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guebook

Magic: The Gathering™을 만든 Richard Garfield와 Faeria 개발진의 독특한 메커니즘으로 진행되는 로그라이크 덱 빌더에 도전하세요. 두 영웅으로 구성된 팀을 만들어 강력한 콤보를 발휘하고 Roguebook의 전설에게 승리하세요!

트레일러 영상 보기 상점 방문하기

게임 정보

스팀 공식 한글패치 존재
#덱빌딩RPG #턴제전투 #다회차플레이

디지털 디럭스 에디션


게임 정보

고대인들은 태곳적부터 세계의 모든 전설을 담고 있다는 책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Faeria – Chronicles of Gagana에 서술된 여러 멋진 모험을 거친 끝에 이 유물은 Faeria의 우물에 빠지고 말았죠. 이 마법의 근원에 닿은 책은 점차 사악한 의지를 지니게 되어 Roguebook으로 거듭났습니다!



여러분은 Faeria의 이야기가 담긴 책에 갇혔습니다. 각 페이지는 새로운 도전을 나타냅니다. Magic: The Gathering™을 만든 Richard Garfield와 협력하여 개발한 이 로그라이크 덱 빌더에서 두 영웅을 승리로 이끄세요. 카드와 유물, 능력을 조합하여 최고의 시너지를 끌어내며 Roguebook에 도전하세요.

전설적인 영웅

  • 6쌍의 영웅 조합 – 2명의 영웅을 골라 게임을 시작하세요. 각 영웅은 50개 이상의 카드 컬렉션과 개인 유물, 고유 스킬 트리를 지닙니다.
  • 시너지 극대화 – 앞에 있는 영웅이 뒤에 있는 영웅을 보호합니다. 영웅의 위치를 바꾸고 두 영웅의 힘을 합쳐 강력한 콤보를 발휘하세요.
  • 전략적 전투 – 전투의 흐름을 예측하고 행동하여 40명이 넘는 보스와 적을 물리치세요.

플레이하며 구성하는 덱

  • 역동적 덱 구성 – 게임을 진행하며 200개 이상의 카드를 조합할 수 있습니다. 플레이에 사용하는 덱은 매번 달라집니다.
  • 고유한 힘을 지닌 유물 – 30개의 특별한 보석으로 카드를 업그레이드하세요. 뛰어난 효과를 지닌 80개의 유물도 수집 가능합니다.
  • 카드와 함께 쌓이는 힘! – 각 영웅은 고유 스킬 트리를 해제합니다. 카드를 수집하고 최고의 스킬을 선택하세요!

새로운 붓놀림과 함께 변화하는 세계를 탐험하세요

  • 펼칠 때마다 바뀌는 책 – 수수께끼와 위험이 숨어 있는 지도가 매번 다른 모습으로 나타나며 완전히 새로운 도전을 선사합니다.
  • 그리는 세계 – Roguebook의 페이지는 육각형 타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양한 패턴을 드러내는 마법 잉크를 사용해 각 페이지를 구석구석 탐험하세요.
  • 다양한 조우 – 상인, 여행자, 폐허, 퀘스트 등 수많은 기회 속에서 카드와 유물을 획득할지도... 혹은 함정에 빠질지도 모릅니다!

ROGUEBOOK을 물리치기 위한 여정에서는 한 수 한 수가 중요합니다

  • 계속되는 즐거움 – 게임 승리까지 평균 20시간, 모든 것을 해제하려면 수백 시간이 소요됩니다.
  • 자신만의 속도로 진행 – 페이지를 수집해 업그레이드를 구매하세요. 영웅 레벨을 올리면 새 카드를 해제할 수 있습니다.
  • 20가지 난이도 – 최종 보스에게 승리해 에필로그 레벨을 해제하세요. 각 레벨에서는 새로운 유물과 보석, 조우가 나타나지만 더 강한 적도 등장합니다.

스크린샷

접속자 수

가격 히스토리

출시 발매가

26000 원

추정 판매 / 매출
예측 판매량

13,800+

예측 매출

358,800,000+

추가 콘텐츠

요약 정보

윈도우OS 맥OS 리눅스OS
어드벤처 인디 RPG 전략
영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독일어, 스페인어 - 스페인, 일본어, 한국어, 폴란드어, 포르투갈어 - 브라질, 러시아어, 중국어 간체, 중국어 번체
*음성이 지원되는 언어

업적 목록

스팀 리뷰 (129)

총 리뷰 수: 184 긍정 피드백 수: 156 부정 피드백 수: 28 전체 평가 : Very Positive
  • 너무 재밌고 시간 살살녹음... 맵을 해방하는데에도 랜덤 가챠 느낌이 들어서 쾌감이 있음. 1차 클리어후. 2차 3차 계속 도전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지만.... 뭔가 패널티를 추가하는 방식이라 크게 마음에 들지는 않음. 4탄 5탄이 더 나왔으면 좋겠음. 근데 카드게임중에 퀄리티 좋게 잘 만든 게임입니다. 한 번 해보셔도 후회는 없는 게임. 추천

  • 최고 난이도 (에필로그 15)까지 플레이했습니다. 15는 클리어 안했어요. 보스 패턴이 좀... 초반엔 재밌게 플레이 했고 긍정적 평가까지 했는데 오래 플레이하고 나니 단점이 눈에 많이 띄었고, 구매를 말릴 정도로 나쁜 게임은 아닙니다. 또한 패치가 계속 이루어지고 있어서 평가 이후 바뀌었을 수 있음을 알립니다. 단점을 정리하자면 1. 번역에 게임에 지장가는 오역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 방어도를 얻으면 적을 공격합니다 젬이 방어도를 얻지 않고 공격만 합니다. - 소켓을 채웁니다. 라고 적혀있는데 소켓1개를 소켓2개로 만드는 선택지입니다. 2. 자잘한 버그 몇 번 팅기는 문제, 클릭 씹힘, 시야를 밝혀서 화면이 이동했는데 오브젝트가 보이기 전에 화면이 돌아가서 화면을 다시 옮겨야 하는 버그, 애니메이션이 끝났는데 1초정도 멈추는 버그 등... 3. 게임 너무 느림 강한 캐릭터로 조합하면 1시간~1시간 반 정도 걸리고 똥캐 조합은 3시간까지도 걸립니다. 카드를 많이 내는 컨셉의 캐릭터로 20장 정도 카드를 한 장씩 날리는데 매 번 애니메이션도 출력돼서 너무 답답해요. 4. 샤라 오로라 밸런스 오피셜 승률20%대 조합. 싱글겜에 똥캐가 있는 거 자체는 문제가 아니니 큰 단점은 아님. 5. 보석, 보물, 이벤트, 카드의 다양성 부족. 에필로그 15까지 플레이하면서 가장 크게 와닿은 단점입니다. 로그북의 보석은 35종, 보물은 70종. 비슷한 게임인 슬더스는 유물이 150개가 넘어요. 카드도 왜 있지 싶은 애들도 있고, 상위 호환격 카드들도 있어서 카드 집을 맛이 안납니다. 아트워크, 젬 시스템, 맵 시스템, 에필로그 등 괜찮은 요소도 많았지만 오래 플레이하기 좋은 게임은 아니라고 느꼈습니다.

  • ★★★☆☆ #덱빌 #퍼즐 + 조합이 다양하고 다회차 요소 충분 + 두명의 영웅 조합, 유물, RPG요소, 덱 룬 조합 - 안 내키는 퍼즐 요소와 자주 팅기는 버그

  • 재밌음. 페어리아는 유저도 빠지고 업데이트도 없고 그래서 확장팩 이후에 서서히 망해버렸지만 육각 타일로 필드를 만드는 게임성과, CCG답지 않게 지원하던 퍼즐 등 싱글 플레이 요소가 매력적이었는데 그걸 그대로 옮겨와서 덱빌딩 RPG와 섞어 놓은 느낌임. 슬더스가 너무 갓겜이고, 덱빌딩 게임의 시대를 연 작품이다보니 비슷한 게임이 나오면 비교해볼 수밖에 없음. 보드게임이 흔히 그렇듯이, 메인 테마가 동화풍이든 SF든 달라봤자, 게임의 주축이 되는 시스템이 비슷하면 다 엇비슷한 재미를 주게 되서 가장 재밌는 하나만 하지 다른 건 손을 안 대게 되니까. 그걸 인지하고 있는지 이 게임은 그냥 슬더스에 스킨 씌운 게임을 내진 않았음. 이 게임이 슬더스와 구별되는 특색이라 하면 2인 1조인 전우조 시스템과 스스로 길을 만들어나가는 타일 시스템인데. 전우조 시스템은 캐릭이 4개여도 실제 가능한 조합은 6개로 늘어나니까, 반복 플레이를 하기 좋은듯 함. 슬더스 초기에는 캐릭 2개였는데, 이건 얼리억세스부터 6개의 조합이 가능하다는 건 상당한 장점이라고 봄. 게다가 캐릭이 나중에 DLC나 업데이트로 추가되면 10 -> 15 -> 21...로 가능한 조합 수는 계차수열로 늘어남. 얘네가 페어리아 내팽개쳤던 거처럼 없데이트 해버리지 않는 한 캐릭이 두어개는 더 나올 텐데 확장성이 높다고 봐도 될 거 같음. 또 전투 면에서도 전열과 후열 이라는 요소가 추가되다보니까 카드 쓰는 순서 같은 것도 좀 더 신경 쓸 게 늘어나서 재밌다고 생각함. 타일 시스템은 직선형 구조가 아니라 절차적으로 형성된 맵을 밝혀가는 방식인데 막 엄청 참신하지는 않음. 잉크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쓰려고 묘수병 걸리긴 하지만 어차피 운인 거 같음. 아직 캐릭들의 카드를 전부 해금한 게 아니라서 캐릭별 특색을 이야기하긴 이른 거 같긴한데 슬더스가 덱이 완성될 때까지 힘들지만 완성된 덱은 유물과 맞물려서 폭발적인 파워를 내는 느낌이라면 이건 적당히 굿스터프로 집어가는 느낌임. 극단적인 컨셉이 없어서 아쉬운 게 좀 있음. 덱압축 병 안 걸리도록 아예 덱압축 요소를 없애준 건 좋다고 봄. 덱을 늘릴 수록 특성을 찍을 수 있어서 강해지는 점도 좋고. 마지막으로, 아트워크가 진짜 우수함. 페어리아 때도 드림위버 같은 카드들 보면서 감탄하고 그랬는데 몽환적이고 동화적인데 잔혹한 그림체가 매력적이라 생각함. 보던 적만 보게 되고 집던 카드만 집게 되는 건 앞으로 업데이트로 해결될 거라 믿음. 이건 어떤 겜이든 똑같으니까. 15 승천 깨고 추가) 캐릭터 간 밸런스는 어차피 싱글 게임이니까 통계상 승률이 얘가 높니 이 조합이 낮니 해봤자 의미 없다고 생각합니다. 별개로 카드들이 개성이 있긴해도 아직은 걍 '세게 때린다', '잘 막는다.'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 것도 같아서, 뽕맛 오지는 파워 카드들이 추가되었으면 함. 그리고 승천의 개별 옵션은 걍 사람 빡치게 하는 게 꽤 많음. 전방에서 카드 쓰면 2대미지 라던가, 시야 요정을 체력 10~20 남기고 못 잡는 다던가. 소로코로 극강 방어조합인데 계속 상대 힘 1 오른다던가. 복어 2마리인데 후열 은신이라서 무조건 복수 힘 +10을 봐야한다던가. 15까지 올라가면 '비싸짐', '붓 적음', '보스 셈' 정도로 단순해지니까 상관 없는데, 어중간한 승천 단수가 더 빡치는 거 같아요. 개별 승천 옵션을 잘 공략할 수 있는 조합을 선택하는 게 좋다고 봅니다. 글고 방출 보스 약하다 소리 들으니까 얄짤 없이 타임어택형 보스로 바꿔놨던데 그럴 거면 체력 무식하게 올리진 말던가. 기존에는 맞아도 덱을 미리 다 비워두면 방출 안 되니까 방어 대충하고 극딜로 잡을 수 있었는데, 이젠 버린 카드 더미에서까지 방출해버리니 1댐도 맞아선 안 됨. 게다가 보스 강화하면 매턴 쓸 수 있는 카드 장수에 제한도 생기고. 근데 체력은 1000에 가까움. 탐욕 보스가 코스트로 짜증나게 하는 보스라면 얘는 핵심 카드 안 타게 해달라고 기도해야하는 보스가 되어버림. 어렵게 하려고 너무 과한 스펙을 주는 게 아닌가 싶음.

  • 캐릭터가 많은 것도 아니고 이번에 신캐 한마리 나왔는데 그 새끼 한마리를 DLC로 팔아서 10500원은 에바아니냐 기본적으로 완성해놓은거면 모르겠는데 얼엑마냥 애매하게 만들어놓고 팔다리 없는 애한테 슬슬 팔한짝씩 달아주면서 돈받는 것 같음

  • 젬광산 패치 전후 둘 다 에필로그15 클리어 몇 번 했는데 제대로 된 밸런스 담당자가 있거나 피드백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의문이 든다. 다양한 카드로 플레이? 에필로그 15기준으로 어림도 없다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패치로 기존의 쓰레기 카드는 그대로인데 새로운 쓰레기들이 늘어났다. 실력이 모자라서 그럴 수 있는데, 플레이를 반복하다 보면 처음에 변경된 카드와 첫 금고, 상점 그리고 맵의 유물 등을 보고 여정 포기로 손가락이 가는 경우가 더 많아지는 것 같다. 업적에서 에필로그15 클리어한 사람 비율이랑 골드 획득 업적 비율을 보면 고난이도에서 반복 플레이를 하는 사람이 많지 않다고 생각된다. 낮은 에필로그에서 즐겜을 할 생각이거나 에필로그15 찍먹할 사람이면 할 만 할지 모르겠으나 슬더스처럼 고승천 반복 플레이를 기대하는 사람이라면 아직까진 절대 추천하지 않는다.

  • 매더개 제작자가 참여한 색다른 슬더스라이크 2인 1조로 행동한다는 것이 새로운 경험을 선사한다 맵을 밝혀나가는 메커니즘도 무작위적 성질을 더해 리플레이 가치를 높여준다 캐릭터와 카드, 유물이 추가됨에 따라 더 다양한 플레이 경험을 선사해 줄 가능성도 충분한 작품

  • 로그라이크 덱빌딩 게임. 이전에 접해본 게임으로는 슬레이 더 스파이어가 있다. 슬더스와 비교를 해보자면 슬더스 만큼 전투가 빠르면서도 맵을 돌아다니다 보면 자칫 지루해질 수 있다는 단점을 유저가 직접 맵을 탐색해나간다는 선택지를 부여하는 것으로 루즈해 질 수 있는 요소를 줄였다. 맵을 돌면서 루즈하다는 느낌은 전혀 없는것이, 다양한 잉크와 붓을 통해 특정 지점으로 향하는 길을 개척하거나 필드에 숨어있는 요소들을 찾아다니는 것으로 자칫 늘어질 수 있는 게임 판도를 유저가 선택하고 고민하게 만드는 것으로 확실하게 해결했다. 게다가 로그라이크 특성상 게임내 요소에 대한 이해도가 늘어나면 늘어날 수록 선택할 수 있는 컨셉이 늘어난다는 것. 예를 들어. 필자의 경우 소로코의 박격포 같은 카드를 대체 어떻게 써먹어야 좋은지를 전혀 모르다가도 헤드뱅잉 이라는 카드에 붙은 콤보라는 개념을 확실히 이해하는 순간 박격포 단검 조합으로 엄청난 딜뽕을 경험했다. 이처럼 하면 할 수록 게임에서 할 수 있는 컨셉이 늘어나고, 게임을 진행하면서 획득이 가능한 두루마리를 통해 반복 플레이에 대한 보상이 확실하게 주어지며 게임 시작과 동시에 유저가 선택할 수 있는 버프/디퍼프 선택지를 주어 반복플레이의 단조로움을 리스크/리턴의 형식으로 해결했다. 또한 슬더스와 비교를 해서 나오는 로그북의 장점은, 슬더스는 하나의 캐릭터가 사망하는 순간 한번의 플레이 동안 쌓은 덱이나 장신구들을 제대로 활용해보지도 못하고 원점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리스크를 가진채 플레이를 해야하지만, 로그북의 경우에는 2개의 캐릭터가 모두 사망한 시점에서 게임이 끝나는 것이기 때문에 2개의 캐릭터중 하나가 사망하는 상황이 오더라도 이를 극복하기만 하면 한번의 전투를 끝내고 난 뒤 캐릭터가 일정 체력비율로 부활한다. 캐릭터가 사망한 전투에서조차 부활카드를 일정량 이상 사용하면 바로 캐릭터가 부활하기 때문에 이전 슬더스의 특정 컨셉을 잡다 키카드를 모으지 못하고 허무하게 죽어버리는 상황을 어느정도 피할 수가 있어 게임을 더욱 쉽게 즐길 수가 있다. 다만 이는 슬더스 처럼 특정 컨셉을 잡고 카드를 모아봤자 카드가 나오는 것은 운빨이지 않나 라는 생각을 하기 십상인데, 로그북은 유저에게 정보를 더 쥐어줌으로써 특정 컨셉을 잡기 쉽게 해준다. 기존 슬더스는 전투이후에 3장의 카드중 하나를 골라 가져갈 수 있는 카드보상을 쥐어준다. 여기서 슬더스가 불합리하다 느껴지는 것이, 만약 내가 1번 컨셉을 잡고 1번 컨셉에 어울리는 카드를 초반에 얻었지만 이후에 나오는 보상에서 나오는 카드의 컨셉은 2번 컨셉이 될 수도 있고 3번이 될 수도 있다. 슬더스에서 나오는 상점에 들어가도 내가 원하는 컨셉의 카드를 얻지 못하는 경우도 상당하며 설상 내가 원하는 컨셉의 카드가 있다 하더라도 돈이 부족하다는 등의 이유로 원하는 컨셉을 맞추지 못할 수도 있다. 하지만 로그북은 다르다. 전투를 어느정도 진행을 하고 상점에 들어가야 상점에서 얻을 수 있는 카드에 대한 정보를 주는 슬더스와는 다르게, 로그북은 시작부터 상점에서 파는 카드와 아이템이 무엇인지를 보여주고, 초반에 주어지는 재화를 조금 소모하는 것으로 삼지선다의 카드보상을 얻을 수 있기에 내가 원하는 카드를 얻을 확률이 굉장히 높다. 게다가 재화를 소모해서 얻을 수 있는 삼지선다의 카드보상에서는 내가 원하는 카드가 없을때 돈을 내지 않고 그 어떤 카드도 고르지 않는다는 선택지가 가능해서 내가 원하는 컨셉에 맞지 않는 카드를 억지로 들고갈 이유가 없다. 심지어 재화를 얻는 방법이 맵을 돌아다니다 보면 바닥에 떨어진 금화를 줍거나, 전투를 하거나 두루마리속 이벤트를 통해 얻는 방식이기 때문에 맵을 조금만 돌다보면 내가 원하는 카드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재화를 어느정도 모으더라도 내가 원하는 카드를 확실히 얻을 수 있다는 보장을 해주지 않는 슬더스와는 확연히 다른, 유저의 즐길거리를 아끼지 않는다는 것이 로그북이 가지는 장점이다. 다양한 캐릭터의 조합과 캐릭터 조합에 따라 달라지는 컨셉이 다채로우며, 혼자서 어느정도 캐리가 가능한 캐릭터가 있어 생소한 캐릭터의 숙련도를 쉽고 재밌게 늘릴 수도 있음. 아직 플레이 타임이 10시간을 넘기지 못한 것도 있겠지만, 아직까지도 이 게임이 질리지 않고 앞으로 몇백 시간정도는 거뜬할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아, 단점으로는 잔버그가 좀 있는듯 하다. 갑자기 게임이 튕기거나 할때는 잠깐 기다렸다가 다시 켜면 대부분 해결 된다. 자동저장이 되기 때문에 게임 진행상황이 날아가진 않았을까 걱정할 필요는 없다. 결론- 슬더스보다 쉽고 슬더스 이상의 재미를 가지고 있는 갓겜. 로그라이크나 덱빌딩 좋아하시는 분들은 당장 구매하세요.

  • 이건 로그라이크가 아니라 로그라이트입니다. - 재회차 요소가 너무 강합니다. 게임오버(혹은 엔딩)에서 얻는 책조각으로 특성을 투자할 수 있는데, 특성은 대체로 이런 것들이 있습니다. (영웅의 체력 4 증가, 보물을 하나 더 들고 시작, 50원 더 들고 시작, 맵에 xxx가 추가로 나타남 등등) - 덱빌딩 게임인데 덱빌딩이 안됩니다. 카드삭제? 없어요. - 슬더스 같은 게임에서 가능한 '계획짜기' 같은 요소가 하나도 없습니다. - 덱빌딩이 안되고, 계획짜기 요소가 없어서, 운빨이 너무 심합니다. - 기본코스트가 3인데, 코스트를 올리는 방법이 맵 어디엔가 숨겨져있는 오브를 찾아야 하는 것이고(운빨), 그 오브를 찾을 확률을 늘리는 건 특성을 투자해야합니다.(특성* 맵에서 오브가 하나 더 등장합니다) 못찾으면? 엔딩 내내 3코스트로만 살아야합니다. 그런데 이 게임의 카드들이 코스트가 너무 무겁습니다.

  • 아니 씨1팔 맛을봐야 뭐 평가를 할거아냐 튜토리얼 첫전투 시작하자마자 팅기는 버그를 구글링하니까 똑같은 이슈를 겪은 사람이 2개월 전에도 있는데 이걸 그대로 냅두냐 니네 답변대로 재설치하라해서 재설치하니까 안돼 다른 드라이브에 깔아봐도 안돼 무결성검사해도 안돼 스팀 클라우드 연동 해제해도 안돼 스팀 레이아웃 꺼도 안돼 앱데이터 폴더에 관련파일 다삭제해도 안돼 이거랑 비슷한ㅇ 오류는 1.4버전에서 고쳤다면서 dllnotfoundexception 오류 뜨는건 왜 냅두냐?????? 아오 꺼져 그냥

  • ?... 야 아브라캄 이거 왜 재밌냐? 생각보다 잘 만들었네? 패치나 피드백도 겁나 빨리해주네? 터널 대쉬 기억해? 난 그 꼴 날줄 알았는데 이 노력으로 페어리아 투자했으면 살렸겠다? 정으로 예구해서 재밌게 하고 있다만 뒷맛이 많이 쓰다. 야 근데 숲속 애들하고 사막 애들 그리고 용 다섯마리 어따 팔아먹었냐? 페어리아도 한 3년은 컨텐츠 추가해줬으니 로그북도 한 3년동안은 계속 추가 기대해도 돼?

  • 슬더슬보다 응애 난이도인줄 알았는데 단계 해금 10 넘어가니깐 제작자들 또라인가 싶음

  • 하면 할수록 슬레이더 스파이어가 간절하게 하고싶어진다 좋은게임일 될수도있었지만 아쉬운점이 더 많은 덱빌딩류 게임

  • hgg

  • 기본적으로 원조 카드게임 개발진들이 만들어서 그런가 슬더스가 딱히 떠오르지 않고 재미있네요 제목 그대로 책 한장 한장 내가 써내려가는 재미가 있는거같습니다!

  • 와 겜이름이 로그북이뭐야 ㅈㄴ 촌스럽네 했는데 걍 너무할거없어서 시작해봤는데 올만에 시간순삭당함ㅋㅋ 겜 개잘만듬 꼭사셈ㅋㅋ

  • 다키스톤(슬더스)을 재미있게 했다면 흥미롭게 할 수 있는 게임이다. 하지만 이 쌍놈의 게임 역시 미완성이다. 광산 진입시 벽을 뚫고 저절로 다음 방으로 걸어가는 버그가 자주 일어나는데, 이때 잽싸게 입구쪽으로 원위치 못하면 게임이 튕길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그 상태로 그냥 다음 방에서 계속 진행하면 최악의 경우(플레이어가 있는 방이 매몰될 경우) 세이브파일이 아예 먹통이 되어 버린다. 이런 자잘한 버그들이 여기저기 흩뿌려져 있다. 양탄자를 타고 다음 맵으로 넘어가면 보스방 앞에서 스폰된다던가(그래서 처음에 넋 놓고 광클하고 있다가 아무 파밍도 못하고 바로 막보방 진입, 쥬금), 쉴드가 아무 이유도 설명도 없이 깎인다든가 하는 식이다. 마지막으로 켰던 판에서는 게임을 시작하자마자 정말 아무 이유도 없이 캐릭터 피가 3씩 깎였다. 필드 골드 먹으면 체력 깎이는 난이도 설정을 해놨는데 그게 왜 가만히 서 있는 맨땅 위에서 발동되냔 말이야. 이런 버그들은 대부분 사소해서 정말 운이 나쁘지 않은 이상 클리어에 지장을 줄 정도는 아니다. 그러나 로그라이크류 게임에서 플레이어의 판단 미스가 아닌, 순전히 게임 상의 오류로 불이익을 받으면 그만큼 재미도 깎이는 법이다. 슬더스처럼 다른 도전 모드가 없고, 정해진 레벨들을 난이도만 달리 해서 반복해야 하는 점도 쉽게 질리게 한다. 물론 보스나 정예몹의 바리에이션이 몇 종류 있기는 하지만 그래봐야 몇 번 클리어하면 다 만나볼 수 있는 정도다. 즉 질리기 전까지만 재미있는 게임이다. 그래도 로그라이크+덱빌딩 조합에 환장한다면 선뜻 해볼만하다. 다양한 옵션의 소환수와 강화 잼 등등 슬더스에는 없는 재미요소가 있다. 본인 기준 1회 클리어 시간은 90분 안팎으로, 질리기 전까지 최소 대여섯 시간 정도는 정말 재밌게 했다. 코볼트가 간지도 미쳤고 사기캐릭이다. 다른 두 캐릭터도 나름대로 매력이 있다. 그러나 여캐 한 명만 인간인 것은 좀 유감이다. 다른 캐릭터들처럼 동물로 만들어놓았으면 무지성 원픽이 되었을 텐데. 욕심 섞어 말하자면, 이 세상에 토끼 기사를 싫어하는 게이머는 없다. 중갑주와 롱소드로 무장하고 어깨엔 붉은 망토를 둘러 맨 토끼 전사와 함께라면 100시간이든 1000시간이든 질리지 않고 모험할 수 있다. 누구든 그럴 것이라 믿는다.

  • 이게임은 얼리억세스급의 물건입니다. 심지어 추가 보스를 DLC로 팔겁니다. 3장깨는데 4시간만 안걸렸으면 당장이라도 환불하고싶음. 나중에 모드가 가능해진다면 모르겠는데 DLC파는거 봐선 모드도 안풀거같으니 희망이 없네요

  • Game version: 1.10.15.1 Current state: OVERWORLD Controller type: MOUSE_KEYBOARD Exception IOException: Sharing violation on path C:\Users\semi\AppData\LocalLow\Abrakam Entertainment SA\Roguebook\Saves\Steam_76561198010190288\1\legacy\1.bin.tmp System.IO.FileStream..ctor (System.String path, System.IO.FileMode mode, System.IO.FileAccess access, System.IO.FileShare share, System.Int32 bufferSize, System.Boolean anonymous, System.IO.FileOptions options) (at <695d1cc93cca45069c528c15c9fdd749>:0) System.IO.FileStream..ctor (System.String path, System.IO.FileMode mode, System.IO.FileAccess access, System.IO.FileShare share) (at <695d1cc93cca45069c528c15c9fdd749>:0) (wrapper remoting-invoke-with-check) System.IO.FileStream..ctor(string,System.IO.FileMode,System.IO.FileAccess,System.IO.FileShare) System.IO.File.Open (System.String path, System.IO.FileMode mode) (at <695d1cc93cca45069c528c15c9fdd749>:0) Abrakam.Durandal.Save.PCSaveService.LoadBinary[T] (Abrakam.Durandal.User.IUserId userId, System.String name) (at :0) Abrakam.GameCore.Save.ProtobufSaveService`1+d__4[T].MoveNext () (at <65cdbbc4d9f040f1b3f885812244df5c>:0) --- End of stack trace from previous location where exception was thrown --- System.Runtime.ExceptionServices.ExceptionDispatchInfo.Throw () (at <695d1cc93cca45069c528c15c9fdd749>:0)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TaskAwaiter.ThrowForNonSuccess (System.Threading.Tasks.Task task) (at <695d1cc93cca45069c528c15c9fdd749>:0)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TaskAwaiter.HandleNonSuccessAndDebuggerNotification (System.Threading.Tasks.Task task) (at <695d1cc93cca45069c528c15c9fdd749>:0)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TaskAwaiter.ValidateEnd (System.Threading.Tasks.Task task) (at <695d1cc93cca45069c528c15c9fdd749>:0)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TaskAwaiter`1[TResult].GetResult () (at <695d1cc93cca45069c528c15c9fdd749>:0) Abrakam.GameCore.Save.AbstractSaveService`2+d__11[T,U].MoveNext () (at <65cdbbc4d9f040f1b3f885812244df5c>:0) --- End of stack trace from previous location where exception was thrown --- System.Runtime.ExceptionServices.ExceptionDispatchInfo.Throw () (at <695d1cc93cca45069c528c15c9fdd749>:0)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TaskAwaiter.ThrowForNonSuccess (System.Threading.Tasks.Task task) (at <695d1cc93cca45069c528c15c9fdd749>:0)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TaskAwaiter.HandleNonSuccessAndDebuggerNotification (System.Threading.Tasks.Task task) (at <695d1cc93cca45069c528c15c9fdd749>:0)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TaskAwaiter.ValidateEnd (System.Threading.Tasks.Task task) (at <695d1cc93cca45069c528c15c9fdd749>:0)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TaskAwaiter.GetResult () (at <695d1cc93cca45069c528c15c9fdd749>:0) Abrakam.GameCore.Save.AbstractSaveService`2+d__9[T,U].MoveNext () (at <65cdbbc4d9f040f1b3f885812244df5c>:0) --- End of stack trace from previous location where exception was thrown --- System.Runtime.ExceptionServices.ExceptionDispatchInfo.Throw () (at <695d1cc93cca45069c528c15c9fdd749>:0)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TaskAwaiter.ThrowForNonSuccess (System.Threading.Tasks.Task task) (at <695d1cc93cca45069c528c15c9fdd749>:0)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TaskAwaiter.HandleNonSuccessAndDebuggerNotification (System.Threading.Tasks.Task task) (at <695d1cc93cca45069c528c15c9fdd749>:0)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TaskAwaiter.ValidateEnd (System.Threading.Tasks.Task task) (at <695d1cc93cca45069c528c15c9fdd749>:0)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TaskAwaiter.GetResult () (at <695d1cc93cca45069c528c15c9fdd749>:0) Abrakam.Common.Legacy.RunSummarySaveService+d__14.MoveNext () (at <96621e2c3e9b4581bfebe5ade3dcab6b>:0) --- End of stack trace from previous location where exception was thrown --- System.Runtime.ExceptionServices.ExceptionDispatchInfo.Throw () (at <695d1cc93cca45069c528c15c9fdd749>:0)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TaskAwaiter.ThrowForNonSuccess (System.Threading.Tasks.Task task) (at <695d1cc93cca45069c528c15c9fdd749>:0)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TaskAwaiter.HandleNonSuccessAndDebuggerNotification (System.Threading.Tasks.Task task) (at <695d1cc93cca45069c528c15c9fdd749>:0)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TaskAwaiter.ValidateEnd (System.Threading.Tasks.Task task) (at <695d1cc93cca45069c528c15c9fdd749>:0)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TaskAwaiter.GetResult () (at <695d1cc93cca45069c528c15c9fdd749>:0) Abrakam.Overworld.Services.SaveService+d__16.MoveNext () (at :0) --- End of stack trace from previous location where exception was thrown --- System.Runtime.ExceptionServices.ExceptionDispatchInfo.Throw () (at <695d1cc93cca45069c528c15c9fdd749>:0)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AsyncMethodBuilderCore+<>c.b__6_0 (System.Object state) (at <695d1cc93cca45069c528c15c9fdd749>:0) UnityEngine.UnitySynchronizationContext+WorkRequest.Invoke () (at :0) UnityEngine.UnitySynchronizationContext:ExecuteTasks() Previous log entries: Warning Could not convert event type 'NADDIM_PERK_LOCATION' to EventGroupType Warning [FMOD] Please add an 'FMOD Studio Listener' component to your a camera in the scene for correct 3D positioning of sounds. Log Obtained steam authticket

  • 버그픽스하면 버그가 2배로 나오네

  • 비추천 (게시 일시: 2021년 7월 30일 오후 9시 30분) 아니 개적화좀 어떻게 해봐 게임 잘만들고선 뭔 온갖 버그에 튕기는게 이렇게 많어 알트탭은 무조건에 이젠 가만히 있어도 튕기네 ㅁㅊ ---------------------------------------------------------------------------------------------- *전보다는 덜 튕겨서 원래 추천하고싶었던대로 이제 변경함 ◇ 모든 6가지조합 27에필로그 클리어했으며 15에필 이상을 기준으로 작성한 장문후기(+평가) (모두 개인적인 감상평가인 것을 감안해주셨으면 합니다;) 1. 전체적인 게임 후기 0) 말하기앞서 (제가) 쉽게 설명하기 위해 스팀에서 가장 대표적인 덱빌딩 게임이며, 저도 이전에 지금 로그북 플탐의 2배이상했었던 "슬레이더스파이어"와 비교하면서 작성하는 점 양해바랍니다 1) 로그북의 [장단점] 장점 : 덱빌딩에 잘 녹여낸 스왑시스템, 카드를 다양한 젬으로 강화하여 취향에 따른 커스텀 카드 제작, 개성있는 맵파밍시스템(+유연한 게임진행 가능), 다양한 캐릭조합 플레이, 전설유물&젬으로 막판뒤집기 가능, 편리한 피해예측 시스템 단점 : 회차당 매우 긴 플레이타임(1시간반~3시간), 심한 튕김현상+게임플레이에 지장이 갈 정도의 버그들, 밸붕 요소들 존재(맵핵이벤트, 실성한 눈, 에이펙스의 눈, 천둥젬 등), 다소 느린 애니메이션, 혼동스럽고 미숙한 번역오류들 2) [게임난이도] 플래쉬젬추가패치 후 15에필 < 20승천 3막보스 2마리클(심장목표기준) < 27에필 < 20승천 심장클 3) [비교] 슬더스의 경우, 다수의 카드제거를 통해 극한으로 덱을 정제하고 전투에서 수많은 드로우로 최대한 덱을 통제?함으로써 보스나 엘리트의 일정한 패턴에 대응하는 방식이며, 그로인해 고래보상부터 시작해서 카드 하나 추가하냐마냐로 엄청난 스노우볼이 심장전까지 굴러감 이러한 점이 처음에는 흥미진진하고 밤샘까지 해볼정도였지만 나중에는 오히려 점차 스트 레스로 바뀌게 되고 등반을 하면서도 속으로 '아 이덱으로 계속해봤자 심장 못깰거같은데' 라는 생각이 계속 들게됨 반면 로그북의 경우, 보스와 엘리트의 패턴은 마찬가지로 일정하지만 카드강화방식, 스타팅 보상, 맵진행방식, 재능해금, 3막전설템상점, 2캐릭 플레이 등 변수가 곱절로 많아 사실상 이를 커버하고도 남으며, 그로인해 카드추가시 부담이 적고 제거와 드로우에 따라 클여부가 크게 결정되진 않음 다만, 여기서 말한 변수 이외에 플래쉬젬(슬더스의 포션 개념)이라는 것도 있는데 물론 필요했던 시스템이긴 하지만 개인적으로 약간의 너프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천둥젬(카드딜3배)과 같은 뇌절급의 플젬은 삭제까지도 고려해볼만하다고 생각함 변수에 대해 좀더 말해보면 슬더스와 로그북에 공통된 변수 중 이벤트(?/네러티브)가 있는데 체감상 슬더스는 이벤트의 절반 이상이 부정적이거나 무시하게되는 것들이고 좋은 이벤트는 그만큼의 조건이나 패널티가 따라오곤 함 문제는 슬더스가 일자맵진행이라는 점에서 이것이 더 부각된다고 생각 그러나 로그북에서는 기본적으로 무시할 수 있는 선택지가 항상 존재하며 아무리 하이리턴 이여도 미들리스크 정도에서 벗어나진 않음 따라서 맵파밍진행방식인만큼 발견했을 때 결코 지나치는 경우가 없을 정도로 대부분이 플러스 요소로 작용함 물론 이는 서로 장단점이 있겠지만 다회차를 할수록 호불호가 생길거라 예상됨 결론적으로 슬더스는 순수 스노우볼 덱빌딩스타일, 로그북은 변수덩어리로 인해 덱빌딩요소가 오히려 약간 퇴색된 스타일 2. 캐릭터 및 조합 성능 평가 1) 샤라(인간) : 단검덱, 용기덱, 출혈덱, 스왑덱 등 여러가지 컨셉이 가능한 힘배율 퓨어딜러 카드나 재능에 피회복과 전체공격이 없는게 다소 단점이지만 저코스트 위주 카드, 유연한 스왑능력, 용기 등의 장점들이 있음 여담으로 최근 용기덱(용의기운+허세+폭주)을 플레이해봤는데 오로라 상위호환 수준으로 공방일체가 너무 잘돼서 매우 재밌었음 쓰기 좋은 유물은 수정부적, 기계터빈, 힘의 건틀릿, 기계대포, 포식자의 발톱 등 2) 소로꼬(두꺼비) : 슬로우스타터형 탱커 피통이 가장 크고 전체공격수단이 많고 수비카드가 많아 티리안 방패와 가장 궁합이 좋은 캐릭이지만.. 전체카드를 보았을때 쓰는 카드, 안쓰는 카드의 비율이 거의 1대1 수준이며 자체 피회복 수단이 적어 오히려 오로라, 사이퍼에 비해 피관리가 좀더 어려운 편 거기에 기본유물이 가려운 부분을 긁어주는 좋은 유물이지만 그럼에도 타캐릭의 유물에 비해서는 많이 부진함 다만, 집중사격, 박격포, 황소개구리 광전사 등 포텐이 엄청난 카드들이 있어서 템포는 느리지만 딜뽕을 느끼기에는 최적의 캐릭터 개인적으로 소로꼬는 컨셉에 어울리는 매력적인 성능을 갖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잘안쓰이는 카드들은 조금 밸런싱해줬으면 하는 바람 쓰기 좋은 유물은 역시 티리안 방패, 핏빛불꽃가면, 2코사용시 발동 유물들 등 3) 사이퍼(쥐) : 사기적인 브루저(딜탱) 카드들의 분노버전이 워낙 고벨류라서 분노수급 및 관리만 열심히 해주면 승률이 매우 높아짐 (피를 조금 포기하면서라도 분노채우거나 남기기, 챕터1,2보스 클리어 직전에 분노관리 등) 게다가 피회복 수단이 많아서 탱킹+자해가 가능한데다 그와 동시에 분노수급도 돼서 조금만 캐릭에 익숙해지면 파트너가 누구건 혼자 다해먹는 모습을 볼수있음 또한 증오의 씨앗, 선택받은 자, 실성한 눈 등 op수준의 것들도 있어서 승리플랜 짜기도 쉬운편 그나마 단점을 꼽으면 유일하게 스택류 카드가 없다는 점 쓰기 좋은 유물은 커피콩, 파수꾼의창, 핏빛불꽃가면, 2코사용시 발동 유물들 등 4) 오로라(거북) : 안정적인 만능섭탱 기본운용으로 드로우+스택 후 재치있는 일격을 쓰거나 개구리를 열심히 쌓아서 공격 / 안개의 벽, 겸손(+복사젬), 격퇴로 방어를 하면서 매전투 죽기일보직전까지 맞아가며 플레이 그러다보니 피맥이 가장 중요하며 갓파의 성장같은 경우 첫 상점에 있으면 일단 사고 시작함 유틸과 드로우가 4캐릭 중 가장 좋으며 다만 드로우의 핵심카드인 주전자 채우기가 최근 일반에서 레어로 패치되면서 전만큼의 고성능 드로우는 어려워짐 탱킹도 좋지만 우박폭풍(+갓파의 힘), 평정, 첨벙첨벙 등 딜포텐 높은 카드들도 있음 쓰기 좋은 유물은 마그다의 가위,부채, 디저리두(+육감), 핏빛불꽃가면, 피맥유물 등 5) 조합 베스트 - 오로라+사이퍼(완벽한 딜탱조합) 워스트 1위 - 소로꼬+샤라(피관리 어려움) 워스트 2위 - 오로라+샤라(안정적이면서도 불안정) 3. 앞으로 해줬으면 하는 패치 1) 각종 버그픽스 i) 전보다는 덜하지만 아직 발생하는 튕김현상 ii) 보스로 가는 길 없애는 에필로그 설정시 마지막 잉크 or 붓이라고 알림뜨면서 발생하는 버그들(정밀잉크, 별빛염료 등) iii) 피해결과 예측오류 - 피해없이 턴을 마치고 전투를 끝낼수있음에도 화상 등으로 피해를 입는다고 잘못예측됨 iv) **플래쉬젬 버그** - 전투 마지막 사용시 소멸x, 용암폭류 악솔류틀에 기운+5젬 잘못 적 용(전투중에는 사용시 잘 적용됨), 우로보로스젬(0코젬)을 전투중에 사용시 못쓰는 버그 (다른 카드를 낼수있어야 사용가능) 등 v) 한국어 번역시 "상점나가기" 한줄로 표기 vi) 라마콘 뿔 번역 오류 - 카드를 뽑을 때(draw)가 아닌 덱에 카드를 추가(draft)시 체력회복 vii?) 모든 각색요소 적용기준으로 소로꼬만 타격 2장으로 스타팅 why? 2) 일람표(백과사전)에 항목 추가 - 공용카드(이벤트), 플래쉬젬 등 3) 공용카드(이벤트)가 누구 소유로 어떻게 적용되는지 명확히 표기 및 실행 4) 핸드수 표기 옵션(1~10번) 4. 추천 공략방송 - Game Familiar(유튜브,트위치) 주로 16에필 플레이 + 유튜브에 조합별 27에필로그 클리어 영상있음 *주의1) 언어장벽 및 긴 플레이타임으로 인해 슬더스영상 2~3배의 수면효과를 가지고있음 *주의2) 유튜브의 경우 시청전 게임의 버전(좌측하단)을 확인해볼것 *며칠 뒤에 신캐 후고로가 나온다는데 후고로를 포함한 모든조합으로 27에필 클리어 후 추가작성하겠습니다. 혹여나 클리어 못하게되면 못할지도ㅋㅋ; ---------------------------------------------------------------------------------------------- ◇ 후고로 포함 4조합으로 27에필 클리어 후 후기(평가) (생각보다 적은 트라이로 클리어해서 다소 정확하진 않음;) 1. 캐릭터 성능 스왑(샤라)30% + 유틸(오로라)30% + 체력&수비력(소로꼬)20% + 딜링(사이퍼)20% = 후고로 -> 짬뽕캐릭 표식덱, 코인덱, 스왑덱? 정도의 덱컨셉이 있으며, 표식, 코인, 재능 그리고 슬롯머신(카드)을 통한 변수창출에 매우 특화된 딜러 또한 변수 중 파트너캐릭별 특수 코인이 있는데 샤라의 경우 무려 힘을 올려주기 때문에 단검덱과 더불어 시너지가 꽤 좋음 카드를 보면 종이 지 이와 같이 10뎀에서 발동이지만 기본 9뎀인 카드가 몇장 있으므로 힘의 건틀릿 등으로 기본 힘1을 추가해주면 좋음 치기(tap)의 경우 피해+, 드로우, 사냥조각, 출혈 등 다양한 젬으로 강화하여 타 카드 대비 매우 쏠쏠한 효과를 볼 수 있음 파멸의 마법 지 이는 원시의 두개골로 강화하면 개꿀 별의 무기, 자동기계 균형수호자 등 매우 강력한 카드들이 있지만 코스트가 부담스러워서 직접 덱에 포함하기에는 애매함 -> 슬롯머신으로 뽑아쓰기 자체 회복수단이 없고 전체공격카드가 거의 전무하므로 고 에필로그에서 난이도 상승 쓰기 좋은 유물은 기계대포, 파수꾼의 창, 마그다의 부채, 기계터빈, 힘의 건틀릿 등 *개인적인 순위 : 사이퍼 >>> 오로라 > 샤라 > 후고로 ≒ 소로꼬 2. 조합 순위 1위 사이퍼+후고로 : 사실상 사이퍼 혼자 캐리가능하나 분노수급 코인덕에 사악한 웃음과 함께 사이퍼를 보조하기 좋음 + 사이퍼에게 약간 부족한 드로우력 보충 2위 오로라+후고로 : 오로라의 유지력(탱킹)과 더불어 적의 폭딜에는 후고로의 은근 높은 체력으로 대처? 가능한 무난무난한 조합 3위 소로꼬+후고로 : 탱딜 구분이 확실하고 고코스트 위주인 소로꼬를 특수코인으로 보조 가능 다만, 둘다 회복수단이 없어 유지력은 좀 떨어짐 4위 샤라+후고로 : 글 초반에 이 둘의 시너지가 좋다고 썼으나.. 덱빌딩을 할때 역할분담(누가 주로 수비고 누가 주로 공격할지)이 난감하고 힘의 건틀렛과 같이 유물 분배시에도 애매한 경우가 많아 나중에는 덱컨셉이 이도저도 아닌 트라이가 많았음 (-> 27에필 클 중 가장 많이 트라이함) *개인적인 순위 : 1-싸&오 > 2-싸&소 > 3-싸&후 > 4-싸&샤 > 5-오&소 > 6-오&후 > 7-오&샤 > 8-소&후 > 9-소&샤 > 10-샤&후 (위 순위는 저의 27에필 트라이 횟수도 고려됐으며, 아직은 덜 숙련된 후고로 운영실력때문에 후고로가 포함된 조합이 다소 낮게 매겨졌을 수도 있는 점 참고바랍니다) *여담으로 현재(1.10.11) 후고로 관련해서 '지 이' 이런식으로 번역된 것들이 있는데 처음에는 고유명사인가 싶었지만 원문이 그냥 staff인걸로 봐서 '지(팡)이'로 추정됨

  • 월드맵에서의 플레이가 이렇게 흥미롭고 재밌을줄이야!

  • 정말 재밌습니다~ 우선 4랭크까지 뚫었어요~ <해당되면 비추천> 1. 사람케릭터나 이쁜여자케릭터가 있어야 게임하는분 2. 머리쓰거나 복잡한거 싫어하시는분 3. 다크하거나 암울한설정 좋아하시는분 해당사항없는 분들은 강력추천! 분명 조합 시너지 영웅별 카드에 따른 변수 덱 빌딩 정말 재밌습니당 점점할수록 본인의 선택하에 제약들을 넣수가있는데 그에따른 보상밑 티어가 존재합니다~ 하면서 식상하거나 쉬워지는건 걱정안하셔도 될듯 케릭터 dlc 만들어주새요 ㅠㅠ

  • 제법 재미있는 게임이다. 보기완 다르게 충분히 공들여 만들었다는 느낌이 든다. 짱개새끼들 평점 테러의 이유는 모르것지만 무시하면 될듯 케릭터 성능 딜 : 돼지, 인간 > 거북이 > 개 몸빵 : 거북이 > 개돼지 > 인간 총평 돼지 : 삽겹살 기름처럼 넉넉한 피통, 몸무게처럼 묵직한 후반 데미지 거북이 : 나이만큼 질긴 생명력, 속이 든든한 자라탕 같은 탱커 개 : 레벨 10 찍고 물 끓이고 된장 바르면 됌. 다른 캐릭터들 "레벨 올리기 전"까지만 강함 인간 : 짐승만도 못한 쓰레기 같은 탱킹력, 처음부터 끝까지 달달한 딜량 초반 레벨업 개 인간 개 돼지 모든 케릭 10 찍었다면 거북이, 돼지(가장 좋은 조합. 쌍탱커지만 돼지의 광역기와 후반딜, 거북이의 연타와 패수급 등을 챙길 수 있음) 거북이, 인간 (쪼금 탱킹에 문제가 있지만, 멍멍탕이 짐승구실을 못하므로...) 조합이 좋다고 생각함. 거북이, 돼지, 인간 보스 및 잡몹 첫턴 킬 가능 멍멍이 보스 및 잡몹 첫턴 킬 불가능

  • 진행중에 한번 오류뜨면 게임이 다음부턴 게임이 실행이안됨. 버그가 너무 심하다 진짜

  • 게임 자체는 재미있습니다. 플레이 중에 컴퓨터가 한 번 꺼진 이후로 로딩 화면에서 넘어가질 않습니다. 무결성 검사, 재설치, 경로 바꿔서 재설치 다 해봤는데 차도가 없네요 ㅠㅠ

  • 여러 기믹의 덱조합이 가능해서 금방질리지는 않습니다. 난이도 계수가 높아질수록 오픈 되는 게 많아서 조합하는 재미도 있어요. 단검 기믹, 망치 죽창, 오로라 좀비덱, 동료 죽창 등등 각덱의 효율 높은 코어 카드가 있어서 다양한 덱 운용이 가능한게 맘에 듭니다. 다만 아쉬운 점이 있다면 적들이 다양하지 않아서, 챕터마다 정해진 패턴을 벗어나질 못합니다. 스토리를 5개 넣고 돌려도 1개랑 크게 다르지 않더라구요. 스토리 최대치까지 가면 달라질지도 모르겠습니다. 뭐 이래저래 따져봐도 한글화 해준 겜은 그냥 구매하는 겁니다!

  • 카드 게임 별로 좋아하는 편은 아닌데도 이 겜은 잼있음

  • 무난하게 하기 좋은 카드덱 빌딩 게임 그런데 여기에 탐사 요소가 가미된

  • 재미는 있는데 조오오오온나 짧아요 컨텐츠 늘어나면 추천으로 바꾸겠습니다

  • 현존하는 로그라이크 덱빌딩 장르의 게임 중 가장 완성형에 가까운 형태의 게임 전체적으로 카드나 유물 컨셉들은 슬더스와 겹치는 부분이 많긴 하다. 그래도 영웅 두 명을 조합해서 진행하기 때문에, 덱 빌딩이나 전투 측면에서의 전략성이나 다양성은 조금 더 강화된 느낌이다. 여기에 '몬스터 트레인'과 같은 카드 강화 방식이나, '페어리아' 같은 탐색 시스템이 결합 되어서 매 판 차별화되는 게임 경험이 제공된다. 삐딱하게 보면 기존 게임의 괜찮은 요소들을 다 갔다 써서 참신성이 떨어진다고 느낄 수도 있지만, 좋게 보면 장르 내 재미 요소들을 적절하게 잘 배합해서 '로그라이크 덱 빌딩'이라는 장르를 완성시킨 느낌.

  • 왁굳방송보고 구매 꿀잼

  • 벽을 걸어다니다 갑자기 꺼지는 버그 보스가 안보이는 버그 와 같은 이상한 잔버그가 있음

  • 한줄 요약 : 3.8시간만에 엔딩 보는 찍 싸는 게임 평점 : ★★☆☆☆ (2.0/5.0) 슬레이 더 스파이어 형식의 로그라이크 덱 빌딩 게임입니다. 첫 인상은 나쁘지 않은 그래픽에 다양한 카드, 그리고 각종 성장 요소로 다양한 즐길 거리가 가득한 게임으로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얼마 못가 4시간도 안되 엔딩을 보면서 굉장히 큰 아쉬움이 남은 게임이었습니다. 앞서 말한 슬레이 더 스파이어 등의 경우 20시간 이상 플레이 하며 우여곡절 끝에 엔딩을 본 것과 대비되는 게임이었습니다. 가볍게 즐기기에는 나쁘진 않지만 깊이가 깊진 않고 성장 요소도 다 찍기도 전에 엔딩을 본 점이 아쉬워서, 이후 업데이트 등을 통해 추가 스테이지 및 보스와 신규 캐릭터가 나왔으면 합니다.

  • 좆같이 어려운 난이도 때문에 도전정신 보다는 힘만 빠짐 뭐 뚫린다는 느낌이 있어야지 할맛이 나지 두번째 마을부터 그냥 답없어서 여정 포기만 누르게 만드는데 스트레스만 받음. 그냥 초반에는 좆뺑이 치면서 플탐이나 늘려 라는 심뽀로 밖에 안보임 ㅇㅇ

  • 2021년 10월 1일 오후 4시 07분 -- 다좋은데 업뎃하고 버그 준내뜸.. 2021년 11월 26일 오후 18시 33분 -- 이 좃망겜은 업뎃전엔 사라랑 거북이가 ㅈ사기였는데 업뎃후엔 샤라 단검에 제한이 걸리고 카드가 계속 추가되면서 거북이도 ㅈ망 캐릭이 되어버림 카드가 적어서 좋은카드 선별이 업뎃전엔 좋았으나 업뎃후로 카드가 추가되면서 쓰레기 카드 사용이 강요되어버리는 씹망겜이 되어버림. 2022년 2월 3주차 업뎃이후로 몇개의 카드들의 비용등의 조정되며 난이도가 개편됨 27라 클리어 2022년 2월 25일 신캐 후고르가 합류함 근데 DLC에 가격이 10500원임 이게임 할인해서 16000원에 샀는데 캐릭터 하나 추가하고 (카드가 다 있지도 않음 - 추가할 예정) 반값이상을 받는다? 할인하는거 아닌데 산다면 대가리 깨진게 맞음

  • 저장 가능 게임인줄.... 계속 처음부터 반복 처음 반복 처음 반복 별루임

  • 슬더스라이크 중에 오벨리스크 담으롤 좋은듯

  • 보통 덱 압축, 필요한 핵심적인 카드만을 최소한으로 집는데요 이 게임은 특별한 이벤트를 제외하면 카드를 제거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자연스레 덱의 카드가 쌓이게 되는데 카드 4장을 추가할때마다 패시브를 하나씩 얻게 됩니다. 또한 캐릭터 2명을 조합해서 플레이하게 되는데 각 캐릭터마다 고를 수 있는 패시브가 다르기 때문에 여러가지 조합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카드마다 소켓이 존재합니다. 소켓에는 보석을 장착할 수 있고 여러가지 효과를 얻습니다. 카드를 강화하는 요소죠. (딜 3배, 코스트 감소, 카드 복사 등등) 다만 맵 곳곳에 각종 이벤트들이 흩어져있는데 이 이벤트들이 어디에 있는지 모릅니다. 맵이 어둡거든요. 그래서 맵을 밝히기 위해 붓과 잉크로 주변을 색칠한다는 컨셉인데 어지간하면 맵의 55%정도 밖에 못 밝힙니다. 55%는 좀 적은 것 같네요. 75 ~ 80%정도는 되었으면.. 그리고 소지할 수 있는 잉크는 최대 3종류 뿐인데 이게 무슨 의미가 있는 지 모르겠습니다. 그냥 전부 다 들고 다녀도 될 것 같은데요. 초과한 잉크가 소멸하는 것도 아니고 그냥 바닥에 떨어집니다. 그래서 맵 밝혀야 하는 곳에 걸어가서 (시간걸림) 잉크 쓰고 다시 잉크 줏으러 돌아가고 (시간또걸림) .. 각종 연출과 진행도 느려서 답답합니다. 연출 중요하죠. 중요하긴 한데 그렇게 중요하면 영화를 만드셨어야 하지 않나 싶어요. ========== 플레이어블 캐릭터 1. 샤라 체력이 40이라 개복치에 가깝습니다. 잘 죽어요. 기본 유물이 전방에 있을 때 힘+3 이라 딜은 쌘편입니다. 또한 재능 중에 '허세' 는 보유한 용기 당 힘+1을 증가시켜줍니다. 이게 말도 안되는 사기입니다. 그리고 용기당 방어+3 도 있습니다. 용기만 잘 쌓으면서, 거울상(주는 피해 2배), 시간차공격(이번턴에 준 피해만큼 공격) 어떤 보스건 뚝배기 박살내고 다닙니다. 2. 소로꼬 기본 체력이 70으로 꽤 높습니다. 무난한 딜탱입니다. 다만 전체적으로 에너지 요구량이 높은 편입니다. 샤라에게 용기가 있다면, 소로꼬는 헤드뱅잉이라는 스택 카드를 이용합니다. 손에 계속 유지되면서 한 장에 겹칠 수 있는 카드로 사용시 한 턴동안 힘+3 입니다. 여러장을 계속 모을 수 있어요. 가장 기억에 남는 카드는 4장 정도인데 우파루파 닮은 용병 카드 기운이 1 증가할 때, 1 대신 5배만큼의 기운을 얻습니다. (기운은 용병의 힘이라고 보면 됨) 겁나큰 두꺼비 용병 매 턴마다 보유한 기운이 2배가 됩니다. 이름 기억 안나는 4코짜리 카드 보유한 힘 1당 1번씩 공격합니다. (힘이 10이면 총 110딜, 힘이 20이면.. 400 ㅋㅋ) 주술사 용병 직전에 사용한 카드를 다시 손으로 가져옵니다. (킹술킹) 소로꼬 용병이 상당히 맛있어서 서브로 자주 썼습니다. 3. 사이퍼 받은 피해만큼의 분노를 얻고, 25만큼 쌓였을 때 카드를 1회 강화합니다. 광전사 느낌입니다. 회복 수단이 많기 때문에 부담없이 맞고 회복합니다. 힘을 주력으로 올려서 해도 좋고 용병을 키워서 해도 좋은 편입니다. 특히 채찍질, 충성 카드를 이용하면 용병에게 기운을 4 ~ 8씩 줄 수 있습니다. 위에 언급했던 소로꼬 용병에게 주면 좋아죽죠. 이외에도 아군이 피해를 받으면 에너지를 주는 용병 적에게 피해를 줄 때마다 방어를 주는 용병 등 사이퍼는 혼자서 딜도 하고 탱도 하고 서포팅도 합니다. 4. 오로라 체력이 20입니다. ㅋㅋㅋ 엄청나게 낮죠. 대신 전투당 1번 본인의 모든 체력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메인은 서포터에 가까우나 딜러로도 충분히 쓸 수 있습니다. 중첩형 용병 개구리가 기억에 많이 남네요. 소환되는 개구리의 숫자를 2배로 늘려주는 용병도 있고 턴마다 1번, 개구리 소환시 3마리를 추가로 얹어주는 패시브도 있고 드로우 하면 3마리, 쓰면 3마리 주는 카드 등등 한 2 ~ 3턴이면 개구리가 50 마리씩 쌓여있습니다. ㅋㅋ 그 밖에도 0코스트로 용병 혹은 영웅에게 기운 또는 힘을 1 올려주거나 티타임 (오로라 체력이 풀이면 에너지 +2, 0코스트) 다과회 (찻주전자 카드 3장을 손에 넣고 아군도 회복함) 찻주전자(사용시 오로라 체력 4회복, 1코스트, 아군이 카드 사용시 0코스트) 턴이 끝났을 때 후방에 있는 영웅에게 본인의 기운만큼 힘을 증가시켜주는 용병 1의 대미지로 8번 때리는 눈보라 8의 대미지로 0번 때리는 물고기비(뽑을때마다 공격횟수 1회 증가) 오로라 체력만큼 딜하는 카드 적의 턴을 넘기거나, 힘을 깎는 등등 각 캐릭터마다 특색이 있고 뽕맛이 있는 카드들이 재밌습니다.

  • 참고 하려고 했는데 버그가 너무 많음.. 방어가 안된다던가 ㅋㅋ

  • 캐릭터 넷(DLC 포함하면 다섯) 중 둘을 조합하여 맵을 탐험할 수 있는 부분은 재밌음. 재능 시스템도 찍는 재미가 있긴 한데, 카드 제거할 수 있는 이벤트가 많았다면 덱 압축하는 것도 가능해서 더 재밌지 않을까 싶음. 전투 쪽은 개인적으로 일부 일반이나 엘리트가 보스보다 어려운 것 같음. 개인적으로는 기믹형 몬스터를 좋아해서, 잼 광산 전투가 더 재밌음. 슬더스와 비교하는 경우가 많은데, 완성도 면에서는 확실히 매우 떨어짐. 카드 여러 장을 빠르게 사용할 때 자주 씹힘. 추가로 몇 년 전 issue가 아직도 재현되는 부분은 문제가 크긴 함. 하기 내용은 지나갈 수 없는 지역을 지나다니면 생기는데, 이걸 이용해서 일시적인 벽 타기도 가능하다는 게 문제임. 이런 거 크게 신경 안 쓴다면 추천할 만함. Game version: 1.10.15.1 Current state: OVERWORLD Controller type: MOUSE_KEYBOARD Exception NullReferenceException: Object reference not set to an instance of an object Abrakam.Common.RollService.RollCards (Abrakam.Data.ScriptableObjects.MapEvents.RewardDefinition rewardDefinition, Abrakam.Data.Runs.Run run, Abrakam.Common.RollData rollData, Abrakam.GameCore.IRandom random) (at <96621e2c3e9b4581bfebe5ade3dcab6b>:0) Abrakam.Common.RollService.RollInternal (Abrakam.Data.ScriptableObjects.MapEvents.RewardDefinition rewardDefinition, Abrakam.Data.Runs.Run run, Abrakam.Common.RollData rollData, Abrakam.GameCore.IRandom random, System.Boolean isSkippable) (at <96621e2c3e9b4581bfebe5ade3dcab6b>:0) Abrakam.Common.RollService.RollInternal (Abrakam.Data.ScriptableObjects.MapEvents.RewardGroupDefinition rewardGroupDefinition, Abrakam.Data.Runs.Run run, Abrakam.Common.RollData rollData, Abrakam.GameCore.IRandom random) (at <96621e2c3e9b4581bfebe5ade3dcab6b>:0) Abrakam.Common.RollService.Roll (System.Collections.Generic.IEnumerable`1[T] rewardGroupDefinitions, Abrakam.Data.Runs.Run run, System.Boolean isWithReplacement, Abrakam.Common.RollData rollData, Abrakam.GameCore.IRandom random, System.Boolean isSkippable) (at <96621e2c3e9b4581bfebe5ade3dcab6b>:0) Abrakam.Overworld.Story.MapEvents.Executors.ShopMapEventExecutor.ExecuteMapEvent (Abrakam.Data.Map.MapEvents.ShopMapEvent mapEvent, Abrakam.Data.Story.StoryReport storyReport, System.Action`1[T] onEventEndedCallback) (at :0) Abrakam.Overworld.Story.MapEvents.Executors.AbstractMapEventExecutor`1[T].ExecuteMapEvent (Abrakam.Data.Map.MapEvents.IMapEvent mapEvent, Abrakam.Data.Story.StoryReport report, System.Action`1[T] onEventEndedCallback) (at :0) Abrakam.Overworld.Story.MapEvents.Executors.MapEventExecutorService.ExecuteMapEvent (Abrakam.Data.Map.MapEvents.IMapEvent mapEvent, System.Action`1[T] onEventEndedCallback, Abrakam.Data.Story.StoryReport report) (at :0) Abrakam.Overworld.Story.StoryExecutorService.ProcessStoryNode (Abrakam.Data.Map.Story story, Abrakam.Data.Map.StoryNode storyNode, System.Action`3[T1,T2,T3] onStoryEndedCallback) (at :0) Abrakam.Overworld.Story.StoryExecutorService.ProcessStory (System.String storyId, System.Action`3[T1,T2,T3] onStoryEndedCallback) (at :0) Abrakam.Overworld.Story.StorySchedulerService.ExecuteStory (Abrakam.Overworld.Story.StorySchedulerService+ScheduledStory scheduledStory) (at :0) Abrakam.Overworld.Story.StorySchedulerService.EnqueueStory (Abrakam.Data.Map.Story story, System.Action beforeStoryStartsCallback, System.Action`3[T1,T2,T3] onStoryEndedCallback) (at :0) Abrakam.Overworld.Story.StorySchedulerService.ScheduleStory (Abrakam.Overworld.EventMessages.ScheduleStoryEventMessage eventMessage) (at :0) Abrakam.GameCore.EventMessage.EventMessageService+<>c__DisplayClass8_0`1[EVENT_TYPE].b__0 (Abrakam.GameCore.EventMessage.IEventMessage gameEvent) (at <65cdbbc4d9f040f1b3f885812244df5c>:0) Abrakam.GameCore.EventMessage.EventMessageService+EventDelegateContainer.Invoke (Abrakam.GameCore.EventMessage.IEventMessage eventMessage) (at <65cdbbc4d9f040f1b3f885812244df5c>:0) Abrakam.GameCore.EventMessage.EventMessageService.Raise (Abrakam.GameCore.EventMessage.IEventMessage eventMessage) (at <65cdbbc4d9f040f1b3f885812244df5c>:0) Abrakam.Overworld.Map.MapGridMediator.ProcessStoryAtLocation (Abrakam.Data.Map.OverworldMapLocation location) (at :0) Abrakam.Overworld.Map.MapGridMediator.OnExecuteLocationEvent (Abrakam.Overworld.EventMessages.ExecuteLocationEventEventMessage eventMessage) (at :0) Abrakam.GameCore.EventMessage.EventMessageService+<>c__DisplayClass8_0`1[EVENT_TYPE].b__0 (Abrakam.GameCore.EventMessage.IEventMessage gameEvent) (at <65cdbbc4d9f040f1b3f885812244df5c>:0) Abrakam.GameCore.EventMessage.EventMessageService+EventDelegateContainer.Invoke (Abrakam.GameCore.EventMessage.IEventMessage eventMessage) (at <65cdbbc4d9f040f1b3f885812244df5c>:0) Abrakam.GameCore.EventMessage.EventMessageService.Raise (Abrakam.GameCore.EventMessage.IEventMessage eventMessage) (at <65cdbbc4d9f040f1b3f885812244df5c>:0) Abrakam.Overworld.Map.Player.MapPlayerMovementService.b__34_0 () (at :0) Abrakam.Overworld.Characters.OverworldCharacterService.Tick () (at :0) Zenject.TickablesTaskUpdater.UpdateItem (Zenject.ITickable task) (at <290725d7149c424b8b85f245068c70b6>:0) Zenject.TaskUpdater`1[TTask].UpdateRange (System.Int32 minPriority, System.Int32 maxPriority) (at <290725d7149c424b8b85f245068c70b6>:0) Zenject.TaskUpdater`1[TTask].UpdateAll () (at <290725d7149c424b8b85f245068c70b6>:0) Zenject.TickableManager.Update () (at <290725d7149c424b8b85f245068c70b6>:0) Zenject.MonoKernel.Update () (at <290725d7149c424b8b85f245068c70b6>:0) Previous log entries: Warning Calling IsPointerOverGameObject() from within event processing (such as from InputAction callbacks) will not work as expected; it will query UI state from the last frame Warning [FMOD] Please add an 'FMOD Studio Listener' component to your a camera in the scene for correct 3D positioning of sounds. Log Obtained steam authticket

  • 개쉽고 재밌음 각색요소 없었으면 모를까. 토너먼트도 쉽고

  • 다 깻는데 컨텐츠좀 더 내줘~ ㅐㅈㅈ밌음 슬더슬 상위?

  • 승천 시스템이 좀 빡빡하긴 한데 나름 재미 있음

  • 보기보다 재미없음

  • 재밌긴 한데....젬 광산 버그있는 것 같음...... 들어갔다 통과해서 나가니까 원래랑 다른 층 맵에 보내주고 닫혀있고 남은 붓으로 그어보니 맵에 구멍 뻥뻥 뚫려서 껐음...해당 데이터 날아간듯......

  • 매일 새로운 셋팅으로 토너먼트 진행하는 재미가 있습니다.

  • 킹갓겜 로크라이크 카드게임류 중 최고로 재밌게 즐김 슬더슬보다 재밌는듯

  • 1회 클리어 했는데, 역시 구관이 명관입니다. 하지만 해당 게임도 흥미로운 장치가 있는데 맵을 내가 개척한다는 느낌을 주는 겁니다. 슬레이 확장판 같은 느낌을 받았으며 차별화를 주려고 고민을 많이 한 흔적이 보입니다. 하지만, 슬레이에서 흥미를 크게 느끼지 못했다면 해당 게임은 굳이 추천하진 않을 듯 합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 Zola Yes Zam, Give me back my time

  • 두 명의 캐릭터를 선택한 뒤, 해당 캐릭터의 카드로 덱을 구성하여 탐색과 전투를 진행하는 게임입니다. 캐릭터 간의 시너지와 캐릭터간 카드 배율을 고려해야 하는 등 생각할 요소가 늘어 났으며, 지도를 밝혀서 원하는 이벤트를 찾아가는 시스템으로 다른 덱빌딩 게임과 게임성을 더욱 차별화 하고 있습니다. 일부 캐릭터 조합은 다소 어려운 편이지만 전체적으로 밸런스를 잘잡고 있습니다. 슬레이 앤 스파이어 다음으로 즐길 동일 장르 게임으로 추천합니다.

  • 잠옴...;; 슬더스보다 한참 재미없다.

  • 왁굳형 믿고 산다

  • 꿀잼..

  • 페어리아에 등장하는 카드들이 아군과 적으로 등장하는 '슬레이 더 스파이어'와 유사한 게임입니다. 최초 클리어까지 네 판 정도 진행하여 생각보다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는데, 우물 증가시켜주는 퍽을 찍는 게 압도적으로 유리한 듯 합니다. 할인 기간 동안 구매하여 만족스럽게 플레이 했습니다. 세일 할 때 구매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 재미 있네요

  • 슬더스라이크 겜중에서 손에 꼽을만한 명작 중 하나 아쉬운점은 에피소드가 너무 짧아 1챕터만 더 개발 해주세요... 이제 덱도 완성됬고 한번 싸워볼까? 할떄쯤 끝나버림..

  • 재미있습니다. 진짜 잼있었음

  • 로그라이크 덱빌딩 게임중 순위권에 들어갈만한 참신함, 뽕빨, 어려움 을 다 갖춘게임 각클래스마다 특성도 명확하며 어렵다면 어렵고 할줄만 안다면 금방 쉬워지는 좋은 게임

  • 꽤 잘 만든 로그라이크 덱빌딩 게임 같음. 갑자기 로그라이크에 꽂혀서 액션 로그라이크든 덱빌딩이든 이것 저것 다 건드려보고 있는데 이 겜도 제법 추천할만한 게임임. 마음에 들어서 DLC 캐릭터도 샀는데 DLC캐릭터가 만듦새도 좋고 파워도 쎄서 이 게임 마음에 드셨으면 DLC도 추천.

  • 듀얼 캐릭터를 운영하는 로그라이크 카드배틀 게임 게임이 난해한것도 없고 더 설명할것도 없다. 찍먹해본 입장에서 간 볼것도 없다

  • 잼씀 ㅋㅋ

  • 재밌네요 파티플레이 버전 슬더스 - 한 가지 캐릭터로만 맵을 등반하는 슬레이 더 스파이어와는 다르게 두 명의 캐릭터를 골라 파티를 구성해야 한다는 점, 그로 인해 다양한 컨셉의 파티를 구성해 플레이가 가능하다는 점이 새롭고, 첫 클리어 이후 도전적인 하드코어 난이도의 제약 조건들을 직접 고를 수 있어서 더 재밌는듯.. 일자형 등반이 아닌 페어리아에서 차용한듯 한 맵 탐험요소도 훌륭한 아이디어라고 봄 ​ 근데 게임 잘 들어놓고는 2022년 4월 이후로 업데이트가 멈춰있어서 좀 아쉽고, 슬레이 더 스파이어처럼 자유롭게 모드가 활성화 된 것도 아니라서 몇 판 하고나면 흥미가 좀 빠르게 떨어짐. 게임 시스템 상으로는 덱을 줄이는 것에 대한 메리트가 적고 덱 압축도 거의 불가능하게 되어 있어서 슬레이 더 스파이어처럼 순환덱이나 압축덱을 짜거나 순식간에 컨셉을 잡고 OP덱을 짜서 맵을 다 부수는 류의 플레이는 힘든 편이라 특유의 뽕맛은 좀 덜한 편. 오히려 덱을 늘려 특정 카드 수를 달성 할 때마다 캐릭터나 파티의 특성을 해금할 수 있게 되면서 강해지는 시스템이라 짱구 별로 안굴리고 무지성으로 카드 풀 늘려서 깼던 적이 많음

  • 먼가 질림... 정가주고는 아깝다

  • 처음 시작할떄 전설유물2개 먹고 관문? 문을 열면 에러뜨는데 어떻게 고치죠.. 해결법 알고계신분 계시나요

  • 미친게임

  • 덱 빌딩 2인 1조로 앞 뒤 순서 이용해가며 하는 게임 시간 때우기 좋음

  • It is interesting. I like to complete all the challenges when it comes to fun games. The problem is this. 'Excavator' - Visit 500 Gem Stones.. This is too hard. Challenges should literally evoke a spirit of challenge, but this is just a waste of time. If you look at the challenges of Slay the spire, you'll find a good comparison. Other than this, I'm having a lot of fun. Deck building elements are mixed with map exploration to create new fun. I plan to achieve 100% of the challenge soon. *I'm Korean so I'm not good at English.

  • 운빨게임이긴한데 재밌음

  • 졸잼

  • 튕김현상때문에 제대로 즐기지 못해서 환불신청했네요.. 전투는 나름할만한거같은데 튕기는거만 좀..

  • 신캐를 dlc로 내놓는 개무친판단ㅋㅋ

  • 심심풀이로 킬링타임으로 할만하지만 젬광산 진입하고 나온뒤 버그나 2장 공중부양버그 등 버그픽스해야할게 많음

  • 장점 1. 쉬운 덱빌딩. 2. 신선함. 단점 1. 버그가 있음(2코짜리가 0코가 된다든가.. 젬이 두 번 써진다던가..) 2. 가끔씩 끊기는게 있음. 3. 번역 오류가 쪼~끔 있음.

  • 젬 버그있습니다 1.존나 좋은 젬 사용후. 2. 아무젬에 마우스만 올린다 3. 다시 카드에 마우스갔다대면 마지막썻던 잼을다시박을수있다 . ㅅㅂ

  • 볼륨이 너무 작음

  • 헿 4번만에 꺰 헤힣하하히하ㅣ핳히ㅏ히

  • 첫회차를 1~2시간만에 깨서 이게 뭔가 했는데, 회차 할때마다 만족스럽다. 여러조합, 여러컨셉덱을 할수있다. 생각보다 잘굴러간다. 슬더슬류에 압축덱이 반필수느낌인데 이건 카드많을때 이득이 있어서 좀더 자유로운 느낌. 근데 밸런스는 안맞는듯 싸이퍼 최강

  • 여태까지 재밌던 게임이었으나 심각한 버그가 있음. 후방에서 사용 시 돌진과 +4데미지를 주는 젬이 있는데 그 젬을 카드에 넣고 취소하면 카드는 +4뎀을 얻고 젬은 그대로 있음. 이 것을 반복해서 데미지 증폭 가능. 기본 카드와 이 젬 하나만으로도 최종 보스를 클리어 할 수 있음. 그리고 티리안의 방패라고 그 유물을 장착한 영웅이 방어 시 1이 추가되는 유물이 있는데 그 방패를 착용한 영웅의 카드에 이 카드에 방어시 선두에 있는 적에게 방어도의 두 배의 피해를 주는 젬을 장착하면 방어도를 얻고 선두에게 두 배의 피해도 함께 입힘. 이 버그를 앎으로써 게임이 확 재미없어진 느낌. 빠르게 고치기를 바라겠습니다. 제가 버그를 찾으려고 연구한것도 아니고 단순 게임플레이상으로만으로도 알 수 있는 버그라 어떤 사기적인 버그가 더 숨겨져있는지는 미지수임.

  • 볼륨이 좀 작다는것 빼고는 만족. 캐릭터가 한 2개정도가 늘어나거나 스테이지가 2개정도 늘어나고 스토리가 추가되면 만족할듯

  • 꿀잼

  • 재미있어용

  • 그냥 해보면 암

  • 우 주 갓 겜 맵 이동이 이렇게 재밌을줄이야

  • 시간가는줄 몰라요 정말 잼남

  • 1휴먼 3퍼리 겜 한판이 더럽게 긴거 빼고는 리플레이성도 좋고 빌드업도 잼있다. 아직 승천같은거 초반부라 그런것도 있지만 슬액슬에 비해서 너무 쉬운거랑 맵이 똑같아서 슬슬 질리는게 살짝 걸림. 그래도 꽤 잼있게 하는중. 개인적으로 할매+중2늑대가 좋더라.

  • 이런종류의 게임을 해본사람이라면 천천히 해도 세시간정도면 클리어가능함 로그라이크적인 시스템으로 다회차가 가능하지만 그다지 끌리지가 않는다 동료시스템은 게임의 깊이를 준다기보다 단순하고 동료 대다수는 쓰기에따라 슈퍼 오버파워다 지형그리면서 가는건 생각보다 흥미롭지는 않고 쓸데없는 스트레스로 다가온다 가챠시스템이랄까.. 케릭이 셋뿐인데 완전 차별화가아니라서 어떤케릭을 골라도 다회차일경우 맘만먹으면 비슷하게 진행할 수 있다 가장 이해가 안되는건 카드수집하면 특성을 주는데 케릭을 눌러서쓰게 한것도 구리고 덱을 무조건 늘려야 특성을 얻을 수있는 것도 이해가안간다 난 다회차를 할 수록 덱을 압축시켜서 10장미만으로 스피드런을 즐기는데 이건 이런종류의게임을 많이 안해본놈이 시스템을 만들었다고 밖에 볼 수없다 덱빌딩겜 초보면 이것저것 흥미를 가질만한 요소는 분명히 많다

  • 진짜 시간가는지 모르고 게임했다.. 큰일 앞두고는 플레이하지말것 진짜 재밌네 그런데 각종 부대시간이 너무 길다 그리고 렉때문에 카드가 늦게써져서 판단이 흐려질때도 있음 아무튼 재밌게했습니다. 카드겜 인스크립션 이후로 두번째이긴한데 후회안합니다 돈값해요

  • 이 리뷰는 Slay the Spire 게임과의 비교를 상정하고 작성되었습니다. 슬더스를 넘는 갓겜이 나왔구나 라고 생각했으나 몇번 하고나니 단점이 보이는 아쉬운 게임 그러나 업데이트를 좀 하는거 같으니 아직은 추천을 드리겠습니다. ■슬더스랑 다른 새로운 시스템 카드 합성 가장 맘에 든다, 카드에 공격력을 더하거나 드로우 기능을 추가하거나 그런식 2인조 영웅 4명중 2명을 선택해 조합이 다양해진다. 맵 이동 방식 그냥 직진 진행이 아니라 여러 타일을 밝히고 어떻게 하면 더 많은곳을 들를 수 있을까 고민하게되는 재미 ■단점 극한의 뽕맛 추구 어려워 슬더스처럼 방어도 999, 무한 드로우, 힘 100 같은 극한의 뽕맛을 느끼는 덱을 짜기가 어렵고 유물 효과도 아직까진 미묘한듯하다. 느리고 무거워 공격 애니메이션, 카드 뽑는 속도가 느리다. 게임 키는게 느리고 무겁다. 기타 일부 보스, 몬스터의 패턴이 불쾌하거나 벨런스가 어긋나있고 1회차 이후 플레이시 패널티를 받고 어렵게 플레이가 가능한데 심리적으로 압박감이 크고 게임 플레이를 너무 크게 바꿔놓아 불편,불쾌하다. 일부 이상하다 한국 번역

  • 덱빌딩으로써 갖출건 다 갖추었고, 휘휘 생각안하고 돌리기 좋은게임 다만 게임이 고장나는 수많은 버그와 카드 텍스트의 번역 질 개선은 반드시 해결되어야 한다

  • 재미있음 ㅎㅎ (╯°□°)╯︵ ┻━┻

  • 15단계중애서 4단계 정도까지만 즐겼는데. 어느정도 할만큼 한것 같아서 남기는 평가. 35프로 세일해서 구입했는데 정가로 구입해도 괜찮을법한 작품. 무난하게 20시간정도는 누구나 즐길만한 좋은 게임. 유명한 슬레이 더 스파이어와 비교하면 듀오로 게임은 진행한다는 점. 그리고 전체적으로 슬레이 더 스파이어보다 변수가 자비로운것 같은 느낌? 리스크를 거부하는가 받아들이겠는가 선택지도 주는편이고 이벤트로 나오는 이야기는 대부분 긍정적이거나 리스크를 감수할지 선택지도 주는 편이고. 총평하면 슬레이 더 스파이어 즐겁게 플레이했으면 정가에 구매해도 좋은 작품. 할인할때 구매하면 더 좋고

  • 턴제 게임을 좋아하는 편이라서 해봤는데 진짜 꿀잼입니다 처음에는 캐릭터가 2명밖에 없어서 에게? 이랬는데 카드 덱빌딩과 섞어놓으니 지루하지 않았습니다 10번 클리어했어요 ㅋㅋ

  • 시간 살살 녹네

  • 덱빌딩 게임 좋아하면 강추

  • 거북이 할머니 등껍질 깨져서 죽을때 너무 미안해 ㅠㅠ

  • 두판째, 플레이타임 3시간만에 엔딩을 봤다. 네판째, 3번째 클리어를 했다. 하면서 든 생각은... 항상 고만고만하고 비슷한 적들을 상대로 다회차 플레이라고?.. 슬레이 더 스파이어도 같은 보스들을 상대하지만, 최종보스를 깨려면 왠만큼 준비해서 가야하고, 플레이가능한 캐릭터가 4명이나 되기 때문에 각 캐릭터들로 엔딩 플레이하다 보면 분량이 길다 라는 느낌이 와닿는데.. 로그북도 판마다의 플레이타임이 슬레이 더 스파이어 못지 않은 분량에 캐릭터의 수도 슬레이 더 스파이어와 비슷하지만, 한판에 캐릭터를 두 명씩 운영하기 때문에 각 캐릭의 컨텐츠 소모가 더 빠른 편이며, 적의 공격 스타일이 여러 가지이긴 하지만, 슬레이 더 스파이어 처럼 적의 공격 방식이 다채롭지 않기 때문에 특수한 덱에 대한 카운터 요소를 가지고 있는 적의 존재 유무가 희미하며 그저 다음 스테이지로 넘어가면 기본적인 적의 공격력과 체력만 높아지는 등의 느낌으로 새롭다 라는 느낌을 느끼지 못했다. 즉, 처음에 "고만고만하고 비슷한 적들"이라고 언급한 이유이다. 물론 슬레이 더 스파이어에 비해 아쉽다는 거지 게임 자체는 재미있다. 다만 아쉬운 점은 슬레이 더 스파이어라는 좋은 표본을 두고 어느정도 영감을 받아 만들었다면, 더 나은 수작의 게임이여야 할 터인데.. 스테이지를 늘려주는 등 컨텐츠량을 늘려주는 방식이나 슬레이 더 스파이어에서 나오지 않은 적들의 새로운 공격 방법 등 컨텐츠량이나 새로운 요소가 이전에 흥행한 게임에 비해 부족한 것 같아 너무 아쉽다. 물론 슬레이 더 스파이어에 비해 뛰어난 점이 있다. 고퀄리티의 일러스트와 모션, 타격감을 키워주는 사운드는 눈과 귀를 즐겁게 해준다. 또한 슬레이 더 스파이어는 그때그때 뜨는 카드에 맞춰 덱 빌딩을 해야하는 요소가 없잖아 있는데, 로그북은 카드뽑을 기회를 더 많이 주며, 더 좋은 보상(유물과 장비 같은)을 선 취득 후 카드 선택이 가능한 "서순"기능이 있고, 인벤토리가 꽉 찼을 경우 맵에 아이템을 떨어트리며, 슬레이 더 스파이어에서의 포션의 경우 처럼 버려지는 아이템이 없는 점은 매우 맘에 들었다. 아쉬울 뿐이지 매우 잘만든 게임.

  • 짧고 굵게 즐겼습니다. 가성비 좋은 게임이네요

  • 끝나지 않는 책 속 로그라이크 신비로운 책 속에서 끝없는 모험을 떠납니다. 2명의 캐릭터가 파티를 이루어 이동하며 독특하게 잉크, 붓 등을 획득하고 이를 소모하여 보이지 않는 지역을 오픈하여 이동을 할 수 있습니다. 오픈 된 지역에는 아무것도 없을 수도 있고 길을 막는 오브젝트들도 있지만, 골드더미라거나 카드와 골드를 교환할 수 있는 박스, 포션 등이 존재하고 전투를 진행하는 일반/엘리트 몬스터들이 존재합니다. 전투는 에너지&카드 방식으로 진행을 합니다. 매턴마다 에너지가 주어지고 이 에너지를 소모하여 핸드 카드들을 사용할 수 있죠. 카드는 공격/방어/보조 등의 효과들을 보유하고 있으며 독특하게 소모 에너지 위치에 빙글빙글 화살표가 존재합니다. 이 화살표가 있는 카드를 사용하면 캐릭터들의 위치가 서로 바뀌게 되며 이에 따라서 적의 공격을 받는 캐릭터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전방 영웅의 체력이 낮다거나 후방에 있는 아군이 방어에 용이한 경우 등에 맞춰서 위치 교체 카드를 적절한 타이밍에 사용하면 아군이 사망하는 상황을 최대한 막을 수 있죠. 아군이 사망하면 해당 아군의 카드가 소생 카드로 변하여 일정 수를 사용하면 소생이 가능하지만, 그와 함께 사용할 수 없는 상처 카드가 덱에 생성되는 불이익이 발생하여 불필요한 카드들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 추가로 독특하게 동료 카드들이 존재하는대 이들을 사용하면 하단에 위치하여 각자 효과를 발동합니다. 카드를 에너지로 교환해주는 친구도 있고 특정 조건에서 적을 공격하는 친구, 제한된 수의 에너지를 공급해주거나 카드를 생성해주는 친구도 있습니다. 조금 비싼 친구들도 있지만 그들이 함께 한다면 다양한 공격과 보조를 받아서 전투를 보다 쉽게 이끌어나갈 수 있죠. 외에도 보물을 얻어서 공통으로 또는 특정 아군이 장착하여 패시브 효과를 부여받을 수도 있고 젬스톤을 획득해 카드에 박아서 추가 방어/ 추가 대미지/ 관통 등 특수한 효과를 활성화할 수도 있습니다. 보유한 카드에 따라서 캐릭터의 특수한 능력들의 활성도 가능하고 모험을 하면서 획득하는 페이지들로 체력 증가/ 보물 증가/ 다양한 확률 증가 등의 책의 내용을 자신에게 유리하게 변경시키는 시스템도 존재. 새로운 캐릭터를 언락하고 보스와도 싸우고 지도도 밝히는 은근 재미난 요소가 많은 게임! 아쉬운 점 -책 강화 초기화는 없나요....

  • 원래라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릴려고 했으나 C드라이브 포맷 좀 했다고 세이브가 날라가는 구식 게임 메이커보다도 못한 폐기물같은 게임시스템때문에 비추함 내가 최근한 게임 중에선 이것만 날라갔다 그렇게 게임성이 좋지도 않은게

  • 입문작으로 이만한게 없다 덱 빌딩 로그라이크 햄버거

  • 개인적으로 카드 전략게임을 좋아하지만 카드 정보를 보려면 마우스를 가져다가 대야만 카드가 올라오는 형태의 UX는 이제 구시대적 방식인거같습니다. 심지어 카드가 똑같이 생겼는데 능력이 다른카드가 많아서 더더욱 이 게임의 카드 내기 방식은 멀미를 일으킵니다. 책속에서 탈출한다는 테마는 좋았습니다.

  • 카드겜 자체는 재밌는데 난이도 올리는 시스템이 존나 개빡치게 설계되어있음 줘패고 싶네 진짜

  • 굿

  • 솔직히 재밌다. 나는 슬더스보다 괜찮았음

  • 3스테이지 보스전 들어가다가 게임이 꺼졌는데 급하게 다시켜보니 오프닝부터 다시보고 세이브는 날라가있네요 덕분에 플탐이 좀더 늘어나겠어요

  • 재미가 있긴 한데,,, 너무 오류가 많네요

  • 15단 빼고 모두 클리어 했습니다. 15단은 아직 못해먹겠습니다. 일단 특성 포인트가 후반쯤에는 찍을게 없어요 이번 패치로 라운드를 처음깨면 특성을 더주는것으로 바뀌었는데 새로 시작하는 분들만 트라이 수가 줄어들겠지만 저는 필요가 없네요. 100시간 넘게하기에는 아직 컨텐츠가 부족해요 그래도 50시간정도는 재미있게 한것 같습니다. 업데이트만 기다리고 있네요

  • 짧은 플레이 타임 소감 1.가격대비 만족하는 플레이 2, 해금요소들도 만족 3. 카드가 잘뜰때 시원함이 좋음 4, 후반갈수록 욕이 안나올 수 없는 미친 운빨(ex, 첫 보물, 첫 상점, 첫 카드 등등) 5. 기울어진 오로라(자라할멈)운동장 6. 엔드컨텐츠 를 한후에 딱히 할 것이 없음. 남아도는 포인트로라도 초반 보물이든 카드든 컨셉이라도 정하게 선택 할수있게하면 좋겠음 ㅡ 아무튼 나름 재밌게 즐겼습니다.

  • 내가 좋아하는 장르를 다 합쳐논 겜이라 고민도 안하고 질렀다 근데 아직 컨텐츠가 모자라는 느낌이다

  • 아직 버그도 좀 있고 카드나 보물, 보석등에 다양성이 좀 부족해보이지만 진짜 진짜 재밌네요. 영웅의 조합, 배치, 탐색, 덱 조합, 보석 조합, 등등등 괹장히 다양한 변수들이 꽤 조화롭게 이루어져서 slay the spire 이후로 해본 덱빌딩 중에 최고로 재밌었습니다. 가끔씩 패가 이거 알고리즘이 잘못 짜여진거 아니야!? 싶을 정도로 부조리하게 나올때도 있지만 그걸 또 운으로 실력으로 극복하는것도 나름의 묘미인것 같습니다. 사망해도 부활의 기회가 있는것이 그걸 도와주기도 하고, 사망했다고 포기하지 않고 클리어했을때는 내가 마치 엄청난 뇌지컬을 발휘한것같은 성취감에 휩쌓이기도 합니다. 승천요소 또한 선택과 조합으로 너무 불합리하게 어렵지도 않고 적당히 도전욕구를 자극합니다. 다만, 앞서 언급했지만 그래픽 버그, 딜버그 등 버그가 종종있고, 한글로 번역했을때 조금 중의적이거나 난해한 번역도 있습니다. 1층치고는 조금 난이도 높은 일반몹이나 패턴들도 종종 있어 가끔은 재시작하고 싶을때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밌고 앞으로도 더 재밌을 것같은 게임이라 강력히 추천합니다.

  • 잘풀리면 갓겜, 꼬이면 망겜

  • 슬더스 아류작 중 제일 재밌게 하는 중인데.. 버그 때문에 몇번 튕기니까 현타옴

  • "카드게임 중 가장 재미있는 게임 중 하나"

  • 와우 별 생각없이 샀다가 타임머신 제대로 탐. 새 게임+ 개방하고 바로 소감 남김. 페어리아도 했었어서 페어리아의 향수가 느껴지는 그래픽이 마음에 쏙 듦. 덱빌딩 게임에 태그 방식으로 포지션 스위칭하며 플레이하는 방식이 색 다르고 재미있다. 유료 DLC라도 좋으니 후속 콘텐츠가 꾸준히 나와주길! 진짜 재밌다!! 츄라이! 츄라이!

  • 아 피가 복사가된다고ㅋㅋ

  • 진행상황이 전부 사라졌는데 어떻게 해야할지

  • 컨텐츠가 반복되는거긴 한데 재밌어요

  • 최근 덱 빌딩 게임중에 제일 나음

  • 슬레이 더 스파이어 해보신 분이라면 무조건 좋아하실 겁니다. 300시간 넘게 했는데 슬더스 약간 확장판? 혹은 다른 버전이라고 생각되고요, 돈이 아깝지 않은 최고의 게임! 승천 느낌의 어려운 버전도 여러 컨셉이 있고 능력 확장/ 랜덤 요소가 더 많이 늘어났어요! 지금 당장 다운로드하세요, 진짜루ㅠㅠ

  • 슬더스 이후로 즐기는 카드게임. 일단 슬더스에 비해 2명의 캐릭터를 활용해서 한다는 점이 재밌음. 두 직업의 시너지 및 특성을 잘파악하고 덱을 구성하고 굴려야한다는 점에서 재밌음 해금요소 점점 생기면서 사기치는 뽕맛 늘어나는 것은 덤 슬더스 이후 즐길만한 카드겜 찾으시면 추천함

  • 재밌음

  • 1.5 패치 전에는 너무 쉬웠고 패치 후에는 너무 어려워졌음 사기를 엄청 쳐야지 깰 수 있는 수준

  • r

  • 덱 빌딩하는 맛도 있고 재미있음

  • 7 / 10 2인1조 카드겜인거 신선함, 그래서 자리를 중요하게 고려 해야 하는 요소도 많고 근데 좀 덱이 어느정도 정해져있음, 게다가 이 겜은 카드를 지워서 최적화 한다기 보다는 필요한 카드들을 집는 게 더 유리한 것 같은데, 카드 모으면 해금되는 재능들을 좀 더 다양하게 많이 만들었어야 하지 않나 싶음

  • 덱빌딩 로그라이크를 좋아한다면 꽤 좋아할만 하다 두명의 캐릭터가 파티로 되어있는데 각각 시작버프 같은게 달라서 키울 방향성이나 어떻게 운영할지가 달라지는것도 좋았고 다른 유사 게임들과 다르게 길을 선택해서 나가는게 아니라 내가 길을 만들어가는것도 너무 좋았다 책 안에 들어가있다는 컨셉도 마음에 들었다

  • 참 뭔가뭔가인 게임

코멘트