니다. 이럴거면 안쓰니만 못한게 아닐까요...?

  • 프레임제너레이션 기능만이 아니라 윈도우 모드 전용 게임을 유사 풀스크린으로 돌릴 수 있다는 점도 무시못할 장점이라 생각합니다.

  • 언제부턴가 작업표시줄 최소화 기능을 켜도 작업표시줄에 안뜨고(꺼진거 아님 작동은 함) 스팀에서 실행시키면 한 10초 뒤에서 스팀런쳐에서는 꺼졌다고 인식해서 플탐 안 늘어남 도그마2에서 참 잘 썻음

  • 사양 안딸려서 필요는 없는데 폰겜 에뮬 돌릴때 60제한 걸린것도 뻥튀기 시켜줘서 장난감으로 쓰는 중 성능 좋음

  • 하고싶은 게임 프레임 너무 낮게 나왔는데 Lossless Scaling 다운 받고나서 프레임 잘나와요 엄청 추천!!!

  • 괜찬은데 게임 하다가 보면 대쉬 버튼이나 빠른 이동 하면 화면이 밀려 보이는 현상이 있음 이것만 보완되면 좋을꺼 같은데

  • 본인은 3060 Raptop (VRAM 6GB임) 사용중인데 풀성능으로 쓰고 있지도 않아서 실성능은 데탑버전에 비해 훨씬 떨어진다는 점을 참고하셈 햄탈워, 삼국지 시리즈에서 써본 결과 햄탈워 - VRAM 개많이 쳐먹는 최적화 병신 고사양 게임 프레임 개선이 느껴지기는 하나 입력 딜레이가 더 크게 와 닿음. 전투에서 뿐만 아니라 캠페인맵에서도 입력 딜레이로 인한 불편함이 심하게 느껴질 정도임. 이건 Lossless Scaling을 켰을 때 기본적으로 원본 프레임에 저하가 생겨서 그런 걸 수도 있다고 생각해서 Lossless Scaling을 켠 상태의 원본 프레임을 40대 -> 60대로 올려서 테스트해 봤을 때도 같은 정도였음. 그리고 VRAM이 딸려서 그런 건지는 몰라도 다른 저사양 게임들로 테스트 했을 때와는 다르게 원본 프레임에 비해서 프레임 보간 된 수치가 그렇게 드라마틱하게 높아지지 않았는데, 평균적으로 원본 / 보간 프레임이 60 / 85 수준에 그쳤음. 이건 풀성능으로 테스트해봐도 70 / 85 수준으로 똑같았음. 남는 VRAM으로 프레임 보간 하는 거라고 하던데, 저사양 PC (VRAM 딸리는 글카 사용)로는 효과를 보기 힘들다는 것으로 해석 가능할 것 같음. 실제로 햄탈워 돌리는 데 VRAM 90% 이상 사용하고 있었어서 별로 이상하지는 않음. 근데 안 켜도 초반 캠페인은 양호하게 나오고, 후반에는 이거 켜서 원본 프레임 20대로 내려가면 프레임 보간이 돼도 원본 프레임 수치로 인한 입력 딜레이, 클릭씹힘 현상 + Lossless Scaling을 켬으로 인한 입력 문제가 더해져 정상적인 플레이가 불가능함. 전투는 말할 것도 없음. 이거 켜서 프레임 2배 3배로 늘려도 프레임이 낮을 때처럼 입력 딜레이가 2배 3배로 늘어나서 토탈워가 아니어도 낮은 프레임을 보간하기 위한 목적으로는 어떤 실시간 플레이 게임 에서도 사용하기가 매우 힘들 것 같음. 이거 쓸 바에 텍스쳐 해상도 한 단계 낮추는 게 낫겠다는 결론임. 삼국지 13 - 자체 30 프레임 제한인 고전게임 그래서 프레임 최대치 확장이 확실히 체감이 됨. 원래는 트레이너로 프레임 제한을 늘리면 그만큼 게임 속도가 빨라지는 문제로 강제 30프레임 플레이가 강제됐는데, Lossless Scaling을 쓰면 그 문제는 해결이 가능했음. 워낙 요구사양이 낮고 최적화도 좋아서 원본 프레임이 29~30 고정이니까 클릭씹힘이나 카메라 이동 시 프레임이 튀는 현상이 없어서 안정감이 있음. 그런데 문제는 애초에 3d 그래픽이 너무 안좋은 게임이라 높아진 프레임으로 누릴 수 있는 혜택이 없음. 역시나 입력 딜레이도 있고, 알게 모르게 화면 출력 딜레이도 좀 있는 것 같은 느낌이라 13 특유의 시원시원한 진행에 대한 경험이 매우 저하됨. 그리고 애초에 30프레임으로 설계된 게임이라 시각적 연출들이 부자연스러운 느낌이 있음. ppt 애니메이션 보는 느낌인데, 이건 다른 고전 게임들도 비슷할 것으로 생각됨. 그리고 프레임이 높아지면서 입력 감도 낮아져서 그런지, 드래그 등 마우스 조작이 전체적으로 불편해짐. 이는 삼국지 14도 마찬가지였음. 삼국지 14 - 자체 60 프레임 제한인 게임 이게 가장 괜찮았는데 일단 3d 그래픽 자체도 나쁘지 않고, 프레임 제한으로 오히려 입력씹힘이 있던 게임이라 Lossless Scaling으로 인한 차이는 별로 없었음. 프레임 증가로 인한 차이가 꽤 느껴지는 편으로써 그래픽 개선 효과는 확실히 있었음. 총평: 환불까지는 아닌데 성능 개선을 기다려봐야할 것 같음. VRAM이 넉넉한 GPU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생각보다 고사양 게임에 대한 프레임 개선 효과를 누리기 힘들고, 입력 딜레이 체감이 크게 됨. 딱 클라우드 게이밍 돌리는 느낌임. 2D 게임은 이미지 스케일링 기능만 보면 다른 무료 프로그램이 많고, 낮은 사양의 PC에서 고사양 3d 게임을 돌리기 위한 목적으로는 애초에 적합하지 않음. 자신의 PC 사양으로 충분히 프레임 확보가 되는 게임에 한해서 최대 프레임 제한을 뚫기 위한 시도로는 나쁘지 않음.

  • 유튜브 4k볼때도 진짜 좋음 확장 유형에서 설정 AMD FSR으로 시창하면 좋음 미쳤다.. 가성비 최고 프로그앰

  • 월탱, 몬헌, 햄탈워는 안킨것만도 못함... 괜히 산 듯

  • umpc 쓰는 사람들에게는 필수 프로그램이 아닐까 생각함 리전고 사용중인데 이걸로 엘든링 120프레임찍어서 사용중

  • 혹시 자신이 쾌적한 슈퍼지구를 위해 이 프로그램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면 당장 구매하셔도 좋습니다

  • 고해상도 모니터에서 도트게임 돌릴때 좋음

  • 좆전고 씹팀덱 보갈리 등등 엄피씨 쓰면 무적권 사라 신세계다 13700k+4090 데탑에도 써봤는데 걍 안 쓰는 걸 추천 열화되는 게 눈에 보이고 이거 고질병인 스터터링 및 인풋랙은 덤이라 어느 정도 사양 되는 컴 오너라면 오히려 마이너스임 오조오억년째 1060 현역 외치는 똥컴단분들에겐 괜찮을지도..?(웃음)

  • 개쩔음 NIS가 네이티브보다 더 선명한거 실화냐.. ㄹㅇ 그래픽카드 바꾼 줄 알았다. 30프레임 고정이라 눈썩던 인게임 컷씬까지 프레임 뻥튀기 해줌.

  • 3770 32g 2070s 케바케인것도 알겠고 모든 게임에 적용이 되는건 아니라는 것도 알겠고 적어도 저 사양에서 비교적 평균사양 높은 고사양 겜을 하려는 데스크탑 유저에게는 대체적으로 효과가 크지 않은 편이라 생각함 헬다이버2의 경우 FHD 품질-보통,그외다수효과-보통 이나 높음=60fps 고정은 안나와도 끊기지는 않고 할만한 수준이었고 간혹 회선의 영향이나 요즘 더운날씨에 공랭의 한계로 인해 버벅임 있지만 할만한 수준 이 프로그램 사용시..하지 못할수준의 끊김현상 드래곤즈 도그마2 대체적으로 FHD 중하옵션 셋팅-60은 고사하고 다행이 평균30은 나와서 버벅임 참아가며 할만함 이 프로그램 사용시..마찬가지 전혀 하지 못할수준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컴의 환경이 너무나 다양한 만큼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부분에 있어서 너무나 다양한 변수가 있고 그 변수를 하나하나 맞춰가며 최적화를 찾아가는 과정 자체가 어떻게 보면...정말 뻘짓이란것 밖에 정의 내릴수 없음(개인적 생각) 정말 시간이 남아도는 사람이라면 모를까 그 많은 경우의 수를 하나하나 찾아 내 컴에 맞는 최적의 셋팅을 찾는다는게..너무 좀 희망고문이 아닐까 싶기도 함..이 정도 수고로움을 굳이 마다하지 않고 시간이 얼마가 들어가든 최적화를 찾으려는 의욕이 있다면 그 정성에 일을 해서 돈을 벌어 중고부품이라도 지금 컴보다 높은걸 달아 업글이든 옆글이든 하는게 더 확실한 방법이라 생각함 스팀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정말 저사양이나 미니PC 베어본 UMPC 스팀덱 이런류의 포터블 소형PC 환경이라면 이 프로그램이 충분히 이용가치가 있겠지만 일반적인 데스크탑 컴에서는 전혀 실효성이 크다 생각하지 못했음 ( 결론 비추)

  • 이거 안쓰고 120프레임 나오던 게임들이 어떤 설정을 건들여도 반토막이나버림

  • 드미트리랜더보다 좋은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가격도 저렴하고, 활성화 때문에 신경쓸 필요도 없고...👍

  • After using this program, Cyberpunk frame rate increased from 60 to 100 10/10.

  • 프레임이 100프레임 나오는 게임이 20 프레임으로 만들어주는 개 갓 프로그램 완전 추천

  • 거상 하다가 방송인 분들이 쓰는거 보고 삿슴 개추! ㅋㅋ 거상 운영자가 편의성 패치를 안해서 방송인 분들이 함 써보라고 하고 있는게 개탄스러울 따름.. 거상 운영진이 여와서 쳐 볼일은 없겟지만 만약 봣으면 좀 편의성 패치좀 더햇으면좋겟슴 삐져 갖고 ㅅㅂ 이거 쓰는사람 정지나 안시키면 다행

  • 레이턴시 줄이는 방법 아는사람? 알려주실분?

  • i5 12500 / 16GB / GTX 1060 저사양 유저들이 사용하기엔 괜찮다고 생각이 든다. 사이퍼즈할 때 이거 켜놓고 하는데, 공성전 내내 프레임이 부드러워서 깜짝 놀랐다. 그런데 이것도 광장 렉과 첫판 렉은 어떻게 할 수 없는 듯

  • 글카 사용량 및 부하 줄이는 용도로는 그닥임 하지만 컴 사양이 부족하거나 유튜브 같은걸 프레임 부스트 하고 싶다면 써보는걸 추천함

  • 해상도 낮은 고전게임이나 쯔꾸르게임 할때 쓰면 좋음 ㅎㅎ

  • 프레임 보간을 쓰면 화면이 뚝뚝 끊기고 프레임이 더 낮아짐

  • 뭐랄까 체감보단 역체감이 더 드는 느낌임 써보면 암

  • 프레임도 두배, 내 그래픽카드 수명도 두배

  • 고전게임할 사람들은 구입에 망설이지 않는것이 좋을듯..

  • 원리는 모르겠으나 The Last Hero of Nostalgaia 라는 게임에서 실행 시 프레임이 늘어난만큼 게임도 슬로우 모션처럼 느려지는 버그가 있습니다. 그리고 플루이드 모션용 rx550 64bit에서 기동 테스트 해본 결과 너무 성능이 낮아 소용이 없어서, 최소한의 성능을 충족하는 하드웨어를 갖추심이 좋을듯 합니다.

  • 프레임보간 40프레임으로 고정해서쓰면 고스팅현상이나 뭔가 버벅이는 느낌없어짐 그냥 개좋다

  • 와 ㅋㅋ 제가 스팀에서 산 것중에 가장 만족도 높습니다. 에뮬레이터 좋아하시는 분들은 강추 드립니다. 고전게임을 60프레임 더 나아가서 120프레임으로 할 수 있다는거 자체가 개쩔어요. 메탈슬러그로 테스트 해봤는데 개부드럽고요 무엇보다 딜레이가 적어서 게임하는데 지장이 없어요. 스위치 에뮬레이터와 같은 게임을 30프레임에서 60 프레임으로 돌리면 글자가 살짝 깨지거나 화면전환할때 화면갈라짐이 나오긴 하는데 적응되면 아예 신경쓰이지도 않고요 딜레이도 좋습니다.

  • 지금까지 이런 프로그램은 없었다! ( 지금까지 이런맛은 없었다! ㅋㅋ ) 처음에는 쯔꾸르 게임의 전체화면 전환시 바탕화면 아이콘이 엉망이 되는바람에 그 불편함을 달래주기 위해서 구매했지만.. 이게 무슨일이야? 프로그램이 갈수록 많은 기능이 추가되고, PC 종합게임머라면 거이 필수적인급 프로그램이 되버렸다. 그만큼 이 프로그램을 잘 알고쓴다면 정말 유용하게, PC 게임 및 영상시청에서 커스텀하게 즐길 수 있게해준다. 특히 쯔꾸르게임 , 2D 게임 , 프레임이 고정된 게임들에서 응용하기 좋다. 개인적으로 써봤을때 4K 보단 FHD 환경에서 더 빛을 바라는거같다. 쯔꾸르나 2D게임, 옛날 3D게임 할 때 가장 좋은거같다. AMD 사의 프레임 보간기술인 FSR3 FG 비슷한 기능도 이 프로그램으로 쓸 수 있는데. 얼마전까지 AMD FG 보다 LS FG 프로그램의 프레임 보간이 성능이나 화질면에서 더 좋았다고한다. 실제 60프레임 고정게임인 엘던링이나(얘는 혹시모르니 VAC 조심) 드래곤퀘스트에서 테스트해보니 정말 두배~4배까지 프레임 펑튀기가 가능했다. 다만 2배가 가장 자연스러웠고 그 이상은 아지랭이 현상이 눈에띈다. 게임에서만 프레임 2~4배 만들기가 되는게 아니고 크롬이나 쿠팡플레이어등 영상 프로그램에서도 (유튭도 된다.) 영상의 프레임이 몇배로 올라간다. (다만 넷플릭스앱 같은건 안 될 수도있다. 이건 자신의 컴퓨터에따라 다를 수 있다.) 보통 영상의 프레임이 24라고 했을때 2배 모드에선 48프레임 그 이상은 자신의 모니터 프레임 주파수로 맞춰진다. 이 프로그램을 대충보면 오픈소스로 풀린 기능은 거이다 업데이트 되는느낌이다. 개발자가 계속 업데이트를 해주고 있기때문에 하나쯤 사두면 다양한 PC 커스텀이 가능해진다. 정말 강력 추천하는 프로그램! 지금까지~~ 이런 맛~~ 은 없었따~~~

  • 게임은 모르겠고 애니나 영상 볼때 쓰면 정말 좋더라. 귀칼 같은거 이거 키고 보면 차이가 느껴진다. 단 역시 중간중간에 프레임 넣는 거라서 창살 같은거나 체크 무늬 있고 그러면 조금 어색한 부분이 나온다만 그거 감안하고 봐도 좋다. 특히 전투씬 같은경우 정말 다르게 보인다. 게임 프레임이 144 이상 나오는 유저는 영상 감상용이나 프레임 제한 겜에 쓰는 정도가 딱 맞다.(야한것도 OK)

  • 인풋렉이 심해요! = 수직동기화를 꺼보세요 / 게임 프레임을 제한해보세요 지싱크 호환 업데이트 되면서 프레임 생성기능은 싱글겜용으로 쓰기 문제없는 수준의 스펙까지 올라갔다 생각함 당연히 인풋렉 느껴지고 당연히 그래픽 아티펙트가 있지만 인간은 적응의 동물이라고 제대로 설정한다면 참을 수 있는 수준임 솔직히 늘어난 프레임이 더 체감됨 다만 성능모드로 하지 않으면 글카 성능을 굉장히 많이 뽑아씀 과장하자면 이거 안써도 인게임에서 직접 60프레임에서 120프레임으로 올릴 수 있을 정도로 뽑아먹기 때문에 극심한 인풋렉 원인의 대부분은 이거 켰다가 게임 원본 프레임의 상당부분을 날려먹으며 동시에 글카 과부하거는 가능성이 큼 따라서 프레임 제한을 강제로 걸어놓고 이거 풀면 각종 문제가 생긴다하는 게임에서만 사용하는게 좋음 (ex. 다크소울과 같은 프롬소프트 게임, 30프레임 60프레임 제한 걸려있는 옛날 게임들 등) 사이버펑크같이 프레임제한 풀어도 문제없는데 프레임이 안나와서 이걸 쓰겠다? 그때는 나도 정신나간 수준의 마우스 밀림을 견딜 수가 없음

  • 업데이트 할수록 점점 좋아지네요 처음에는 지연시간때문에 게임하기 약간 애매했는데 2.3까지 나온 후부터는 fps 제외하면 다 할만합니다

  • FPS를 다운로드 받는 시대가 되었다. 자신의 컴퓨터를 2배 3배 4배로 프레임을 뻥튀기 시키는 프로그램. 그럼 뭐가 문제가 되는냐? 1. 늘어난 프레임 만큼 키 입력이 밀리는 상황과 2. 늘어난 프레임 때문에 약간 이상한 화면들 1.번은 각 그래픽 카드회사의 기술들이 있다. 엔디비아리플렉스라던가 AMD도 그쪽에 맞는 기술들. 2.번은 적당한 블러효과를 추가 시키거나 lOSSLESS SCALING 에서 지원하는 창모드, 전체화면, 그외경우의 옵션들 2배 3배 4배 뻥튀기 시킬것인가 하는 옵션과. 프레임을 몇장면 더 늘리냐는 옵션을 1~5 까지. 여기다가 https://www.nexusmods.com/site/mods/738 FSR3를 지원 프레임생성 이런 유틸까지 더하면 더 이상 PC에 프레임문제는 그래픽 카드만의 문제가 아니고 늘어날수있는 프레임도 이미 우리의 상상력을 넘어섰음.

  • 탈콥 50프렘으로겜하다 이거키면 100프렘으로 겜함 ㄹㅇㅋㅋㅋㅋㅋ 돈 7천원으로 컴 한 300짜리 맞춘느낌 ㄹㅇ

  • 노트북 3060 사펑 돌릴때 도움 많이 받음 추천

  • 프레임을 보안한다는 느낌이네요 30~50 들쑥날쑥한 것을 게임을 60~100프렘으로 할 수 있는데 더 높게 설정 할 수도 있고 하면 아주 조금 그래픽 카드 온도가 올라갑니다 모드 x2 기준으론 1~3도 올라가요 몬헌, 엘든링, 모바일게임 다 테스트 해봤는데 처음엔 설정을 몰라서 왜 안되지 했는데 성능 우선, 수직 동기화를 끄는 것등 프레임이 올라가는 경우로 설정을 해고 자신의 눈이나 컴 사양에 맞게 해주는게 중요한 듯 싶어요 ps. 실행 단축키가 안먹히는 게임도 있는데 설정에서 관리자모드 설정하고 껏다 실행하면 됨.

  • 프레임 오히려 떨어짐 프레임 생성안하고 업스케일링만 써도 떨어짐 gpu사용량 10퍼도 안나오는 저사양게임도 이거쓰면 프레임 30따리 나오게 떨어짐 고사양게임은 더떨어짐 옵션 다바꿔보고 구글링해도 유의미한 해결법 안나와서환불할예정

  • NPU가 없는 이전 세대의 CPU와 GPU에는 오히려 역효과인 것 같습니다. 라이젠 4650G에서 이것저것 무거워질 만한 옵션들 다 배제하고 프레임 뻥튀기 하는 것만 최소한으로 넣어봤는데 오히려 초당 프레임이 저하됩니다. AMD에서 공식적으로 지원하지 않는 데에는 다 이유가 있더라고요.

  • 바이럴 당하지 말고 된장인지 똥인지 찍어 먹어봐야 지만 알고싶다면 사셈

  • 내년 발매하는 몬헌 와일즈 대비 구매해서 사용해봄 게임, 영상 둘다 실험해봤는데 일단 만족스러움. (5600, 3060ti 사용함) 게임은 몬헌 월드로 실험해봤는데 카메라 돌릴때 무기가 점멸하는거 말곤 크게 불편한점은 없었음 입력 지연이 있을수있다 하는데 일단 1인칭 FPS가 아니라서 그런가 문제를 못느꼈음. 영상으로도 실험해봤는데 왜 영상을 기본적으로 24프레임으로 만든다는지 알거같은 느낌이었다. 60까진 약간 체감이 되는데 90, 120은 체감이 안됬다. 사실 60프레임도 FPS 게임영상 제외하곤 굳이 싶었고. 8천원도 안되는 돈으로 이정도니까 일단 사놓고 보는것도 좋을것같다.

  • 4k 해상도에서도 2배 프레임 확보가 가능한 대단한 프로그램이구요. 60프레임이 목표라면, 일단 게임을 강제로 30프레임으로 고정하고 Lossless Scaling를 켜서 적용해야합니다. 몇몇 게임들 30프레임 강제 제한이 없는게임도 잇어서, nvidia 제어판에서 강제로 30으로 바꾸던지 해야 정상적으로 Lossless Scaling켯을때 부드러운 화면이 나옵니다. 어중간하게 애매한 프레임인데 30제한 안하고, 그냥 Lossless Scaling 키면 효과를 전혀 못볼수 잇습니다.

  • 다 좋은대 프레임 표시 위치가 고정이라 프레임 표시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옵션이 있었으면 한다

  • 이 프로그램의 프레임 보간 기능은 확실히 유용합니다. 프레임을 거의 2배로 뻥튀기시켜줄 만큼 좋습니다. 확실히 좋은 프로그램이라고 생각되는데, 이걸 사실 분들이라면 *주의할 사항*이 있습니다. -문제는 체감이 심할 정도로 키 입력시간이 느려집니다. 마우스의 경우, 심하게 체감됩니다.(체감으로서는 핑 50정도) 그래서 FPS나 리듬게임은 포기하시길 추천드립니다. 다른 게임은 좋을 듯 합니다. -해상도 품질 저하(이건 당연) -적용시키기 위해 창으로 바꿔야 하는 것도 꽤 불편합니다 -게임과 호환성(?). 제가 CS2를 가끔 하는데 적용시키고 게임을 해보았더니 화면의 한 축이 불규칙적으로 고정되거나 느려집니다 예를 들자면, 나는 오른쪽으로 화면을 돌리고 있는데 누가 오른쪽에서 미는 느낌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CS2에서만 발생한 문제이지만, 입지가 있는 게임인 만큼 다른 게임을 즐길 때 충분히 발생할 수 있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정확히 어떤 부분에서 문제가 있는지는 모르겠네요 (렉이 메인보드 문제였어서 해결하고 환불함)

  • 진짜 눈에 띄게 프레임이 올라간다 단점은 키 입력이 밀리는 것과 화면이 왜곡되는 것 정도랑 GPU가 더 많이 노동하는 것 정도? 근데 프레임이 눈에 띄게 올라갔으므로 개추

  • 업스케일 좋고 프레임보간 좋음 근데 옛날 게임들 (예를 들면 프메2나 울프툴 쓰는 게임 등등)에 쓰면 프레임 한자리 수로 떡락해서 magpie쓰게된다 예전 게임엔진이랑 안맞는 느낌 내 컴 문제인지 프로그램 문제인지 확실하지는 않음

  • 진짜 좋은데... 어쩔때 에러창 뜨면서 설정값이 전부 날아가는 버그가 있음..

  • 이제품 좋네여 게임에서는 diss 되는게임은 거이 안되다고 보면되는데.;;되도 화질이 이상해서 껨못함.; 못할수준은아닌데 구지 diss가 헐남 옛날껨이나 diss 업스케일링 안되는 게임은 나름 괜춘 트위치 pc로 60프레임 고정게임을 240프레임으로 가능함.ㅎ 사실이게 핵심인데 유튜브 ott 제품 프레임 올려서 볼수 있어서좋음ㅎ 다운동영상도 가능해서 구지. svp4 이런거 보다 더 좋음 화질면에서나 가격면에서도 ㅎ

  • 60hz 제한되는 게임에 사용하면 상당히 괜찮습니다. 인풋렉은 fps 할 것이 아니라면 신경 꺼도 되는 수준이고요, 저해상도 저프레임 동영상은 놀라울정도로 괜찮은 품질로 업스케일링 해 줍니다. 이건 돈이 안아깝네요.

  • 최신 게임도 좋지만 특히 고전 게임에 큰 성능을 발휘합니다 예를들어 중간계전투나 C&C 시리즈 같이 EA에서 만든 고전 RTS를 즐기시는 경우 속이 뻥 뚫릴 듯한 체감을 할 수 있습니다

  • 4K 60fps 방어가 안되는 게임에서 엄청난 효과를 발휘하는 소프트웨어 12900K 3090조합을 사용하는중인데 사이버펑크를 현존풀옵시 30~40프레임대로 떨어져서 아쉬운대로 패스트레이싱을 끄거나 옵션조정을 행해야했었는데 요것 덕분에 풀옵60프렘으로 2회차 DLC엔딩까지 진행했다 프레임보간 특성상 화면 가장자리에 가까워질수록 카메라 이동에 따른 위화감이 있긴하지만 FPS나 레이싱게임이 아니라면 크게 신경쓰이지 않을정도라고 생각한다(인풋렉 포함) 내년에 나오는 몬헌와일즈의 권장사양이 FHD인데도 4060이라 주변에 비상이 걸린느낌인데 이 소프트웨어를 추천하니까 컴바꿀시기를 1~2년은 늦출 수 있을거같다며 좋아하더라..

  • 인풋렉이 전혀 없다고는 못하겠지만 저처럼 프레임이 더 신경 쓰이신다면 정말 유용한 프로그램입니다

  • 그냥 무지성으로 사용하면 안되고, 본인이 목표로 하는 프레임을 정하고 게임 내에 최대 프레임량을 설정한 후 그에 대한 배수를 적용해서 쓰는 프로그램임 EX) 목표 프레임 180 -> 게임 내 최고 프레임 60 설정 -> 이 프로그램의 설정에서 프레임 3배 적용

  • 이렇게 작은 용량으로 이런 어마어마한 성능을 올려주다니.. 우리나라는 이런거 보면 .. 실력이 좀 딸리긴 하나보다

  • 1. 간단 설명을 넣음. 2. 누구나 C드라이브 한켠에 가지고 있는 AV를 틈. 3. Ctrl + Alt + S 를 눌러 업스케일링함. [폴아웃4 하치코[나낙코] 로는 딱인듯] >폴아웃 말고도 사펑,스림,닼소,엘들링,그타 최적화 다 AI로 바꿈 [최적화가 좋아서 앤비디아보다 나을거임, 영상 녹화도 가능..<난 유튜버 애들 영상 편집용으로만 사용>] [Download Fps] 2000 dollar gpu 50% increase in fps ❌ 3.5 dollar program 100% increase in fps ✔️ Ah sorry, 200% now. We even got 300% now 💀

  • 기본적인 컨셉이, 남는 글카 로드율을 통해서 업스케일+프레임보간 을 하자 !! 이거라서, 본인 사용환경이 글카 GPU 로드율을 못쓰거나 반밖에 안쓴다.. 이러면 GOAT 가 되는 유틸입니다. (켜면 기존프레임 중 20%정도를 까버리고, 그 연산량을 업스케일+프레임보강에 쓰는식) - 60프레임 제한 게임 (명조, 엘든링 등)이어서 GPU 로드율이 풀옵 넣고도 50%을 기어가는 게임들 - 모바일 에뮬레이팅으로 돌리는 게임 (60프레임 제한이거나 모바일GPU 수준 한계치라 PC자원이 남아돔) 등등 - 유튜브 등 영상볼시 업스케일링+프레임보간 (대부분 사용자에게 해당될듯) 당연히, 이미 본인 글카 GPU 로드율이 80%이상이면 그 게임 플레이시에는 효과가 없습니다 (!!) - 본인 주력 장르가 AAA게임 풀옵션이거나, FPS, 소울라이크류면 이걸로 해결 안됩니다. 그냥 4090 사십셔. - 로드율이 뭔지도 모르겠다? 음... 검색을 해보시거나 그냥 안쓰셔도 될거같습니다... (호기심이 있으시다면 엔비디아 익스피어리언스 등 검색을...) 개인적으로 이 녀석의 진가는, 고주사율 모니터에서의 화면찢김, 밀림 현상을 극도로 완화시킬 수 있다는 점 같습니다. 모니터 주사율과 출렁이는 그래픽카드 프레임 차이 때문에, 거의 무조건 잔상과 화면밀림에 치이는데 이걸 거의 안볼수 있습니다.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아시는분은 패스) - 본인 모니터 주사율 확인 : ex 120, 144, 165, 180, 240 등 - 내 PC 사양, 프로그램 그래픽사양 고려해서 목표 주사율(H) 설정 (저는 최대 240) - 1% 최소프레임(M) 기준으로, 20%정도를 깎아서, Lossless 켠후의 베이스 프레임(M2)을 계산 (평균프레임(A) 아닙니다. 1% 최소치에서 다시 20%을 까야 합니다) (개인 컴퓨터별로 그래픽사양 등을 조정해서, 1% 최소치에서 20%을 뺀 값이 40프렘, 60프렘 등이 나오게 세팅) - 엔비디아 3D 설정에서, 해당 게임의 최대프레임을 바로 앞에서 설정한 수치(A)로 고정 - Lossless에서, 프레임 생성 배수를 H(모니터)와 프로그램별 최대프레임수(A) 차이만큼 설정 : (예) 모니터가 240이고, 프로그램별 제한치가 60이면, 배수는 4 (프레임 생성에서 LSFG 2.3, 모드를 X4로 설정) 이러면 흔들리지 않는 프레임생성이 보장되고, 모니터 주사율과 프레임간 차이는 FG가 동일간격으로 메워줘서 화면찢김이 최소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각종 G싱크 수직동기화 등 설정이 있지만, 저게 다 어차피 1% 최소프레임때 다 화면이 흔들리기 때문에, 그냥 1% 수준에서 거의 흔들림없는 프레임을 세팅하고, 모니터 고주사율과의 간극은 FG 배수로 메운다는 개념입니다. 다만 1% 최소치에서 다시 20%정도를 까서 60프레임이 나오게 세팅해야 하고, 그러고도 GPU 로드율이 남아야 해서... QHD 해상도 이상 모티터에서는 꽤나 사양압박이 생길 수 있다는점 감안하시면 될거같습니다. (제 사용환경은 UWQHD(5120*1440), 7500f, 32ram, 4070ti super 입니다) 저는 LDplayer 9로 프로세카 3D MV를 240프레임으로 볼때 주로 쓰고 있습니다. 이걸로 하면 스위트 매직에서 캐릭터들 뛰어가면서 앵글급히 변할때 캐릭잔상 넘쳐나는거 안봐도 되거든요. 수직동기 깡프레임 200 등등 뭘해도 안없어지던 잔상이 이걸로 해결됐습니다. 제작자님께 깊이 감사...

  • 어떤방식으로 이런 결과를 만들어내는건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프레임이 1.5~2배 뻥튀기가 되네요..? 신기해라! 놀라운 기능이긴 하지만, 30프레임으로 강제로 고정되는 게임이 아니라면 그닥 쓸일은 없습니다. 주로 30 프레임 고정 2D게임 할때 사용하면 좋습니다(리니지, 거상, 다크에덴, 킹오브파이터 또는 비슷한 등등의 2D게임+ 옛날게임들). 신세계를 보게 되실거에요. 하지만 요즘나오는 게임들(+3D게임)은 대부분 30프레임 고정이아니라서 요즘게임들(+ 3D게임)에서는 그다지 체감 되지 않습니다. 아, 게임뿐만이 아니라 영상을 볼 때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에 참고하세요. 추가로, 이걸 사용한다고 해서 렉 때문에 프레임 저하되는 것을 강제로 프레임 뻥튀기 해주진 않습니다. 렉이 없는 상황에서만 프레임 1.5~2배 뻥튀기에요. 만약 자신의 컴퓨터가 어떤 게임을 실행중에 렉이 걸려있거나...컴퓨터 성능상 프레임 저하가 일어나고 있고, 그것을 개선하기 위해 이 노란색 오리를 구매하시려 한다면 희망을 포기하세요. 이쯤 설명했으면, 이걸 어디에 어떻게 사용해야하는지 깨달은 분들이 있을겁니다. 맞습니다. 19금 미소녀 연애 시뮬레이터 게임(또는 그냥 야게임)에 이용하는 분들이 정말 많습니다. 이 노랑색 오리는 30프레임으로 움직이는 미녀캐릭터들의 바스트 모핑과 자극적인 움직임들을 조금 더...크흠..여기까지 하겠습니다.

  • 써보고 스타터링 심해서 환불햇는데 듀얼모니터때문이였네요 7900gre쓰는데 afmf2보다 더좋은거같습니다 유튜브도 120프레임으로볼수있어서 너무좋음

  • 어느 정도 사양이 되는 분들이 쓰는 프로그램인 거 같습니다 30~50프레임 선에서는 프레임이 오히려 안나오네요

  • 본인이 30,60프레임 고정 게임(모바일 게임) 원x 블루xx 명x등등 즐겨 하신다면 이프로그램은 최고 입니다.

  • 대부분의 경우에서(모든 경우가 아님) 게이밍 성능을 전반적으로 올리는 데에 가장 효율적인 프로그램.

  • This app is Goated AF.... Thank you to the developer for making it... Playing with ROG Ally is flawless now... stable 90-100 FPS at max setting.. previously always get frame drop and less than 60 fps and the 1% low is particularly annoying at times...

  • 업스케일링과 프레임보간을 해주는 갓갓한 프로그램. 예를들어 고사양 게임할 때 컴퓨터 사양이 좀 모자라서 160프레임을 걸기 힘들다면, 게임 설정에서 프레임을 60으로 낮추고, 이 프로그램으로 프레임 보간을 걸면 된다. 160 이상의 프레임을 보여준다. 사양이 모자라는 경우가 아니어도 쓰기에좋다. 보통 게임에서 145, 160 프레임을 뽑으면 그래픽카드가 팡팡 돌아가는데, 60프레임 상태에서, 이 프로그램으로 프레임 보간을 걸면 160프레임이 나와도 그래픽카드가 조용히 돌아간다. 프레임이 낮은 고전게임에 프레임 보간을 적용하는것도 최고의 선택! 움직임이 부드러워짐. ㄷㄷ 사실 나는 게임보다 유튜브에 더 많이 적용시켜 쓰고있다. 이 부드러움을 한번 맛보면 돌아갈수가 없따. 다만, 당연히 160프레임같은 고프레임을 즐기려면 고주사율 모니터를 써야한다! 하지만 고주사율 모니터가 없어도, 보통 60hz 정도는 될텐데 30프레임 미만의 애니메이션이나 유튜브 동영상들이 60프레임이 되는것만 봐도 확 차이가 날것이다. 강추 강추 강추

  • 이전 버전은 고스팅도 심하고 해서 크랙쓰고 있었는데 이번에 LSFG 3으로 신버전 올라왔다길레 한 끼 밥값도 안하는걸 삥땅치는건 좀 아닌 거 같아서 바로 구매. 확실히 예전에 비해 고스팅이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특히 30프레임/60프레임 (or 고정프레임)으로 설계되서 프레임이 제한된 게임들을 부드럽게 플레이하는데 굉장히 유용합니다. 또 고주사율 모니터인데도 사양이 애매해서 60프레임까지는 뽑아내도 그 이상은 프레임을 못 올리는 상황일때도, 60프레임 고정시키고 프레임 뻥튀기하는데 쓰면 좋구요. 저는 주로 PSP 몬스터헌터 2g나 닌텐도 스위치판 동물의숲을 에뮬레이터로 돌릴때 이 프로그램을 썼었는데, 두 게임 다 30프레임에 맞춰서 설계가 된지라 치트로 프레임을 60프레임으로 올려버리면 게임 속도가 강제로 2배가 된다던가, 물리엔진이 망가져버리는 버그가 발생했습니다. 하지만 이 프로그램을 쓰면 보이는 프레임을 뻥튀기 해서 눈속임 시켜주기 때문에 오래된 게임도 문제 없이 고프레임 느낌 그대로 즐길 수 있게 해줍니다. LSFG 3 이전엔 몬헌 돌릴때 카메라 회전시킬떄마다 머리쪽 고스팅이 생겨서 깜빡거리는게 너무 심해서 안쓰고 있었는데 이제는 그게 꽤나 드라마틱하게 줄어서 쓸만해졌습니다. 뭐 영상들도 대부분이 24프레임 짜리들이 많은데 이걸로 뻥튀기하고, 필요하면 업스케일링 하고 말해 뭐해.. 굉장히 유용한 프로그램입니다. 나중엔 더 발전해서 고스팅이 거의 제로에 가까워지기를 기대해봅니다.

  • [ lsfg 3.0 소감 ] 그냥 미친 프로그램! 개쩝니다. 이전 버전보다 입력딜레이도 훨씬 줄어들었고... 얼굴이 깨진다던지 하던 현상도 거의 없어져서 엄청나게 할만합니다. 원래도 afmf2는 잔상이 많이 생기고 2배가 아니라 1.5x 정도 느낌이라 별로였는데... 이제 아예 쓸일 없을 듯합니다. 그래픽카드 업그레이드 고민하시는 분들 잠시 접어두시고 이거 써보세요. 만원도 안합니다.

  • if u want power-performance consequences on high fps monitor LS be the best tool i think i think 30 to 60 fps or 3x 4x examples is just possible one but ideal this program best work on 60fps to 144 or 165 even on the 240 system

  • 4070s 쓰기전까지 괜찮게 쓴 것 같음 똥컴들의 구세주

  • 모든 프로그램에 적용될수 있다길레 팟플레이어에 적용시키니까 되게 부드러워지네요.... 그래픽 API쓰는 모든 프로그램에 적용될수 있다는게 굉장한 장점인거 같습니다. UMPC구입해서 써보고 싶네요

  • 고사양 게임에는 당연히 좋고, 원래 프레임이 낮은 고전게임과, 정승제 선생님의 프레임 낮은 옛날 강의 영상 볼 때도 효과가 아주 좋음.

  • 9/10 오리야 오리야 프레임을 부탁해 게임 말고 또다른 활용처가 있다는데..직접 알아보자

  • 프레임 보간 (2.1 2x 만) 사용했음에도 영상 시청 시 영상과 소리의 딜레이가 신경쓰이고 영상이 망가지는게 쉽게 관측됨 3D게임의 경우 기본 60fps 프레임 보간으로 120프레임 유지 시 시점변경에 딜레이가 생겨 멀미를 유도함 fps에선 사용 시 디메리트가 유효함 고전게임, 도트게임에 경우 화면전환 시 화면이 망가지는 현상을 관측 가능 예: Crono Triger 같은 알만툴(쯔꾸르)게임의 메뉴창 오픈

  • 똥컴이라 프레임 드랍은 있어서 잘 사용 하지만 반응속도가 약간 차이 날수있어요 그리고 설정이 조금 어렵네요 ㅠㅠ

  • 원래도 좋은 프로그램이었는데 3.0 업데이트 이후로 입력 지연 짧아진게 확실히 체감됨. 개발진들이 계속해서 머리 싸메고 프로그램 발전시키려고 노력하는게 눈에 보여서 정말 좋음

  • AFMF2 랑 비교해봤습니다. 일단 장점은 afmf2랑 다르게 프레임 더블링 이상의 3배, 4배 까지 가능하고 afmf2가 잘 작동안하는 게임 (드래곤블 스파킹 제로) 에서도 잘 작동한다는 거겠네요. 다만 의외의 단점이 afmf2 보다 그래픽 리소스를 더 많이 먹어버리네요. 사펑 기준 lsfg 사용 전 프레임은 150 정도였는데 lsfg 2배 기준 베이스 프레임은 110 정도로 떨어지고 afmf2는 125까지만 떨어집니다. 이게 높은 프레임에서는 큰 문제가 안되지만 낮은 프레임에서는 확실히 체감이 될꺼 같네요. 그래픽 더블링은 언듯보면 저사양 그래픽카드를 윈하거 같지만 막상 사용해보니깐 고성능 그래픽카드가 사용하기 좀 더 편한거 같습니다.

  • 프레임 안나오는 발적화 게임들의 프레임을 올리기에 아주 좋습니다.

  • 장점 밖에 없는 아주 좋은 프로그램 입니다. 진짜 영상보고 게임할때 엄청 좋습니다.

  • 3인칭 게임에서 시점을 조금만 빠르게 돌려도 내 캐릭터 머리 부분에 플리커링이 심합니다 그리고 약간 사양을 많이 잡아먹는것 같습니다 하지만 프레임을 2배 이상 상승 시킬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는 만족합니다만 아쉬운면은 있네요

  • 최고의 제품 이것만 있으면 게이밍노트북도 데탑급으로 유지가능

  • 덕분애 RTX 3060 가지고 4k 모니터에서 여러 게임 잘 하고 있습니다 + 게임 설정에서 프레임 제한하는게 없어도 엔비디아 제어판에 가셔서 프로그램별로 3d 설정할 수 있는데 거기서 게임 강제로 30fps나 60fps로 고정하고 LSFG 키면 아주 좋아요

  • 칼같이 60프레임 맞춘다고 머리싸매지말고, 적당히 30~40프레임 나오도록 옵션 높이고 프레임 생성하면 편안함!

  • 자체적으로 업스케일링 및 프레임 생성 기능으로 성능이 비교적 낮은 그래픽카드라도 편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도와주는 툴이에요 처음 쓴건 GTX 3070으로 몬헌 와일즈 베타에서 사용했는데 당시에 너무 랙이 걸려서 사용한 결과 상당히 안정적으로 작동했고, 평화롭게 즐길 수 있었습니다. 현재, 3.0으로 베타 업데이트가 되었는데, 훨씬 프레임 생성도 안정적이고 전보다도 지연이 줄어서, 더욱이 써볼만한 가치가 커졌습니다. 가장 사용 할수 있던 낮은 그래픽 카드는 970으로 최저 그래픽이긴 했지만, 헬다이버에서도 일시적으로 60을 볼 수 있을 정도였습니다. (요즘의 더 나은 2000번대 위로만 가도 훨씬 안정적이겠지요) 최신 그래픽을 사는것도 좋겠지만, 한번쯤 먼저 이걸 써보는건 어떨가요? 1만원도 안하기도 하고, 최신도 요즘은 자체 성능으로 치면 별로 올라가지 않으니까요... (업스케일링 만으로도 가치가 상당히 큽니다. 영상이나 30fps 게임을 60프레임으로도 즐길 수 있지요. 게임 외에도 상당히 쓸곳이 많습니다.)

  • 프레임 생성.. 업스케일링.. 진짜 저는 이 프로그램이 없는 삶으론 못돌아겠어요,, 스팀덱 스팀OS 지원 해줄 수 잇다면 정말 행복할거 같음,,,

  • 후기 보고 살까 말까 고민하다가 가격이 좀 되는 유료인걸 보고 믿고 구매해봤는데 아주 만족스럽습니다.

  • 어떤 게임이던간 90시리즈 하드웨어성능을 체감할 수 있는 프로그램

  • 잘 쓰고는 있는데... 계속 설정 초기화 되는거 좀 많이 짜증나서 비추줌(3번째 세팅값 초기화 됨)

  • 와... 이 프로그램은 진짜 신이다ㄷㄷ 60프레임 고정 고전겜도 240프레임으로 돌아가게 해줌ㅋㅋㅋㅋ 덕분에 울팬슈타인 1편 개꿀잼으로 즐기는 중 세키로도 60프레임 고정이라 눈아파서 못했는데, 이제 해 볼 수 있겠네 돈이 진짜 하나도 안 아깝다👍

  • 엔트리급 글카 하나만 가지곤 풀로드 40프레임 겨우 나오던게 엄청 부드러워지는걸 기대하지는 않는걸 추천함. 차라리 DLSS가 더 잘 나온달까? 글카 자원 뻇어먹어서 프레임 보강을 하다보니깐 글카 2개 달아야할듯

  • 4090인데도 씀 특히 최적화 개판난 게임들한테서 최고존엄 이거 왜 안쓰지?

  • 굉장히 놀라운 프로그램이지만 .. 그래픽 드라이버 업데이트 이후 업 스케일링한 프로그램이 백그라운드에 있을 경우 프레임 제한을 걸어놔도 스케일링 전 프레임이 180까지 치솟는 버그가 있음(글카에서 비행기 소리남)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백그라운드 프레임 제한을 걸어놔도 뚫어버림 노답...... 갑자기 생긴 이런 이슈를 빼면 정말 정말 굉장한 프로그램임.. 프레임 제너레이터를 지원하지 않는 게임 특히 K 구세대 온라인 게임들은 구세대 엔진에서 어떻게든 젖보똥 아바타 팔아먹을려고 엔진에 걸맞지 않은 무거운 리소스를 어거지로 써대서 무슨 컴퓨터를 들고오던 60프레임 방어하기도 힘든 이상한 상황이 많은데 그때 이 프로그램을 키면 프레임이 2~3배 뻥튀기 되어버리는 기적을 선보임.. 기술상 공갈 프레임이긴 하지만 어찌됐던 우리 눈엔 180 프레임이니까 좋은게 좋은거 아닐까..?

  • 주간 구독료가 7800원이라해도 믿을 정도로 만족도가 높음 이걸 키는 순간모든 애니메이션이 극장판이 되며, 모든 게임에서 6년된 내 그래픽카드가 5090급 퍼포먼스를 내는느낌을 낼 수 있음.

  • 이번 CES 2025에서 황회장 헛소리하는거 보고 사놓고 Lossless Scaling 사용한적 없었지만 가죽잠바 말 처럼 나도 RTX4090급 그래픽카드 성장시켜서 라이젠&라데온 천년만년 써야겠다. AI 업스케일링 깡성능으로 쳐주는 우리 AI황회장님 엔비디아 주가 개박살나서 행복하시겠어요:) DLSS 4.0 갓맙다! LSFG 3.0 갓맙다!

  • <<몬헌와일즈 경악할 만한 벤치마크 결과 순위>> ※ 4080super 4k 해상도 기준 1위(압도적) 'Lossless Scaling + DLSS(품질) + RT 풀옵션' => 100~120fps 2위 'Lossless Scaling + DLAA + RT 풀옵션' => 60fps 3위 '몬헌 와일즈 자체 Frame Generation + DLSS(품질) + RT 풀옵션' => 50~55fps 이제 Lossless Scaling 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 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젠슨황에게 빅엿 날리는 기분이라 기분 좋네여. F*ck you, Jensen Huang. ** 주의사항: 이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기 전에 반드시 해당 게임 내 옵션에서 '프레임생성(Frame Generation)' 기능을 꺼주세요. 이 프로그램의 프레임 부스팅 효과와 서로 겹치면서 결국 과부하가 생기고, 도리어 프레임이 떡락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프레임이 더 떨어졌다며 당황하지 마시고, 꼭 기억해 주세요.

  • 동영상 프레임 보간용으로 구매 효과는 좋은데 전체화면 하고 단축키 노가다가 역시 귀찮음 그냥 할인할때 살껄... 하필 스크롤락은 단축키 지정이 안되고 안끄고 전체화면 풀거나 특정 상황에서 프레임 높게 인식해서 풀로드 굉음 나는것도 옥의 티 고해상도에선 부하가 상당해서 오히려 고사양인듯 서드파티 프로그램도 안정성이 괜찮은데 엔당은 왜 동영상 FG를 안넣어주는 건지 뭔가 자동 인식이나 자동화 기능들이 더 좋아져서 노가다만 덜해지면 갓벽할듯

  • It's working on, but sometimes It's freezing anything doesn't work not off compursory, must need reboot

  • 엘든링을 120 프레임으로 즐길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가치가 충분

  • 1060 3g 로 어떻게든 유사 60fps 1080p를 맞추기 위한 필수품.

  • 혁신 노인학대의 새로운 수단. 멀티 그래픽의 부활. 그래픽카드가 너무 비싸서 이걸로 연명하는거다.

  • 나의 삶의 질이 180도 달라졌습니다! 😂😂😂

  • 이 프로그램은 평범한 프레임을 부드럽게 만들어주는거지 개그지프레임을 부드럽게 만들어 주는 프로그램은 아니니 싱글글카로는 최소 80프레임, 듀얼글카로는 최소 60프레임은 나와줘야 뻥튀기가 잘 튀겨진다. 그리고 이 프로그램이 없었다면 젠슨황 이 씹새끼가 어떤 사기를 치고 있었던건지 몰랐을거 생각하니 개빡치네 시발.

  • 유튜버들이나 스팀평가에서 기적의 프로그램인것처럼 약을 파는데 그정도 절대 아님 그냥 딱 가격정도 성능 뽑아주는 프로그램 기본적으로 글카자원 쓰는거라 글카 성능이 받쳐줘야함 최적의 상황은 글카 자원은 남아도는데, 게임이 30프레임 혹은 60프레임으로 자체 고정일때 그 이상의 프레임을 화면에 뿌려서 보여줌 같은 방식으로 유튜브 포함 동영상 역시 30프레임 영상을 60프레임 이상으로 화면에 보여줌 게임에서 프레임 뻥튀기? 게임이 이미 30프레임 미만으로 밀리는데 화면에 뿌리는 프레임만 60 120으로 올려봐야 인풋렉만 작살남

  • 새로운 QHD 모니터 사면서 같이 사서 씀. 1660 super 사용해서 게임에다 쓰려고 샀는데, 게임할 때 쓰기엔 반응이 늦는 감이 있음. 그래서 걍 영상 보는데 쓰려고 함. 얼마 안 써봤지만 매우 쓸만해서 만족함. 30, 60프레임 고정인 영상들 프레임 부드럽게 볼 수 있어서 좋음. 넷플, 쿠팡플레이 같은 스트리밍으로 영상 볼 때는 브라우저 설정에서 '하드웨어 가속' 기능 해제하고 보세요.

  • 특정 회사의 그래픽카드만 지원하거나, 특정 게임만 지원하는 해상도 업스케일링과 프레임 보간을 외부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쉽게 만들어내는 좋은 솦웨어 입니다. 본인의 컴퓨터 사양이 이미 충분하게 좋다면, 사실 크게 와닿거나 실용적이진 않지만 원신이나 엘든링, 데드라이징처럼 30프레임 혹은 60프레임 강제 고정 게임에서는 꽤나 유용하게 쓰입니다. 또한, 게임뿐만 아니라 영상이나 웹에서도 프레임 보간 기술이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영상을 조금 더 높은 프레임으로 시청이 가능하기도 했습니다. 다만, 전체화면이 아닌 창모드에서만 작동을 하고, 게임에서는 괜찮았는데 영상 시청시 업스케일링 기술을 여러번 바꿔보다가 부하가 갔는지 블루스크린이 한번 뜨긴 했습니다. (개발사에서도 업스케일링은 게임을 위한 기술이라고 하더군요.) 엔비디아 2000번대 이상 그래픽 카드는 자체 업스케일링 기술인 vsr이 있으니, 영상 시청시 업스케일링과 프레임 보간을 동시에 하고 싶으시다면, vsr을 켠 상태로 lossless scaling 앱을 켜서 프레임 보간을 하시면 원활하게 돌아갑니다. ----------------------60시간 사용 후기--------------------- 우선 전 로스리스 스케일링을 원신, 사이버펑크, 영상시청 이 세가지에서 가장 많이 썼습니다. 쓰면 쓸수록 장점과 단점이 명확히 보이는 소프트웨어더군요. 장점 - 사이버 펑크처럼 고사양의 게임에서 60프레임 고정해놓고 2배 제너레이팅 하면 확실히 컴퓨터 소음도 그렇고, 점유율도 낮아서 쓰기 좋습니다. - 원신, 아이작과 같은 프레임 고정인 게임들도 쓰는게 비쥬얼적으로 훨 좋았습니다. 단점 - FPS 게임에서 프레임 제너레이팅을 켜면, 크로스헤어(조준점)나 작은 글씨 같은 것들이 가만히 있지 못하고 떨리는 현상이 있습니다.(화면을 움직일때) 그래서, 게임에 큰 영향을 줄 수준은 아니지만, 꽤나 거슬리는 부분이긴 합니다. - 게임을 진행하다가 메뉴창이나 ESC 를 눌러 화면이 전환되면 프레임이 급격하게 떨어집니다. 게임화면 -> 메뉴창 화면 으로 바뀌면서 제너레이팅에 오류가 생겨서 그런지, 많이 버벅입니다. - 마우스 포인트가 나오는 컨텐츠 (웹서핑, 메뉴창) 에서 마우스 포인트가 많이 끊기며 이동합니다. 다만, 이 소프트웨어의 주 사용 목적이 클리커 위주의 컨텐츠는 아니다보니, 큰 문제는 아니었습니다. - 레이턴시 길어집니다. 특히, GPU 점유율 100% 찍고 있는 상황에서 켜면 레이턴시 말고도 프레임까지 많이 떨어집니다. 꼭 게임 프레임 무제한으로 두지 말고, 제한을 걸어서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오래 사용해보니, 생각보다 많은 단점이 있었고 꽤나 버벅이는 모습도 많이 보였지만, 장점이 그 단점을 압도합니다. 저 같은 라데온 5600 + 3070TI 따리도 사펑 중상옵 켤 수 있도록 도와준 오리에게 무한한 감사를...

  • 제가 가지 4070이라 사용 장점은 없는것 같습니다. 예전 도스게임할때 창을 크게 만들어 실행하기 좋아요. 그외는 활용할것이 있을지 의문입니다.

  • 게임용 보다 영상에 특화된 것 같습니다. 프레임더블링 프로그램 svp4나 드미트리 보다 사용도 간편하고 딜레이도 전혀 없습니다. 모니터에 나오는 모든 영상의 프레임이 더블링 되니 너무 좋습니다. 가격에서 일단 미쳤습니다. 프레임보간 프로그램이 보통 3~4만원대인데...;; 극추천합니다.

  • 프레임 개선 매우 좋음 신세계를 경험하는중 다만, 원모니터 사용중이라 알탭을 자주 쓰는데 업스케일링 켜둔상태로 알탭 자주하면 게임이 종종 튕기는 문제 있음

  • 자세히 보면 계단현상이 약간 더 도드라져 보입니다. 어떤 업스케일 방식을 써도 마찬가지 입니다. 다음 버전에서는 계단현상을 줄인 부드러운 이미지를 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 어느 정도의 글카 성능이 받춰주어야 제값을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적어도 50~60 사이의 프레임이 나오는 게임에 쓰기 괜찮지만 50미만의 프레임이 나오는 게임에는 다소 불편함이 있기에 추천 드리지 않습니다. 인풋렉이 약간 존재하기에 반응속도가 생명인 게임들에 접목하기엔 불편함이 큽니다.

  • 좋음 프레임 고정만 잘되면 인풋렛도 크게 느껴지지 않음 MV같은 게임할때 업스케일링으로 큰 화질저하 없이 전체화면 할 수있는 것도 좋아요

  • 게임 이나 영상 프레임+선명함을 올려주는 프로그램 인데 만족도가 단연 압권이다. 특히 유튜브나 영화볼때 체감이 엄청나다. 무조건 구매 하는걸 추천!!!

  • 데스크탑에서는 안써봤는데 일단 게이밍 노트북에서는 효과 좀 봅니다. fps 할때 쓰기에는 좀 그럴 것 같고 레데리나 사펑같은거 할때는 추천할만 한듯

  • 사지 마세요!! 전 이거 게임 프레임 뻥튀기용으로 산게 아니라 동영상 볼때 쓰려고 샀습니다. 테스트로 팟플레이어에 어벤져스 엔드게임 돌려봤는데, 와~ 스파이더맨이 화면 밖으로 튀어나오려고 하더군요. 유튜브로도 아이돌 무대영상 봤는데 레알 미쳤습니다. 역체감이 심해서 이거 자꾸 적용해서 보면 오리지널로는 못볼것 같습니다. 지금 상태로도 잘 보고 있고 다른 프로그램 켜는게 귀찮으면 사지 마세요. 기술적으로는 현재화면을 동영상으로 캡쳐한 다음 중간 프레임을 FSR이나 기타 여러 프레임 보간 기술로 만들어서 껴넣는 방식인데, 테두리 없는 창모드만 지원하면 거의 대부분에 적용가능해서 활용도는 정말 좋다 볼 수 있습니다. 우려했던 딜레이는 있긴 하지만 감수하고 쓸 정도는 되고, 사운드 싱크 문제도 거술릴 정도는 아니었습니다. 가지고 있으면 쓸모가 많을것 같아요.

  • 싱글 오리도 잘 됩니다. 몬헌 와일즈 마을서 프레임 잘나와서 깜짝놀람 화타가 따로 없네 글카 가격 싸질때까지 저렴하게 존버 가능

  • 생각보다 좋은 프로그램입니다. 스팀게임만 적용되는 줄 알았는데 명조 호요겜 등 거의 다 적용되는 거 보고 돈값 그 이상을 하는 프로그램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언젠간 컴터 사서 이 프로그램을 안 쓰는 날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근데 그게 얼마나 걸리지는 미지수네요

  • 오 뭐냐 좋다 영상도 스케일링 해주네 ㄷㄷ 그냥 그냥 질러라 개좋네 ;;

  • 프레임 제한있는 겜엔 잘 돌아가는데 이상하게 유튜브에 넣으면 자꾸 프레임이 확 떨어짐. 이유는 모르겠는데 겜엔 잘 써먹고 있다

  • 부족한 기기 성능에서 최대의 경험을 끌어낼 수 있는 소프트웨어. 써보면 안다. 절대 가격이 아깝지 않은 성능을 보여줄 것이다.

  • 컴 성능은 남아도는데 게임이 60프레임 이상을 지원하지 않을 때 쓰기 좋음

  • 유튜브 볼때 200프레임에 바이큐빅 카스 키고 보니까 지린다 ㄷㄷ 본인 침대 밖으로 절대 안나가는 사람인데 이제는 컴터 앞에 앉아서 유튜브 볼 정도임. 24,30프레임 영상에서 프레임생성 돌리면 빠르게 움직이는 것들은 잔상좀 생기긴 함. 근데 이제는 60프레임도 끊기는 거처럼 보여서 절대 못끊음

  • DLSS나 FSR이 지원되지 않는 게임에서 업스케일링 또는 프레임 생성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FPS, TPS 등 PvP로 경쟁하거나 순발력이 중요한 장르에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유튜브 영상, RPG 등에서는 효과가 있겠습니다.

  • 내가 할 수 있는 수단 중 유일하게 프레임이 부드러워짐 (급변하는 화면에서는 화면이 아주 잠깐 깨지는건 어쩔 수 없음)

  • 온라인게임할때는 인풋렉이 좀 느껴지긴 하는데 순간반응 필요없는 온라인 겜이면 강추고 오프라인 겜이면 그냥 강추

  • 게임할 때 안정적으로 60프레임 뽑고 싶어서 실행하는데 아주 괜찮습니다 제 몬헌 와일즈가 부드러워요

  • 겜 하는데 게임내 프레임제한이 걸려있고 글카 사용량이 낮다 싶을때 사용하면 좋습니다

  • 딱 부족한 만큼만 보충해 준다. 하지만 7200원 값어치는 한다. 다른 프로그램과 다르게, PC의 어디든 적용 가능한 것이 포인트. ## 2025.3.10. 듀얼오리를 세팅하고 내컴의 성공시대 시작됐다. 듀얼오리를 세팅하고 하는게임 많아졌다. 듀얼오리를 세팅하고 내 겜생이 달라졌다. 오리의 꽃은 듀얼오리. 한번 해 보면 다시는 과거로 못돌아감.

  • 처음 별효과 없는것 같아 환불했지만 듀얼 그래픽 카드의 희망을 가져다준 프로그램 그래픽카드 구매하면 진짜 필요해질듯 하네요

  • 프레임을 2배이상 끌어올려주는 프레임 생성 프로그램 아주 가끔 지혼자 뻗어버리고 화면이 멈춰버릴때가 있지만 그 외의 모든 상황에서 항상 활약 오리 최고

  • 추천받아서 구매했는데, 듀얼그래픽 카드가 아니라도, 사용하면 아예 체감이 없는건 아니고, 티가 날 정도는 되는듯. 정액제도 아니고 만원이하 가격대이니, 구매 후에 쭉 쓴다는 생각이면 나쁘지 않은 선택 3070ti 기준 추천 중옵+FSR (DLSS 말고 이거 쓰면 인풋렉 없었음)

  • 정답은 없지만 최선은 찾아보면 있다. 세팅하는 재미가 솔솔하고 5080 + 6900XT 듀얼 쓰는데 3X 4K 48/144 가 가장 베스트 인 듯. 물론 경쟁겜에는 마이너스 일수 있지만 이는 AFMF, MFG 모두 마찬가지. 한가지 확실한 것은 AFMF. MFG 보다 효율,품질 모두 절대 떨어지지 않는다. 과연 MFG의 비용이 과면 이렇게도 비싸야하는가 의문이 들 정도.

  • 최고의 스팀앱. 이거 개발한 사람은 노벨물리학상, 노벨화학상, 노벨생리·의학상, 노벨문학상, 노벨평화상, 노벨경제학상을 동시 수상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유튜브 자주보시는분께 추천 겜할때 컴성능 여유넘쳐서 더 고옵션으로 돌리고픈분께 추천 화면을 부드럽게 만들어줌 개쩜 주로 도트 그래픽 혹은 옛날풍 겜 같은 것들 아니면 유튭볼때, 특히 스타많이보는데 체감 오지게됨 굳 컴이 좋은편은 아니라서 감당하기 힘든겜은 겁나서 못돌리고 FPS, 리듬겜 등등 실시간 반응속도가 중요한겜도 못돌림 자세한건 모르지만 컴맹 입장에서 보자면 장점 : 영상 및 게임이 부드럽게 보임 단점 : 반응속도가 느려짐 잘못쓰면 CPU? GPU? 암튼 님 컴퓨터 ㅈ될수잇음 아마 수명에도 관련잇을듯 유툽볼땐 반속도 상관없고 제일 약한 세팅으로도 충분해서 무조건 좋음 추천

  • 마우스가 가끔 사라짐. 듀얼모니터에서 옆 화면으로 갈때 클릭 안해주면 사라지거나 웹에서 번역기능을 쓰면 마우스가 사라짐

  • 반신반의 했는데 개쩔긴 하네. 좀보이드 하는데 모드 개많이 깔아서 엄청 끊겼는데 이거 적용하고 하니까 겁나 부드러움 ㄹㅇ 개신기함 근데 제대로 설명 읽고 제대로 적용해야 잘 됨. 처음에 뭣도 모르고 대충 해보다가 화면 이상해지고 이거 사기네 ㅇㅈㄹ 하고 있었는데 제대로 설정 다 하고 적용하니까 개잘됨 ㄷㄷ 신세계임 ㅅㅂ 최적화한다고 ㅈㄹㅈㄹ한 지난 시간이 ㅈㄴ 아까울 정도

  • 확실히 게임을 할때 프레임을 높게 가져가니까. 쾌적해요! 근데 로딩이 길어졌어요! 단점이라면 이거 하나정도네요 잘쓰고있습니다.

  • 프레임생성 기능이 적용되지 않은 게임에 쓰기 좋아요 (ex. 킹덤컴2)

  • 게임 프레임 늘려 주는 것 도 좋았지만, 게임보다 영상 보는걸 즐기는 나에겐 영상 재생 프로그램의 프레임 늘리는건.. 매우 좋았다.

  • 다크소울 시리즈, 엘든링 등 60프레임 고정인 게임들할때 추천. 어디선가 끊기거나 버그가 생기기도 하지만, 설정만 잘 만지면 확실한 프레임 상승(같아 보이는) 효과를 보장한다.

  • Lossless Scaling Beta에서 LSFG 3으로 싸펑2077 디아블로4등에서 DLAA RT 풀옵 테스트 한 결과 (x2 x3 x4) 프레임 상승은 이루어지지만 60프레임 이하에서는 특히 잔상왜곡 + 인풋렉이 심해서 실사용은 아직 무리라는 생각 개선을 거듭해서 네이티브까진 아니더라도 50시리즈의 MFG와 비빌 수 있어지면 그때 다시 쓸듯.

  • 몬헌 신작 베타중에 기적을 맛봄. 다른 평들에도 그렇듯 애초에 그래픽카드 성능이 남음에도 불구하고 프레임을 뽑지 못하는 게임에 한해서 쓰기 좋은 수단임. 인풋렉이 생기기때문에 촌각을 다투는 슈팅게임이나 pvp요소가 짙은 게임에선 써봤자 나만 손해봄. 그런데서 쓸 사람들이라면 그냥 밥값 아끼시라 말씀드리겠음.

  • 프로그램 좋네요. pot플레이어에서도 되는데 사용하실분은 환경설정 -> 영상 -> 전체화면 베타적 모드(가장빠른) 설정하시면 재생중 영상 스킵해도 lfsg 끊기지 않고 동작합니다.^^

  • 이거로 와일즈 30프레임 고정 시켜놓고 60으로 뻥튀기 시켜서 잘 하고 있습니다. 평가에 뭔가 말이 많은데 불편한 거 없이 잘만 썻습니다. 특히 이번에 적응형 프레임 생성 기능이 생기면서 게임 프레임 생성 성능이 많이 좋아졌습니다. 다만 설정을 적절히 하지 않으면 화면이 어그러지거나 매끄럽지 않고, 게임에 내장되어있는 프레임 생성 기술과 병행하면 오히려 성능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생기는 점은 있었네요. *이상한 어디 인터넷 글 참고말고 프로그램 자체 설명을 읽으세요

  • 1인칭 콘솔 AAA, 저사양 2d, 알만툴, 웹 브라우저 동영상 해보고 후기 정리 *싱글 그래픽 카드 기준* *필자는 뱅가드 켜져있으면 스트리밍 동영상에 제대로 작동 안함을 확인* 앱의 기능 1. 저 해상도를 고 해상도로 바꿔주는 기능이랑 (업스케일링) 2. 프래임 사이에 프래임 생성해서 끼워주는 기능 두 개 (fps 보간) ---------------------------------- [사양 부족한 AAA 1인칭 게임의 경우] 컨트롤,타이밍 집중해서 해야하는 게임은 인풋렉 불편함 (소울류 패링, fps 사격 게임등) fps 보간을 켜면 인풋렉이 있어서 어지러움. 이 어지러움의 이유는, 마우스로 원 그릴 때, 마우스는 위상 180deg 움직이고 멈췄는데 화면은 165deg 이런식이니까 마우스 움직임이랑 화면이랑 딱 딱 안맞아서 그럼. 다만 업스케일링은 의미 있음. 글카가 더 낮은 해상도로 출력하게 해서, 더 높은 fps를 출력하게 하고, 낮은 해상도는 업스케일링으로 보완하는 방식은 인풋렉도 잘 안느껴지고 목표했던 fps 증가를 잘 달성함. 다만 엔비디아/amd 지원 업스케일링보단 못함. [사양 충분한 1인칭 AAA 게임 ] fps제한 안 둘 때 60 대 유지하는 상황에서 fps 보간 사용해봄 프로그램이 GPU 사용하면서 fps는 50대 되고, x2 기능으로 100fps 보여줌. 이 경우는 기본 fps가 되는 상황이라 그런지 인풋렉도 적고 화면 더 부드럽게 보임. [저사양 2d겜 (하데스 실험)] 업스케일링 - 하데스 설정엔 해상도 설정이 없지만 켰을 때, 더 깔끔해 진 것을 확인. [알만툴 (RPG maker tool) 등 fps/화질 제한 된 겜] (업스케일링) 당연한 소리지만 도트겜 업스케일한다고 촘촘한 도트가 되진않음 다만 저화질 게임 창모드를 전체화면으로 확대 하면 뿌옇게 나오는건 해소해 줌 (fps 보간) 글카 설정으로 fps 제한하고 fps보간으로 프레임 뻥튀기 시키면 모션 더 부드러워짐. [인터넷 웹브라우저 동영상] 남들 다 잘 된다고 해서 기대했는데 안돼서 화났다가 뱅가드 꺼보니 정상작동함. 동영상 화질 HD 창모드 -> FHD 해보니 작동함 fps보간도 작동해서 더 모션 부드러움. 동영상 보는건 인풋렉 상관없으니 장점만 있음. 주의 점 * 민감한 사람은 마우스 움직임 인풋렉은 느껴지긴 하는데 영상볼 떈 마우스 안움직이니 상관 없다고 봄 * 참고로 fps 보간 과하게 3배이상 하면 일그러짐 좀 발생할 수 있음. ** 총평 ** 원랜 글카 딸리는 AAA게임 비벼볼까 사보려 했는데 (ex 몬헌 와일즈) 그건 그냥 해상도 낮추고 지원 업스케일링 설정 켜는게 나을거 같고 뒤에말한 저 해상도/저 fps 지원만 하는 게임과 동영상 보는데 쓰는 강점이 큰듯 성능 충분한 상황에서 소울류 fps 제한 늘리기, 감상형 스토리 게임 등

  • 외부에서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보니 불편함이 존재합니다. 영상 관련은 amd에서 지원하는 플루이드 모션을 활용하는게 좋았고 기타 프레임 생성은 게임에서 자체 제공하는 기술을 적용하는게 깔끔하고 좋았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저사양 유저를 위한게 아니라 중급 혹은 고급 pc 사양의 유저가 프레임을 더 뻥튀기시키고 싶을 때 필요한 프로그램 같습니다.

  • 프레임복사 미친앱 (대부분의 상황에서) 말 그대로 그냥 프레임을 2배(혹은 그이상)으로 만들어줌

  • 1) 저는 4k 이런거 필요없고 fps펌핑만 하는데도 매우 만족 스럽습니다. 2) 스팀 로그인 안해도 작동합니다. 3) 게임뿐만 아니라 영화볼때, 옛날 플래시 게임할때 60프레임 이상으로 부드럽게 볼 수 있는게 너무 좋습니다.

  • 컴사양 Ryzen5 7600 / RAM 32G / RTX 3080 10g FPS를 가장 좋아하는 프레임이랑 인풋렉은 진짜진짜 중요 사항임 그런데 3.0 업데이트하고나서 인풋렉 거의 못느낌 LSFG 3.0 - X2 - 해상도 스케일 100 업스케일 LS1 - 선명도 1 - 성능 끔 인게임 옵션 경계없는 창모드 최대 프레임 제한 72 수직 동기, DLSS 끄기 위에처럼만 해줘도 인풋렉 거의 없음 원본 프레임 80 나오게 옵션질 해주면, 오리 사용시 원본 10~15 다운되고 오리로 늘린 프레임은 120 이상은 유지할수있게 해줌 헬다2 정글에서 프레임 60도 안나오던거 지금은 120 이상 유지중 인풋렉 못느꼇음 타 FPS도 마찬가지엿음 다만 단점이라면 늘리는 프레임만큼 텍스쳐가 조금 뭉게지는게 있는데 자세히 보는거 아니면 신경안쓰일정도 이걸로 컴 업글은 1년 이상 밀린걸로

  • 듀얼 글카 최고의 프로그램! 말이 필요없음

  • 장점과 단점이 확실한 프로그램으로 애매한 60번대나 전 세대들한테 강력하게 추천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장점은 게임이 프레임 생성지원안하신다면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프레임 업 하실 수 있습니다. 3배까진 아직 고스팅현상이 눈에 띈다던가 하지는 않았습니다. 파판7 리버스,몬헌 와일즈 단점은 프레임을 10~15정도 잡아먹습니다. 원래 60프레임 고정이라면 45프레임에 프레임 생성으로 3배기준 135정도의 쾌적한 플레이가 가능합니다. 추가로 프로그램 자체가 먹는 리소스가 커 듀얼모니터 시 게임마다 다르지만 와일즈 기준으로 오리 켜서 하면 유튜브도 렉걸리며 프레임 생성 지원게임인 와일즈같은 경우는 인 게임 옵션 사용 하는게 좋아보입니다. 단 자신이 해상도가 FHD인데 해상도가 낮아보이는게 눈에 거슬린다 하면 4070기준 3배 이용하고 dlss 끈 후 업스케일링 사용하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업데이트로 인풋렉이 얼마나 사라졌는지는 모르지만 3.0 현시점에도 인풋렉은 분명히 느껴짐 솔로 플레이 위주 게임에서 크게 불편한 정도는 아니지만 분명 누구나 느낄수있는 정도 팰월드와 궁합이 잘 맞지 않는것같은게 30분~1시간 사이에 한번씩 게임이 아예 멈춘다... 컴퓨터 로그아웃이나 재부팅만으로 해결할수있는 큰 오류 ,, 이 프로그램과 관련이 있는지 없는지 크로스체크 해보았는데 분명 충돌이 나는듯 하다 이 밖에 유튜브 영상에서 테스트했을때 굉장히 부드러워지는걸 눈으로 확인 가능했음 적당히 돈값한다

  • 애매한 놋북으로는 3D 게임 못함. 영상 보간 도구로서 의의가 더 큼. 유튜브랑 넷플릭스에서 써보면 신세계입니다. 강추!

  • 진짜로 프레임이 2배로 늘어납니다 단돈 8000원으로 매우 추천함

  • 60프레임 고정인 게임 및 영상에서 갸꿀입니다

  • 넷플릭스나 드라마 볼때 60hz 고정해서 쓰기 좋고 게임또한 프레임 상승시켜줘서 좋네요 강추

  • 내 겜생의 분기점은 Lossless Scaling 구매 전과 후로 나뉜다. 심지어 넷플릭스 까지 더 선명하고 프레임 높게 영화 시청이 가능하다니 이걸 아직 구매 안한 사람에게 강매 하고 싶다.

  • 이거 써라 그냥... 지금도 좋은데 계속 좋아질거같은 느낌이다 FPS하는데 x2에서 인풋렉이나 그런거 안느껴진다 보통 80~90 나오는 게임들 그냥 120 칼고정 시키고도 gpu 로드율 더 낮게잡힌다 두번써라

  • 마크에 쉐이더 풀로 돌려서 70프레임 만들고 140으로 뻥튀기 해봤는데 너무 좋아요. 화면 확확 돌리면 자글자글한게 심하게 느껴지긴하는데 인풋렉은 모르겠어요. 온라인게임이나 FPS할 땐 절대 못쓸듯. 근데 단축키가 Ctrl+Alt+S인데 이거 때문에 S키가 연속입력이 안되네요. S키 꾹눌러도 한번만 입력됨 ㅠㅠ

  • 매스이펙트LE, 발더스게이트3 등 컷씬 30프레임 나오던거 60프레임으로 나오니까 부드럽다. 애니메이션 영상은 24프레임이나 30프레임짜리도 많아서 뻥튀기 하면 굉장히 부드러워진다. 다만, 유튜브는 하드웨어 가속 쓰면 거의 60프레임 나오기에 큰 의미 없다. 즉, 1인용 게임 + 애니메이션 영상시청이 메인용도다. 그리고, 마우스로 게임하는 사람은 인풋지연때문에 랙 좀 답답할수도. 패드로 게임하면 체감이 괜찮다.

  • fg 프레임 생성 기능 없는 게임 이나 영상 보간 프로그램을 쓰는데 svp 플레이어나 플루이드 모션 없으면 대체로 쓸만합니다. 막 유튜버들이 말하는 이거 무조건 사세요 정도의 퀄리티는 아니지만 24프레임 애니 나 영화 같이 영상 을 60프레임 으로 보면 그 전으로 못 돌아감 게임용으로는 딜레이 있어서 비추하는데 딜레이 견디고 할수있으면 추천 할 만함

  • 프레임 복사장치 만약 복사는 커녕 오히려 프레임이 떨어진다면 선호하는 gpu를 자동이아닌 본인 글카로 정하셈

  • 유튜브 볼때 120 프레임 이상으로 볼 수 있어서 좋습니다. fps 게임 같이 반응 속도 필요한 게임에 쓰기엔 맞지 않는듯 하네요. 생각보다 렉걸리고 버벅거리는게 자주 일어남. 그럼에도 불구하고 쓸만 하다~

  • 어느 정도 사양이 되야지 효과를 보는데, 어떤 게임을 최소사양으로 게임하는 정도라면 이 프로그램이 별로 도움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멀티게임 특히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게임(ex. 발로란트)은 효과를 보기 어렵다. 창화면, 테두리 없는 창화면에서만 쓸 수 있고, 전체화면은 안된다. 특유의 잔상이나 자글거림이 생겨서 프레임이 높아져도 싫을 수도 있다. 폴아웃4나 스카이림 같은 싱글게임에서는 효과를 본 것 같은데. 몬헌 와일즈는...효과가 그리 좋은 것 같지는 않다.

  • 최소 프레임이 60프레임이 나와야 쓸만하다 느껴지는데 60프레임 나오면 그냥 써도 충분히 괜찮고 반응속도나 부드러움 생각할 때 네이티브가 오히려 낫다고 생각합니다. 아직 시기상조 기술 그래도 더욱 발전되길 응원합니다. I feel like the minimum frame should be 60 frames to be useful, but if it's 60 frames, it's fine to just use it, and I think native is better in terms of responsiveness and smoothness. It's still an early technology, but I hope it gets better.

  • 극적인 효과 기대하는건 어려움. 하지만 옛날 게임 중 30프레임, 60프레임 고정인 경우/유튜브 같이 60프레임 같은 경우에서는 훌륭한 프레임 상승을 보여줌. 하지만 동영상은 보이지 않는 잔상 같은게 남아있어 눈이 아플 때가 많음. 그냥 재미로 쓸만하지 주로 쓰기에는 아직 턱없이 모자람

  • 단일 그래픽카드보다는 듀얼그래픽 카드를 이용해서 사용했을때 확실한 효과를 얻을수 있음 높은 주사율의 모니터를 사용하기위해 120 이상 프레임 뻥튀기를 하거나 그래픽카드의 발열이나 전력을 제한하는 목적으로 일부러 낮은 30프레임정도로 셋팅후 60정도로만 업해서 쓰는 목적으로도 괜찮아보임 본인이 하는 게임에 따라 셋팅을 좀 조절해줘야될듯 유튜브나 영상 스트리밍에서도 효과가 좋은데, 아쉬운게 넷플릭스는 프로그램실행하면 화면이 검게 변해버림 아마 보안 그런게 외부 프로그램이 접근 못하게 걸려있나봄

  • 설정 잘만져야 좋은듯, 그리고 사양 너무 높은겜 어거지로 작동시키면 인풋렉 심해지고 프레임보간도 제대로 안됌 근데 설정 잘해놓고 쓴다? 이제 이거 안쓰면 역체감 심해서 못씀

  • 인풋렉은 분명 있지만, 그래도 프레임이 2~3배 높아지는 걸 더 높이사고 싶네요. 요즘은 그래픽카드도 꽤나 비싼데, 이정도 가격에 이런 성능이면 매우 만족스럽네요.

  • 몬헌 와일즈에 사용하고 있는데 프레임 드랍도 사라지고 성능이 개선된 것 같습니다. 추천해요

  • 이것을 실행하고 내 레디 오어 낫 프레임이 두배로 낳았습니다. 이것은 대단한 프로그램, 또한 당신은 접목시킬수있습니다, 업스케일링. 유튜브, 게임, 또한 다른 화질구린 게임.

  • 창모드만 설정되는거 빼면 간단하게 프레임추가를 할수있어서 편함. 유튜브 동영상 보는데 좀더 부드럽게 볼수있어서 신기함

  • 좋아요~ dlss나 mfg 지원되지 않는 프로그램은 이걸로 간단하게 프레임뻥튀기 가능합니다

코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